17일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5년차 물경력 개발자 이직 ..
안녕하세요. 5년차 물경력 개발자입니다. 누가봐도 물경력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실력이 너무 부족한데 눈 낮추고 중고신입으로 도전해보는게 좋을까요? (원래 눈도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4년차 까지는 스프링부트 프레임워크 기반의 운영 위주로 업무했는데요. 4년동안 계속 개발 업무만 열심히 한게 아니라 사실상 QA 나 간단한 스크립트 버그 수정 업무가 많았습니다. 나름 대형 프로젝트 운영업무를 진행했지만. SQL 및 자바 로직도 작성했습니다. 그렇지만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업무 난이도도 그렇게 높지 않았고요. 그러다 회사 방향이 바뀌어 1년간 퍼블리셔 업무만 진행하고 있는데, 사실 이때 이직 준비를 했어야 했는데.. 무기력증이와 받는 대로 업무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원하던 방향과 너무 달라 이직을 생각중인데요, 자바 기반의 백엔드 서버개발자로 가고 싶어서 저번주 부터 코테부터 미니 프로젝트까지 만들면서 공부중인데.. 정말 많이 까먹었더라고요.. 아무리봐도 5년차 개발실력이 아니여서.. 자신이 없습니다. 현재 연봉이 3000후반인데, 저는 고생해도 되니 이젠 진짜 개발 업무를 제대로 하고 싶습니다...이 상태라면 연봉을 낮추고라도 중고신입으로 도전해보는게 베스트일까요? 현업과의 소통이나 업무프로세스?( 로직작성X, 업무 진행에대한 ) 가장 중요한 개발실력은 5년차라고 말하기 뭐하네요.. 현직자분들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걍 쌩신입으로 가라 ㅠ 이런말이나요..
개발자
#이직
답변 1
댓글 0
조회 270
한 달 전 · CL@Supercoding 님의 새로운 답변
IT 테스터, 테스트 엔지니어, QA 신입 취준 방향성
컴퓨터 공학과를 나와 IT 기본 지식(운영체제, 네트워크, 언어 기본 지식)은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IT 기술 지원일을 하고 있고 이 분야랑 관계가 없는 신입 QA 일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취준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방향성을 확실히 잡고 싶어 질문 드립니다. 1. QA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역량 2. QA 포지션에 신입으로 들어가려면 가장 중요한 준비 3. 면접에서 중요하게 보는 부분 4. 제가 수동 테스트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있는데, 여기에 꼭 들어가야 하는 항목 5. 제가 지금 IT 기술 지원 일을 하고 있는데, 이 경험을 QA 직무에 어떻게 연결하면 좋을지? 6. 하루 일과 7. 실무에서 사용하는 툴 8. 수동 테스트 외에 자동화는 어느 수준까지 신입에게 기대하는 부분
개발자
#qa엔지니어
답변 1
댓글 0
조회 94
2달 전 · 김성섭 님의 질문
💌2분 짜리 설문조사 하시고 커피 받아가세요!💌
안녕하세요! 저희는 사용자 맞춤형 향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퓨미 플랫폼을 개발 중입니다. 이 서비스는 여러분이 원하는 향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향수 공방을 찾아서 맞춤형 향수를 제작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 설문은 퍼퓨미의 향수 추천 기능과 향수 공방 서비스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기 위해 진행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이 향수 추천 서비스를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설문은 약 2분 정도 소요되며,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설문 기간: 4월 5일 (토) ~ 4월 7일 (월) ✔️ 예상 소요 시간: 2분 내외 ❗️설문에 응해주신 분들 중 총 10분께 추첨을 통해 컴포즈커피 아메리카노 기프티콘을 발송해 드립니다 ❗️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이 맞춤형 향수 추천 서비스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구글 폼 링크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kZ2pa7fgJvnOfJivqHgKtvVbjL7NBDVvw9sZTjnmIw5-aqA/viewform?usp=dialog
PM/PO/기획자
#설문조사
#조사
#기획
#구글폼
#페인포인트
답변 0
댓글 0
조회 22
3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하기 싫은 개발자의 이직고민
개발자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성취감으로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저는 반대로 거기서 받는 스트레스가 커서 그저 한 고비 넘겼다는 잠깐의 안도감밖에 없지만요. 동료들보다 퍼포먼스는 떨어지는 편입니다. 매번 빠트리는게 많아 메모하는 습관을 들여도 오류는 늘 메모 밖에서 이뤄지니 내가 노력해서 되는 문제가 맞나 싶어 늘 회의감이 듭니다. 심지어 잘하는 신입이 더 업무파악이 빠를 때도 있어요. 손이 빠른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머리가 잘 돌아가는 편도 아니다보니 반복하는 업무를 만나면 반가울 지경입니다. 새로운 문제가 아니니까요. 남들만큼 하려면 저는 배의 시간을 들여야 합니다. 그래서 밥먹듯이 야근도 해봤고 노력도 해봤는데 글쎄요. 그렇게 3년이 지났네요. 3년은 버텨보라고 해서 버텨봤는데 이제 버틸만큼 버텨본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이 회사의 업무강도, 업무난이도가 쎄냐고 물으시면 아니요. 오히려 자사 툴&자사 솔루션이라 상대적으로 업무난이도는 낮습니다. 제가 3년이나 버틸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라고 봅니다. 강도도 낮아서 바쁠때 야근 몇번하는 정도고요. 심지어 개발팀에서 너무 힘들어 운영팀으로 온건데도 그렇네요. 개발팀에 있을때는 가끔 정신과 약 먹으면서 버텼으니까요. 돌이켜 생각해보니 그때 정말 상태가 안좋았구나 체감이 듭니다. 그래도 운영팀와서 괜찮아진거면 된거 아니냐 하지만 아니요. 새로운 문제가 터지면 머리에 피가 싹 빠지듯 정신이 확 차려지면서 스트레스 받고 시작하는건 변함없더라고요. 확실한건 남들보다 이런 문제에 더 스트레스 받는 것 같습니다. 남들은 스터디도 하고 이직준비도 치열하게 하면서 미래를 그려나가고 있는데 저는 하루 버텨 하루 사는걸로도 벅찹니다. 아마 개발업무를 하면서 성취가 없는 상태로 계속 굴려지다보니 그냥 이걸로도 벅찬게 아닐까 싶어요. 이렇게 계속 살수는 없잖아요. 여기 있다가는 일 못하는 부장님이 밑에 대리,사원들한테 업무 넘기는 꼴이 될 것만 같아 이직하려고 합니다. 그래도 인사는 잘하고 다니니 윗 사람들은 좋게 봐주시지만 같이 일하는 동료, 사수가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니 괴롭습니다. 저도 자기 밥그릇은 챙기는 사람은 되고 싶습니다. 문제는 어디로 가느냐 인데 반복적인 업무를 하는 QA도 고민해보고, BI도 지금하는 업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복적이라는 말을 들어서 BI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 QA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커리어가 아깝다고 하나같이 말리네요. QA, BI말고도 상대적으로 반복적인 업무를 하는 분야가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현재 JAVA,JS 기반 웹솔루션 개발자입니다.
개발자
#이직
#경력이직
#개발자_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444
3달 전 · 이상호 님의 새로운 댓글
4년차 개발자 연봉 협상 및 이직 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중소기업에서 4년차 웹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 중이며, 연봉은 3,200만 원(금년도 연봉 협상 전)입니다. 회사 규모는 10인 미만이며, 현재 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곧 연봉 협상을 진행할 예정인데, 적정 연봉이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최소 3,600만 원 이상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지금까지는 회사에서 제시하는 금액을 따르는 편이었습니다. 현재 회사 규모와 제 경력을 고려했을 때, 4년 차 백엔드 개발자의 적정 연봉이 어느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만족할 만한 연봉이 책정되지 않는다면 이직도 고민 중입니다. 현재 회사에서 어느 정도 인정받고 있으며, 이에 따른 상여금도 많이 받았습니다. 업무 스트레스도 크지 않아 낮은 연봉과 잦은 야근에도 계속 다니고 있었지만, 최근 들어 이직에 대한 생각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직을 고민하는 이유 1.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개발자가 없음 - 입사 당시 스타트업 초기 단계였기 때문에 사수가 없었고, 독학으로 개발을 진행해 왔습니다. 개발이 재미있어 취미로 공부하며 배우고 있지만, 회사 내에 지식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개발자가 없는 상황입니다. - 현재 백엔드 개발자는 저 혼자이며, 나머지 팀원 두 명은 신입급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 앞으로 신규 채용이 이루어지더라도 신입 개발자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 계속해서 우물 안 개구리에 머물게 될 것 같아 고민입니다. 2. 전문 인력 부재 - 기획, QA, 디자이너와 같은 전문 인력이 없으며, 기획과 디자인을 대표님께서 직접 맡고 계십니다(참고로 이전에 개발자셨습니다). - 저는 다른 회사에서 근무해 본 경험이 없어 잘 모르지만, 그때그때 PPT로 전달해 주시는 기획 자료를 볼 때 답답함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물론 워낙 많은 일을 맡고 계시기에 이해는 합니다) - 현재 개발 프로세스는 디자인이 나오면 제가 DB 모델 설계, 비즈니스 로직 및 예외 케이스 정의하여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개발 방식이 일반적인지 궁금합니다. 최근 현타가 너무 많이 와서 조언을 얻고자 처음으로 글 올려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그리고 혹시 요즘 개발자 취업 시장이 어떤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연봉
#이직
#경력이직
답변 1
댓글 1
조회 1,127
6달 전 · 이정운 님의 새로운 댓글
개발자 vs QA 어떤 선택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ㅠ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콘텐츠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자를 준비하고 있는 26살 취업 준비생 입니다. 일자리가 주로 서울, 경기권에 있지만 저는 현재 지방에 거주하고 있고, 금전적인 여유가 없어 살고 있는 지역의 게임 QA 회사에 취업 해야하나 생각중 입니다. 금전적으로 힘들더라도 어떻게든 개발직군으로 취업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1년 QA회사 다니며 자금을 모아 다시 개발자로 취업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ㅠ
개발자
#게임
#개발자
#qa
#취업
답변 2
댓글 2
조회 343
7달 전 · 김영훈 님의 새로운 답변
안녕하세요 개발이 하고싶은 20대 후반 직장인입니다.
안녕하세요. 27살 sqa회사 입사 3개월차 직장인 입니다. 자바기반 국비공부를 6개월 하며 개발자를 꿈꾸었지만 최종학력은 4년제 중퇴(고졸), it관련 경력도 없고 개발쪽 취업이 자꾸 미끄러져서 급한마음에 지금 회사에 온 것 같습니다. 처음엔 qa업무도 개발관련 지식이 있다면 활용가능하고 도움이 된다고 해서 입사하게 되었는데 막상 입사하고 나니 단순 테스터업무와 엑셀문서(함수) 정도를 하고 있습니다. 연차가 쌓이고 먼 훗날 전문적인 qa로서 일을 할 수도 있겠지만 제가 애초에 it로 뛰어든 이유와 맞지 않아 괴리감을 느끼고 있네요.. 이 상황에 안주하고 싶지 않고 이직을 하여 개발자로서의 커리어를 쌓아가고 싶기에 부족하지만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위만이라도 따려고 등록하여 강의를 듣고있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포트폴리오에 제 개인 프로젝트를 하나 추가해보면 어떨까 싶어서 다시 시도중에 있습니다. 제가 배운것이 많지 않기에 리엑트,자바(스프링),오라클,공공api사용등 같은 기술을 가지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새로 다른 언어,툴 등을 배워 진행하는게 좋을지 이 시도를 하며 제가 잘 하고 있는것인지 이 방법이 무의미한 방법인지 자꾸 저를 의심하게 되어 긴 글 남깁니다. 욕이라도 좋습니다. 제 현상황을 바라봐주시고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java
#qa엔지니어
#이직
#고민
#부트캠프
답변 2
댓글 0
조회 127
10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QA 개발자 이직 어려울까요?
이제 막 대학 졸업한(컴공과) 신입입니다. 개발자 취업을 희망하는데 대다수의 회사들이 어느 정도 사회 생활을 해본 사람들을 희망하는 것 같고 전 회사를 다녀본 적이 없습니다. 이력서는 넣고있는데 전부 떨어지네요 ㅠㅠ.. 학과장님께서 QA직종 기업을 추천해주셨는데 1년정도 경력 쌓으면서 코딩테스트 준비해서 개발자 이직 준비하려고하는데 도움 안될까요..?
개발자
#이직
#개발자
#신입
#qa
답변 1
댓글 0
조회 336
10달 전 · 박소은 님의 질문 업데이트
포트폴리오 기여도 참여도 측정을 어떤 기준으로 하세요??
1) 예를 들어 100명이 넘게 참여한 프로젝트 등 개발자도 많고, 영업/마케팅 지원 부서도 많고, QA/QC 분도 많으면 1인당 참여율은 현저히 낮을 수 밖에 없잖아요...? 그러면 아무리 열심히 했어도 참여율은 많아야 2~3%일 것 같은데.... 같은 직군 기준으로 산출해야할까요? 2) 다른 팀의 같은 직군과 같이 참여한 프로젝트라면 기여도가 어느정도인걸까요?? 예를 들어 A, B, C팀에 각각 PO가 1명씩인데, 제가 A팀 파트에서 모든 걸 담당했어요 - 이러면 팀 기준으로 봐서 100%인가요 - 인원별로 봐서 33%인가요?? - 아니면 각 팀 별로 조금 참여했는지, 많이 참여했는지까지 계산해서 대략 40~60% 이정도로 산출하나요?? 3) 팀 내에서 담당자가 저 한 명이었으면 100%로 써야할까요? 아니면 팀 내에 프로젝트 참여 인원이 2명이고, 맡은 모듈이 다르면 50%인가요 100%인가요...????? 다른 데에서 혼자 했어도 100%로는 쓰지 말라고 한 글을 봐서 문의드립니다ㅠㅠ
PM/PO/기획자
#이직
#포트폴리오
#경력이직
#기획자
답변 0
댓글 0
조회 1,133
10달 전 · 안나영 님의 새로운 댓글
인턴 6개월 vs 인턴 3개월 + 부트캠프
현재 인턴 3개월 끝나가고 있고 재계약 앞둔 상황입니다. 업무가 순수 자바코드로 크롤링하는 것이라,,,, 백엔드가 아니에요. 저는 이제까지 모든 준비를 백엔드로 했었고요. 인턴을 지금 끝내고 부트캠프를 들어갈 지 3개월 더 할 지 고민중이에요. 부트캠프는 합격했는데 면접도 없고 코테도 없고 그냥 자소서?만 쓰면 붙더군요;; 그래서 이 부트캠프가 맞는 길인지 더 고민됩니다. https://deepdive.goorm.io/backend?fbclid=PAZXh0bgNhZW0BMAABpjHIZRMHewb7dfAqO232ku-XBNrgUg5l2Nj_FyKu76ShzzC9Nj8d3KqaIQ_aem_sqfdO-beJ_ku9rfoTBGJkw 현재 구름톤 카카오 딥다이브 백엔드 과정을 합격한 상태입니다. 전에 구름톤에서 진행했던 구름톤 트레이닝은 사람들 인프런 강의만 주고 방치했었단 얘기도 있어서 불안하네요. 그냥 인턴 더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부트캠프를 하는게 좋을까요? 차라리 다른 인턴을 하는게 나을지,,,, 어떤 선택을 해야 더 매력적인 이력서를 가질 수 있을까요ㅠㅠ
개발자
#백엔드
#부트캠프
#인턴vs부트캠프
#인턴
답변 1
댓글 1
조회 398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부트캠프 팀프로젝트에서 팀장을 하는 게 좋을까요?
QA에서 직무전환하려고 부트캠프 중입니다 프로젝트는 총 세 번이고, 제 성향 탓에 첫 프로젝트에서 팀장 역할을 거의 대신했습니다 기분 탓일 수 있지만, 그게 좋은 게 아닌 것 같아서 팔로워십을 기르는 차원에서 두 번째에는 팀장을 하지 말까 팀장을 하면서 더 부드러운 형태로 할까 고민 중인데요 신입을 뽑을 때 프로젝트 팀장 맡아본 사람을 얼마나 더 좋게 볼지 궁금합니다 저는 비개발자 출신이고 PM 성격의 업무를 수행해와서 개발 프로젝트에서도 관리 능력을 쌓아 어필하는 게 좋지 않을까 하다가도, 유들유들 너스레가 마냥 좋지 않으면 독단적인 스타일의 지원자로 비춰지지 않을까? 세팅, 진행, 발표, 문서화 너무 열심히 하면 개발자 농도(?)가 낮아 보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개발자
#신입
#부트캠프
#프로젝트
#비전공자
답변 1
댓글 0
조회 94
10달 전 · 정병훈 님의 새로운 댓글
프론트 엔드 개발자를 할지 앱 기획자 혹은 게임 기획자를 할지 고민입니다. 저같은 경우 어떠한 방향을 잡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 처음으로 글 적어봅니다. 지금 나이는 만으로 24살이고 전공은 컴퓨터 소프트웨어학과이고 3~4개월 VR회사에서 일했었습니다. 사회복무요원 시절에 각종 게임행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대기업 게임사에서 신작 게임 QA를 했었습니다. K사에서 하는 국비교육을 이수하였고 K사헤커톤에 기획자로 참여하여 상장도 받고 그 과정에서 제가 프런트엔드랑 기획자에 흥미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국비교육 이수 후 게임 기획자로 게임회사에 지원했고 서류는 붙었으나 필기에서 떨어져 게임기획자로서 부족한 점 과 노력하면 원하던 게임회사에 취업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프런트엔드 개발경험은 K사 국비교육 과정과 군장병 시절 진행했던 모바일 프런트엔드 개발경험이 있으며 HTML과 CSS로 제작하여 리액트 네이티브로 다듬는 작업을 했었습니다. 기획경험은 K사 해커톤 국비교육 과정, 군장병 시절 진행했던 앱 개발에서 경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고민 중인 부분은 프런트엔드 개발자로 갈지 앱 기획자 혹은 게임 기획자로 가야 할지 매일 고민 중에 있습니다. 저는 게임을 매우 좋아하고 망상하고 상상하는 것을 좋아하고 그 과정에서 기존의 앱이나 게임에서의 문제점 혹은 새로운 방향성을 생각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그 사람을 설득하는 일도 좋아하고요 제가 어떠한 길을 가야 할지 모두 좋아해서 계속해서 고민이 됩니다. 어떤 방향성을 잡아야 할까요? *정말 제가 어리석은 생각을 하고 있거나 생각이 짧을 수 있지만 주변에 개발자 혹은 기획자로 일하고 계신 지인이 없어 염치 불고하고 용기 내어 여쭤보려고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M/PO/기획자
#고민
#개발자
#개발자_진로
#기획자
#pm
답변 1
댓글 2
추천해요 1
조회 237
일 년 전 · 백승훈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개발자 QA회사 입사질문
개발자를 준비하고있는 26살 남자입니다 개발자로 취직하고싶어서 이력서를 몇백개는 넣었는데 연락이 없습니다 (현재 자바 언어로 포트폴리오도 준비한상태) 근데 아웃소싱 QA회사에서 포지션제안이 와서 고민중입니다 해당 회사에 대해 찾아보니 급여도 적고 물경력만 쌓이고 업무난이도도 낮다고하더군요.. 칼퇴근만이 회사의 장점이라고 다들 입을 모아 말합니다 지금 고민이 QA회사에서 1년정도 경력을 쌓고 개발자로 이직을 해야할지 이 경우 물경력이라고 경력인정도 안된다고 다들 말하시더군요 그래서 그냥 이런 경력이 있다고만 서술하고 신입으로 지원해야할거같은데 1년의 시간을 투자할만한지 아님 그냥 경험삼아 1년이라도 다녀보는게 좋을지가 고민입니다.. (생활비가 부족하거나 이렇지는 않습니다 ) 첫 직장이라 고민이 많습니다 ㅠㅠ QA현직자 분들, 다녀보신 분들 개발자로 이직해보신 분들.. 현실적인 조언과 충고가 필요합니다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ㅠㅠ
개발자
#신입
#개발자
#qa
답변 2
댓글 0
조회 414
일 년 전 · JSON 님의 새로운 답변
편입 or 취준 뭐가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SI회사에서 QA 1년차 직장인입니다 약 3년전 국비지원 6개월 다니며 개발자를 꿈꿨는데 나태함과 무지함에 부딪혀 결국 QA가 되었어요 언젠간 공부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결국 1년이 지나버렸네요 몇번이고 자바에 도전해보고 정보처리산업기사, SQLD 등 여러 시험에 준비해보았지만 실무랑은 완전히 다른 것 같더라고요 컴공과 편입으로 다시 학교를 다니며 협업, 소통 능력, 기본 지식을 배우고자 합니다 선배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편입을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개발자 준비에 올인하는데 나을까요?
개발자
#편입
#개발자_진로
답변 1
댓글 0
조회 101
일 년 전 · 이승훈 님의 새로운 댓글
QA 경력있는 개발자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개발자가 qa 경력이 있으면 회사 지원할때 도움이 될까요? 아님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까요???
개발자
#qa
#개발자-취업
답변 2
댓글 2
조회 542
일 년 전 · 프레드윰 님의 새로운 답변
이직을 준비 중인데 이게 맞나 싶네요...
안녕하세요. 비전공자 3년차 웹 개발자입니다. 전에 회사는 중소에 유일한 백엔드 개발자라 풀스택으로 일했었구요. 작년 12월에 회사를 관두고 공부하며 이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중견기업 erp/mes 개발자로 합격했는데.. 사실 그냥 개발이 아니라 qa같은 개념입니다.. 영림원 erp에 mes관리 직인데.. 전망이 있는건지 감이 안오네요... 경험을 쌓아서 Erp컨설턴트가 될 수 있다면 해보고 싶은데 검색해보면 전망이 없어보여서요.. 차라리 좀 더 기다리고 규모가 작더라도 IT회사를 가는게 정답일까요...? 선배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개발자
#이직
#이직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336
4달 전 · 손은실 님의 새로운 댓글
신입 개발자 이력서와 포트폴리오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3년제 컴퓨터 전공 졸업 후 2년 공백을 깨고 신입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 준비 중입니다.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여러 차례 수정하고 서비스, SI, 솔루션 등 여러 기업에 지원했으나 소식이 없어 피드백을 부탁드립니다! 채용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이력서 양식을 요구하는 곳 이 외에는 노션으로 직접 만든 이력서를 제출하고 있습니다. 노션 이력서의 Skill 부분을 2가지로 만들어봤는데, 어떤 게 좋을 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레이아웃은 피드백 반영 후 수정 할 예정입니다.) 어필할 부분이 부족한 것 같아 블로그 활동 이력을 어느정도 쌓은 뒤에 회사 지원을 하려고 했으나, 일단 도전하는 게 맞는 것 같아 이력이 작지만 소개란에 적어봤습니다. 다른 신입분들과 공유할 수 있게 전체 공개로 올려두겠습니다.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E9NcPidZwXSyQAbIXPtrNkWd0TpdujJh?usp=sharing
개발자
#신입
#이력서
#포트폴리오
#취업
#백엔드
답변 3
댓글 4
추천해요 22
조회 5,002
일 년 전 · 개발자H 님의 새로운 답변
QA 준비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학과 4년제 졸업 후 현재 공부 중인 취준생입니다! 원래 android 개발자 준비를 하다가 최근 QA 분야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QA가 어떤 일인지는 알고 있지만 어떤 자격증, 능력을 갖추면 좋은지 주위 QA 관련 질문할 분들이 없어서 질문 올리게 되었습니다!
개발자
#qa
#취업고민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29
일 년 전 · kevin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이거 번아웃 증상 맞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3~4년차 프론트 개발자이고 작년 말에 b2b 스타트업으로 이직하여 약 4개월 정도 근무하고 있습니다. 전 직장은 이커머스 업계였고 주로 백오피스 쪽 개발을 주로 담당했습니다. 이전 회사는 인턴십으로 입사했고 그 시절을 떠올려보면 뭐든지 흡수하고 빠르게 배우는 진공청소기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어떻게든 정규직으로 전환되고픈 절박함 때문이었는지 퇴근하고 나면 JS 코어 이론이나 궁금했던 브라우저 관련 지식들을 닥치는대로 검색하면서 정리했습니다. 심지어 아침에 지하철로 출근하면서 구독한 아티클을 틈틈이 읽으면서 나름 트렌드를 익히고 공부했었죠. 배운 지식을 그대로 개발에 쉽게 활용할 수 있었던 환경 덕분이었는지 나름 재밌었던 같았습니다. 하지만 지금 직장을 옮기고 나서부터 그저 무기력할 뿐입니다. 처음 여기 면접보았을 때는 이미 출시한 프로덕트가 있다고 들었고 나름 현실적인 수요층이 있는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 스타트업에서 제대로 성장해보자고 결심하고 헤드헌터, 전 직장동료들과 지인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여기로 이직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와보니 프론트 개발팀은 전부 주니어 개발자들로만 있었고 심지어 제가 2순위로 연차가 높은, 말그대로 제가 믿고 따를 사수가 없어서 조금 불안하더군요 게다가 2달을 주기로 고객들을 대상으로 릴리즈 오픈을 하는데 2달이라는 한정된 시간 내에 기획팀에서 정책을 내놓는 일정이 늦춰지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그래서 정책과 API가 개발될 때까지 한달 동안 붕 떠있다가 나머지 한달 내내 야근을 하면서 벼락치기 식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팀 인원이 5명도 되지 않은데 몇 십개의 페이지들을 한달 안에 개발하고 QA까지 진행해야 하니 시간에 쫓기면서 결과물이 나오도록 짜집기식으로 페이지를 만들게 되더군요. 게다가 오픈일까지 일주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 갑자기 추가로 개발할 페이지들이 있다고 요청이 들어오기도 하고 계속 결론이 나지 않는 리뷰 회의에 들어갔다 오면 어느새 2~3시간 지나서 개발할 시간이 부족해지곤 합니다. 그러다 과연 이 서비스를 정식으로 출시한다고 해도 과연 타사들과 경쟁할 정도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 들었고 솔직히 이 프로덕트에 믿음이 가지 않더군요. 다들 퇴사하고 싶다거나 회사 욕을 하는 등의 부정적인 얘기들이 뒤에서 자주 오가고(지난 주에 한 분이 나갔는데 이게 도미노의 시작이 아닐까 합니다) 저조차 여기서는 도저히 개발자로서 성장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여기 1년을 채워서 근무해서 남을게 없을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심적으로 매우 지쳐서 최근에는 제가 왜 개발자가 되었는지와 월급을 받아가면서 무엇을 추구하려는지에 대해서 자주 고민하고 있고 이참에 개발 직무 자체를 포기하고 싶습니다. 지금은 사실 성장할 의지도 거의 없고 그저 퇴근하면 개발 관련된건 아무 것도 하기 싫을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하루종일 앉아있어도 집중도 잘 안되고 개발하려고 고민한다면 어느새 1시간이 지나있곤 해서 "내가 이것 밖에 안되는건가?" 등의 부정적인 생각이 들면서 제 경력에 대해서 자책하기도 하고 심지어 최근에는 하도 야근과 주말 근무를 하다보니 한달 근무시간이 200시간을 넘겨서 강제로 퇴근한 적도 있는데 제가 일을 잘 못하는 사람으로 낙인이 찍히는게 아닌가라는 불안감도 생겼습니다. 혹시 저와 비슷한 경험을 가지거나 가졌던 분들이 계시다면 어떻게 극복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을 짚어주신다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개발자
#이직
#번아웃
답변 5
댓글 1
추천해요 11
조회 2,939
일 년 전 · . 님의 새로운 댓글
기획자가 QA를 하는 경우
저는 현재 신규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고, 저희 팀에 따로 QA 담당자가 없는 상태여서 제가 체크 리스트나 시나리오 등을 작성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생각보다 막막하고 너무 오래걸려서 지금 하는 일에 방해가 될 정도라 업무 분담을 생각하고 있는데요. QA 엔지니어가 없는 상황을 가정하면 주로 기획자 / 개발자 둘 중 어느 직무가 QA를 진행하나요?
PM/PO/기획자
#qa
답변 1
댓글 1
조회 295
일 년 전 · 윤세희 님의 새로운 댓글
프론트엔드 테스트코드 작성과 QA비용 감소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면 QA 비용을 줄일수있을지 궁금합니다! 저희 회사는 QA팀이 별도로있지않고 다른팀에서 QA를 해주고계십니다. QA를 넘기기전에 철저한 테스트를 진행하려면 개발일정외에 테스트를위한 일정을 할당받아야하는데 매번 최소한으로 받거나 건너뛰는일이 많아서 빠른시간안에 확인해야하다보니 기존 모든기능들을 확인할수없다거나 꼼꼼함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테스트해도 확인해야하는 기능의 범위가 넓어지면 누락되는 부분들이 생깁니다. QA단계에서 발견되는 이슈들이 많아지면 일정도 늘어나게되고 놓치는 이슈들은 고스란히 유저에게 영향이갑니다. 이렇다보니 개발을할때 개발자체보다 테스트에대한 부담이 더 커지고있습니다. 검색을 많이해보았으나 툴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이론적인 글들이 많고 사례나 결과에대한 글을 찾기어렵더라구요. 결론적으로 프론트 테스트 작성 시 위와같은 부담과 리스크들을 줄일 수있는지 실제 현업에서 사용하고있는지, 효과가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경험을 공유해주신다면 큰 도움이될거같습니다!
개발자
#react
#테스트코드
#프론트엔드
답변 2
댓글 2
추천해요 1
조회 553
일 년 전 · 김태양 님의 새로운 댓글
App 배포 및 테스트 환경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보통 개발 서버 환경에서 기능을 구현한 후 테스트를 진행한 뒤에 prod 환경으로 전환하여 앱 업데이트를 진행하게 되는데, QA 테스터들에게 배포되는 Testflight 버전에는 개발 서버 환경으로, 이후 해당 버전을 스토어에 올렸을 경우에는 운영 서버를 보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개발 서버/운영 서버를 별개로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다른 앱 개발자 분들은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셨는지 여쭤봅니다! 참고로 저는 React Native로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개발자
#app
#react-native
#testflight
답변 1
댓글 1
조회 229
일 년 전 · 포크코딩 님의 답변 업데이트
스타트업 개발.. 원래 다 이런가요?
안녕하세요 부트캠프에서 공부하고 바로 스타트업으로 취직해서 프론트엔드 직무를 맡고있는 2년차 개발자입니다.. 제가속한 회사는 업력4년차 saas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입니다. 입사 초반에는 자금을 위해 다른 스타트업이 그렇듯 외주업무를 받아 개발자들이 진행을 했었습니다. 나름대로 2년동안 일하면서 1인 앱개발, si 프로젝트 1인 8개 이상 개발해왔고 회사내에서 인정받아 승진에 연봉인상도 받았습니다. 문제는 자사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부터였습니다ㅠ 지금 현제 기획-개발 프로세스는 대표 머릿속 아이디어-> 기획자 전달-> 기획-> 대표 피드백-> 승인후 개발자 피드백-> 개발 -> qa 이렇게 이뤄지고있습니다. 과정자체만 보면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문제는 이모든과정이 5일안에 이뤄진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기획은 주당 2~3개정도입니다. 실질적으로 개발쪽에서 완성된 기획을 받는 시점은 수요일 퇴근전이고 백엔드 erd수립하고 api다 나오면 빠르면 목요일 퇴근전입니다. 그럼 프론트는 화면을 짜다가 해당 api를 받고 목요일야근-금요일 야근 - 야근 중 qa 그럼또 야근 이런식입니다. 이런 문제점을 말했더니 원래 스타트업들이 다이렇다며 제가 잘 모르는거라고하는데 보통 다 이렇게 진행하는건가요..? 이렇게 쫒기듯이 개발을 진행하다 보니까 컴포넌트 재활용이고 뭐고 복붙 혹시 사용할지 모르니까 주석처리 의 연속인 똥덩어리 코드만 계속 쌓이고 있는기분입니다.. 회사자체의 연봉이나 대우는 좋지만 계속 이런식의 경력을 쌓는게 개발자로서의 커리어에 도움이 될지 그리고 대표가말한대로 스타트업이 원래 다 그런건지 의견을 여쭤보고자 답답한 마음에 글올려봅니다 ㅠㅠ
개발자
#개발
#스타트업
답변 1
댓글 0
조회 624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취준생 부트캠프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컴공 전공생 이번에 졸업합니다 분야 : 백엔드 , si도 상관없습니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한개 목표 : 일단은 중하급 회사부터 가고싶습니다 . 수준 : 간단한 프로젝트 정도만 가능 , 백준 솔브드는 실버 정도 제가 찾아본 부트캠프가 1) 구름톤 1기 웹 백엔드 부트캠프 https://kdt.goorm.io/?utm_source=google&utm_medium=cpc&utm_campaign=basic&utm_term=%EC%BD%94%EB%94%A9%20%EB%B6%80%ED%8A%B8%20%EC%BA%A0%ED%94%84%20%ED%9B%84%EA%B8%B0&gclid=CjwKCAiAkp6tBhB5EiwANTCx1Bz8Ug4C8XGtv25c6OfhNX3x6Mwz30Umt62_DVM-NYbpwXqh_DGWlRoCwusQAvD_BwE 2) 프로그래머스 (React . node) 하는 부트 랑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20814/20814-2%EA%B8%B0-k-digital-training-%ED%83%80%EC%9E%85%EC%8A%A4%ED%81%AC%EB%A6%BD%ED%8A%B8%EB%A1%9C-%ED%95%A8%EA%BB%98%ED%95%98%EB%8A%94-%EC%9B%B9-%ED%92%80-%EC%82%AC%EC%9D%B4%ED%81%B4-%EA%B0%9C%EB%B0%9Creact-nodejs?utm_campaign=school_20814_main&utm_content=20814_txt&utm_medium=AD&utm_source=boottent 3) 네이버 클라우드 캠프 ( 백엔드 + 데브옵스 ) 인데 https://ncamp.kr/?utm_source=BootTent&utm_medium=231201_Ncamp_Devops_BootTent_TitleTag_AD&utm_campaign=231201_Ncamp_Devops_12_19.29_Open_BootTent_Title_AD&utm_id=231201_Ncamp_Devops_BootTent_TitleTag_AD 커리큘럼이 좋은건지 아닌건지 구분이 안가서 궁금합니다.
개발자
#node-#spring-#be
#node-#spring-be
답변 1
댓글 2
조회 362
일 년 전 · 이희준 님의 답변 업데이트
Qa, 테스터를 서브직무로 생각하는데요
전 국비1회 수료하고 학원다니면서 코딩공부도 배워ㅓ 1인프로젝트 2회 제작한 경험이있는데 포트폴리오도 있고 오류내역, 해결과정이 상세히 적혀있음 이런 경험을 들이 밀어도 qa, 테스터가될수있나요 지난달에 우연히 테스터 직무 서류통과는 되었는데 면접탈락함. 그럼 적어도 떨어뜨릴 건덕지는 없다는 뜻인데 과연이게 우연인지 아닌지, 그리고 필요하다면 어떤 경험이 필요한지 알려주세요 성격은 차라리 저처럼 걱정많은 성격이면 테스터가 더 나을지도 모른다 해서 지난달 중순부터 거의 지금 까지 테스터쪽으로만 서류제출합니다
개발자
#qa
#테스터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29
일 년 전 · 이세용 님의 질문 업데이트
QA 이직을 위한 역량은 어떤 부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QA에 진심인 1년차입니다. 현재 개인적으로 포스트맨을 이용한 API 테스트, selenium이나 appium을 이용해서 자동화 테스트도 시도해보는 중이고, 테스트 케이스를 재미삼아 작성 중이기도 한데 혼자서 하다보니 한계가 있습니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서치 중인데 QA가 참여할 수 있는 자리는 거의 없는 것 같아요... 더 넓고 다양한 툴과 기술을 사용해서 더 나은 품질의 제품을 만들고 싶습니다. 기업이나, 개발자 분들이 소통하고 싶어하는 qa의 역량은 무엇이 있나요?
개발자
#qa
#이직
#커리어
#기술
답변 0
댓글 0
조회 135
일 년 전 · 박장환 님의 질문 업데이트
취업과 진로에대해 고민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취업과 진로를 고민중인 27살 전문대학생 입니다. 군대를 다녀온후 24살에 고졸로 소프트웨어 QA로 2년동안 일한 경력이 있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재택근무와 온라인 강의를 활용하여 학교에 진학하였고 현재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현재 2학년 졸업반으로 취업과 편입 후 학사진학을 고민하고있는데 진학을 하게될경우 나이가 신경쓰여서 고민이됩니다. 또한 여러 가지를 배웠지만 취업에 있어 공부해야할 알고리즘이나 CS지식도 필요하기에 취준기간이 길어질것으로 예상됩니다. 추후 기회가 된다면 석사까지 공부를 하고싶어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싶은데 만약 대학원을 가지않는다 해도 30살의 나이는 취업에 굉장히 불리하지않을지 질문드립니다. 마음이 학위 취득쪽으로 기울어진건 맞지만 현직자분들에게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진로
#전문학사
답변 1
댓글 1
조회 140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플러터 디바이스별 화면 질문합니다...ㅠ
이번에 플러터로 처음 실무 개발을 해보았는데요 사수가 없다보니 어떻게 이것저것 검색해서 PC, 태블릿, 모바일까지 개발했습니다. 테스트 서버에 배포하고 QA중에 크롬 개발자모드에 있는 모바일 태블릿쪽 화면에서는 여백도 잘 맞게 나오는데, 실제 디바이스에서의 크롬, 사파리, 삼성인터넷 같은 기본 인터넷 어플에서 여백이 다르게 출력됩니다 이 경우에 대해 검색을 이틀내내 해봤지만 도저히 해결방법을 모르겠어서.. 혹시 방법 아는 선배 개발자분들이 계실까요..?
개발자
#flutter
#플러터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180
일 년 전 · 임동규 님의 답변 업데이트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 고민
안녕하세요. IT스타트업에 입사한지 5개월 된 신입 백엔드 개발자 입니다. 현재 제 상황 바탕으로 커리어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고 있는 중입니다. 지금까지 회사 상황을 정리해봤으며, 질문은 마지막에 있습니다. 꼭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니더라도, 제 상황에 대해서 말씀해주실 부분이 있다면 자유롭게 답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회사 이야기 - 백엔드 기술 스택 : Kotlin, Spring boot, MariaDB, Mybatis, Kafka - 입사한 이후로 지금까지 계속 코드 품질, 개발 생산성 개선보다는 일정 압박받으며 API 찍어내기 바쁨. (백오피스 개발 프로젝트 진행중) ## 기술 - 코드리뷰 없음 - dev 브랜치에 바로 커밋&푸시 - 먼저 물어보지 않는 한 피드백이 거의 없고, 팀원분들 항상 바빠서 자주 물어보기도 어려웠음 - 테스트코드 없음 - 백엔드 팀원 개개인이 포스트맨으로 테스트함 - 스펙 A or 기능 A 가 수정된 이후에 기능 B 가 영향받는지 여부를 사람의 기억력에 의존하고, QA 나오면 그때 문제점을 인지함. (기획,운영팀분들이 QA로 못 찾으면 문제점 인지 못함) - 개발팀장님께 테스트 코드 작성을 건의했으나, 시간 부족과 잦은 기획 변경을 이유로 반려됨. - Mybatis 사용 - 원래 JPA, queryDSL 이었으나, raw 쿼리문을 써야 쿼리 최적화를 잘 할 수 있다는 이유로 대표님이 도입 - 개발 생산성이 저하됨 - REST API 변형 - 대표님께서 보안 강화를 위해서 모든 API 요청은 POST로 보내되, end point 를 get-staff-profile 이런 식으로 작성한다고 통보함 ## 소통 - 비합리적인 일정 - 개발자 의견 반영 없이 경영진이 일방적으로 결정 - 그래서 야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생기고 “항상” 일정이 미뤄짐. - 개발자들이 여러번 항의했으나 의견 반영 안 됨, 개발팀장님이 경영진이랑 대화가 안 된다고 포기한 상태 - 기획팀 소통 비용이 높음 - 피그마 UI 보면서 개발 중인데, 기획의도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직접 메신저로 물어보거나 이후에 QA 올라와서 의도를 깨달음. # QnA 1. 경력 초반에 성장하고 싶은데, 이 회사에서 백엔드 쪽으로 잘 배우고 좋은 문제 해결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 이 회사에서 제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2. 이직을 생각해야할까요? (1년 미만 경력이라 고민됩니다.)
개발자
#백엔드
#주니어
#이직고민
#스타트업
#개발자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조회 449
2년 전 · 삭제된 사용자 님의 새로운 댓글
QA 직무 커리어 궁금해요
QA 직무에 관심있는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개발자분들은 시간이 지나 10년차, 20년차 시니어가 되셨을때 기술영업, CTO, PM, 컨설팅, 한 기업의 CEO 이렇게 커리어를 이어나가시는걸 봤는데 제가 QA에 관심을 이제 막 갖게되었고, QA 엔지니어 분들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작은 기업에서 근무하다보니 QA 직무 내용이 어떻게 되는지, 커리어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 잘 모릅니다ㅠ 엔지니어 분들의 커리어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 시니어 QA 엔지니어분들은 어떤 일을 하시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qa
#qa엔지니어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2
조회 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