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전 · Joy 님의 새로운 답변
선배님들.. 할 줄 아는게 없어 걱정이에요
안녕하세요 비전공자 30대 취준생입니다. 다른 직종에서 일을 하다 늦게 개발자가 되고 싶어 비전공자로 국비 과정평가형 풀스택을 수강완료 후 정처산기까지 자격증은 취득하였습니다. 그런데 제가 학원 다닐 때 코드를 따라치는 것 밖에 못하고 수업내용도 다 따라가지 못해 제 수준이 수료는 했지만 취업은 택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핑계라면 핑계이지만 학원 다닐때 제 생각보다 너무 빠르게 진도를 나가시고 질문 했을때 답변도 대충..해주셔서 코드 따라적기에도 시간이 모자랐었습니다. 그리고 주위에서 들었을땐 팀프로젝트를 하고 포트폴리오 등 알려주신다 했지만 강사님이 시간이 없어 하지 못하고 수료했기에 더욱 방향을 잘 못 잡겠습니다. 지금은 학원 다닐 때 받은 책으로 유튜브 강의를 들으며 다시 다 따라해보고 공부 중인데 유튜브만 들었을때 이해가 잘 안가는 것들도 있고 이렇게 공부하는게 맞는지도 의심스러운 상황입니다.. 학원때부터 지금까지 벌써 1년이 다되어 가는데 할 줄 아는게 없고 너무 막막한 상황인데 취업을 할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ㅠㅠ 여러 검색을 해보다 커리어리를 알게되었고 개발자 취업준비생들도 질문을 할 수 있길래 선배님들의 조언과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싶어 질문을 올려봅니다... 현재 JAVA기반 풀스택으로 학원 다녔으며 이제 막 자바웹 JSP 공부중인데 신입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해야할지 프로젝트는 어떻게 해야할지 제일 걱정이에요ㅠ 제가 과연 백엔드 개발자가 될 수 있을까요..? 구글링도 많이 해봤지만 학원 광고들이 대부분이라 혹시 먼저 공부해보신 선배님들이 조언이나 해야할것들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
개발자
#백엔드
#비전공자
답변 3
댓글 0
조회 363
5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기업에서 사용하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현재 취업준비생인데 자연어 처리 분야로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 기업은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중소기업, 스타트업 다 생각 중에 있습니다. 자연어 처리 쪽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남깁니다. 기업들의 자격조건들을 보면 pytorch나 tensorflow 등 사용 경험이 나왔습니다. 보통 개인적으로 학습할 때는 pytorch나 tensorflow 등을 사용해서 LSTM 같은 모델들을 직접 짜보는 경험들을 하지만 요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GPT, Gemma, Huggingface 등 이런 모델들을 불러와서 파인튜닝하고 평가할때만 pytorch를 이용해서 하는 거 같습니다. 실제로 기업에서는 직접 LSTM 같은 모델들을 설계하여 사용하는 지 그 정도 수준의 pytorch 수행능력을 가져야 하나요 아니면 외부 모델 파인튜닝을 더 많이 해서 pytorch의 수준 능력이 고급까지 아니여도 되는 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취업
#취준생
#자연어처리
#ai
#인공지능
답변 0
댓글 0
조회 28
7달 전 · 동우 님의 새로운 댓글
개발자의 트렌드와 취업 그리고 개발자의 소향
괴리감이 들어 이렇게 글을 몇자 적어봅니다. '아무리 트렌드라 해도 사용하는 이유가 있어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이 요즘 들어 심히 요동을 칩니다. 그래서 저가 다른 취업준비생 보다 늦나 봅니다. 너그러움 없이 이유를 찾으려는 저의 행동이 어떨땐 집착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또는 저의 경험이 부족해서 발생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취업은 열정으로만 되지 않는다는걸 요즘 느낍니다. 취업은 취업이고 개발은 개발인가 봅니다. 미련맞은 취준생인 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개발자
#공부
#취업
#개발고민
#공부법
#트렌드
답변 2
댓글 1
조회 97
8달 전 · 이상래 님의 새로운 답변
백엔드 프레임워크 선택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 Spring Framework vs NestJS
안녕하세요 저는 React기반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약 1년정도 근무를 했었고 퇴사한 뒤 현재는 백엔드 개발자를 지망하고 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제 고민은 백엔드 프레임워크 Spring Framework와 NestJS중 어떤걸 선택하여 집중할지 고민입니다. 일단 이런 고민을 하게 된이유는 제가 목표가 하나 있기 때문입니다 취업을 하고 일을하면서 취미로 1인 서비스 개발을 여러개 해보며 유의미한 성과를 내보는것입니다. ChatGPT에게도 물어보고 구글링도 해보며 조사를 해본 결과 취업은 Spring Framework 1인 개발은 NestJS가 더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ChatGPT에게 추가로 1인 개발에 NestJS가 Spring Framework와 비교하여 얼마나 더 적합하고 더 빠른지 수치화로 물어봤는데 대략 25%더 적합하고 10~20% 빠르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이거는 사실인지도 좀 궁금하네요... 결론적으로 취업과 1인 서비스 개발을 모두 고려한다면 일반적인 상황에 어떤게 더 나은 선택일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의견을 정말 간절히 듣고싶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backend
#java
#nest.js
#node.js
답변 2
댓글 0
조회 191
9달 전 · 오두호 님의 질문
신입 백엔드 개발자 이력서 질문 및 피드백 요청드립니다!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하길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이력서 작성에 왕도는 없겠지만, 선배님들이 어떻게 작성했는지 혹은 채용자 입장에서 괜찮은 이력서를 찾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많이 찾아보다보니까 오히려 머리가 복잡해지는 것 같아서 최대한 제 얘기를 담은 이력서를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다만, 제가 작성하는 방법이 채용자가 원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기에 몇가지 질문과 가능하시다면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선배님들이 계실까 해서 글 남겨봅니다. Q1. 이력서 내 프로젝트에서 기여 혹은 개선사항을 작성할 때 사용한 기술을 상세히 적으며 풀어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혹은 어떤 점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포괄적으로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ex) 사용자 인증 정보를 RedisTemplate의 opsForValue 메소드를 통해 캐싱하여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vs Redis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정보 캐싱으로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적절한 예시일지 모르겠지만 생각나는대로 적어봤습니다,,ㅎ) Q2. 직무와 연관되지 않았지만 활용될만한 기술스택은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제외해도 괜찮을까요? ex)Scrapy, Selenium등의 크롤링 툴, 프론트엔드 기술 Q3. 이력서 외에 자기소개서 내용에서 기술적인 얘기를 많이 담는 것이 좋을지 항목에 맞는 에피소드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자기소개서를 읽는 채용자는 기술에 대해 자세히 모를 수 있다는 얘기도 들어봐서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1번 질문의 의도와 비슷한 내용일 것 같네요.) 이외에도 혹시 개인적으로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이력서 공유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도움 주실 수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LFqNNNQ3skF26xInwbYzxjZOGIlzE0lQ/view?usp=drive_link 링크 첨부를 했는데 반영이 안돼서 다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개발자
#취업고민
#취업
#취업준비생
#백엔드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16
9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신입 백엔드 개발자 이력서 관련 질문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하길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이력서 작성에 왕도는 없겠지만, 선배님들이 어떻게 작성했는지 혹은 채용자 입장에서 괜찮은 이력서를 찾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많이 찾아보다보니까 오히려 머리가 복잡해지는 것 같아서 최대한 제 얘기를 담은 이력서를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다만, 제가 작성하는 방법이 채용자가 원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기에 몇가지 질문과 가능하시다면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선배님들이 계실까 해서 글 남겨봅니다. Q1. 이력서 내 프로젝트에서 기여 혹은 개선사항을 작성할 때 사용한 기술을 상세히 적으며 풀어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혹은 어떤 점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포괄적으로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ex) 사용자 인증 정보를 RedisTemplate의 opsForValue 메소드를 통해 캐싱하여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vs Redis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정보 캐싱으로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적절한 예시일지 모르겠지만 생각나는대로 적어봤습니다,,ㅎ) Q2. 직무와 연관되지 않았지만 활용될만한 기술스택은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제외해도 괜찮을까요? ex)Scrapy, Selenium등의 크롤링 툴, 프론트엔드 기술 Q3. 이력서 외에 자기소개서 내용에서 기술적인 얘기를 많이 담는 것이 좋을지 항목에 맞는 에피소드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자기소개서를 읽는 채용자는 기술에 대해 자세히 모를 수 있다는 얘기도 들어봐서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1번 질문의 의도와 비슷한 내용일 것 같네요.) 이외에도 혹시 개인적으로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이력서 공유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도움 주실 수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취업
#백엔드
#개발자
#고민
#취업고민
답변 1
댓글 0
조회 127
일 년 전 · 디큐 님의 새로운 답변
신입 개발자 이력서 피드백 해주실 선배님 계실까요..? 8개월 간 입사지원을 했지만 계속해서 서류 불합격 통보를 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현재까지 약 8개월 동안 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이공계열 졸업한 취업준비생입니다. 현재까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등 약 90곳에 공채와 수시 채용을 지원했는데, 기술면접 한 번, 서류 합격은 2번입니다. 코딩을 접했던 공학계열이지만 프론트엔드가 아니었기에 졸업 후 프론트엔드 교육과정을 수료했고, 더불어 개인/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술적인 부분에서 역량을 키우고자 지난 8개월간, 많이 부족하지만 노력하며 보완해 왔습니다. 동기에게도 이력서에 대한 피드백 받고, 많은 곳에 공개된 이력서 작성 팁에 따라 계속해서 이력서를 개선하고 있지만 계속된 서류 탈락에 '제대로 하고 있는게 맞을까?'라는 생각과 동시에 '앞으로 어떻게 진행해 나가야할지' 하루하루 불안감이 들고있습니다. 그래서 용기를 내어 여기 계시는 선배님들께 피드백을 요청드리고자 합니다. 만약 이력서를 보시고자 하는 선배님이 계시다면 이메일로 pdf 파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피드백을 못 주시더라도 저의 긴 고민글을 시간 내어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저녁 보내세요 :)
개발자
#이력서-피드백
답변 1
댓글 0
조회 452
일 년 전 · 정연 님의 질문
디자이너 포트폴리오 주제잡기 고민..
안녕하세요! 올해 졸업예정을 앞두고 있는 UX/UI디자이너 취업준비생 입니다. 대학 3학년이후로 프리랜서와 학교 수업을 병행하며 팀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를 쌓아왔는데.. 졸업하고보니 쓸만한 개인 포트폴리오가 없다는 어려움이 닥쳤습니다 ㅜㅜ 취업을 위해 개인 포폴을 2-3개라도 빨리 만들어야하는데 마음이 조급해서 그런지 괜찮은 주제거리를 잡아서 집중할수가 없네요 ㅜㅜ 개인 디자인 포트폴리오 제작하신 선배님들은 프로젝트를 어떻게 시작하셨나요? 어떤 고민을통해 주제를 잡아야할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ㅜㅜ🙇
디자이너
#디자이너
#취업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답변 0
댓글 0
조회 216
일 년 전 · 박정환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자 직장 지역이 상관 있나요?
저는 충남에 거주중인 백엔드개발자 취업준비생입니다. 채용사이트들의 입사지원을 넣어보고, 면접을 보면서 궁금증이 들었는데요 개발직종의 회사가 경기도권과 서울쪽에 몰려있다보니 그 위주로 지원을 하게 되었는데 회사의 규모가 더 큰지, 잡플래닛 리뷰가 좋은지와 상관없이 서울권 기업의 지원율이 훨씬 높더라구요 예시1. 자사솔루션 커스터마이징 서울: 100명초반의 사원수, 경기도쪽 대비 낮은 매출액 -> 300명대 지원자 경기: 170명대의 사원수, 잡플래닛 평점 2점 후반대 -> 160명대 지원자 예시2. 웹개발자 서울: 21명의 사원수, 강서쪽 -> 200명대 지원자 경기: 70명의 사원수, 군포쪽 -> 30명대 지원자 공고를 올린 기간이나 이런부분은 거의 비슷한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제가 예시로 보여드린 기업들 중에서는 저는 경기쪽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단순히 서울 사는 인구가 많아서 근처로 지원을 한 것인지 아니면 서울 쪽으로 취업 후 이직 시 이점이 있기에 지원율에 차이가 있는 건지 왜? 지원자 수에서 차이가 나는지 근본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많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취업
#백엔드
#서울
#경기
#지원율
답변 2
댓글 0
조회 274
10달 전 · lepffm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로젝트 리팩토링 어디까지 진행하는 것이 좋을까요?
백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지금까지 팀 프로젝트, 개인 프로젝트 등 여러가지 사이드 프로젝트들을 진행해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새로 배운 기술들,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던 문법 등 다양한 것들을 공부하면서 이전에 작성했던 코드들을 바라볼 때 어떤 시야로 바라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먼저 진행했던 a 프로젝트에서 api 응답 방식을 단순히 ResponseEntity를 활용해왔다고 가정하고, 이후 진행한 b 프로젝트에서 응답 형식을 커스텀한 DTO 클래스를 활용했다고 가정했을 때 b프로젝트에 활용한 방식이 더 낫다고 느껴진다면 a프로젝트에 해당 부분을 리팩토링 하는 것이 좋은 공부 방법인가요? 새로운 것을 계속 공부하고 프로젝트마다 다른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서 이전 코드를 바라보면 “왜 이렇게 짰지?”라는 생각도 들고 뭔가 이걸 개선했던 이유들을 되돌아보며 얻는 것들이 있다고 생각해서 개인 공부 목적의 프로젝트 외에 진행했던 사이드 프로젝트에 관한 리팩토링은 크게 진행하지 않고있습니다. 다른 개발자분들은 어떤 기준으로 리팩토링을 진행하고 어떤 공부방법을 선호하시는지 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
개발자
#백엔드
#리팩토링
#취업
#백엔드개발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1,518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게임개발자 진로방향성에 대해 여쭙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24살 게임개발자를 꿈꾸고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전공을 컴공과로 졸업했고 네트워크나 프로그래밍쪽 IT쪽을 공부를했었고 C ++ 언어에 흥미를 가지고 공부중입니다 제가 평소에 게임을 좋아하기도하고 하는입장이 아니라 직접 만들어보고싶어 엔진쪽을 찾아보니 대표적으로 유니티/언리얼 엔진이 있더라구요 제가 지원하고싶은쪽은 언리얼엔진쪽이 대부분이라 언리얼 엔진에대해 공부를 하고싶습니다 독학을 해봤으나 너무 성과물이 더디고 진도가 늦어 국비로 지원받아 학원에가서 포트폴리오도 제작을하고 조금더 자세하게 그리고 전문가한테 도움을받고싶어 Hrd-net사이트에서 찾아보고있습니다 그래서 학원을 알아보고있는데 주변에 언리얼엔진쪽 게임개발자 조언을 해줄분도 없고 해서 한번의 선택을 빨리하지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현직에 언리얼엔진을 사용하고계신 게임 개발자분들중에 이런과정을 들으면 좋을꺼같다 이런학원을 추천한다 어떤식으로 공부를 했으면 좋겠다 이런건 하지말았으면 좋겠다 등등 조언을 해주실분을 구합니다
개발자
#게임개발자
#c++
#언리얼엔진
답변 1
댓글 0
조회 169
일 년 전 · 어피치 님의 질문 업데이트
신입 개발 취업준비생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웹 개발자 신입 준비하고 있는 백수입니다. (나이는 내년에 만 26살 됩니다) 대학교 졸업은 올해 초에 했구 부트캠프를 수료하고 현재 취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 목표는 중견기업 또는 대기업 SI를 가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자기객관화를 하자면 제 목표를 달성하기에 꽤 많은 시간과 비용이 걸릴 것 같습니다. 핑계에 불과하겠지만 현재 취업시장이 좋지 않을 뿐더러 무엇보다 저의 현재 알고리즘 실력이 대기업 코테를 뚫기에는 한참 부족하고 단기간에 실력이 늘 견적은 아닙니다. (자바로 프로그래머스 LV2 중간까지 풀었습니다.) 이제 나이도 있어서 욕심 버리고 작은 직장이라도 빨리 들어가 경력을 쌓을까 생각했지만 첫 직장 연봉이 많이 중요하다길래 이것도 고민입니다. 본론으로 넘어가 선배님들의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1. 알고리즘 공부와 개인 프로젝트를 1년 정도 꾸준히 병행하면서 24년 하반기까지 준비하는게 좋을지 2. 아니면 하루라도 빨리 중소기업으로 취직하고 경력을 쌓으면서 대기업 이직 준비를 하는 게 좋을지 + 프로젝트 때 사용해본 기술은 백은 java, spring, oracle, mybatis, rest api 프론트는 html, css, javascript, ajax 정도 됩니다. 팀 프로젝트 경험은 1번 뿐이기도 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스택도 경쟁력이 많이 떨어지는 것 같아 jpa와 부트를 독학하여 토이 프로젝트로 혼자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현재 상황은 잡코리아에 중소, 중견기업 기준으로 11곳 정도 넣었는데 6곳은 면접 제의가 왔습니다. 스타트업 이런데도 넣어봤는데 거기는 제 서류를 거들떠도 안보는 느낌이었습니다.)
투표
개발자
#신입
#개발
답변 2
댓글 0
조회 403
일 년 전 · yeseul 님의 질문 업데이트
어떤 걸 먼저 공부하며 취업준비를 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비전공자이며 데이터엔지니어를 꿈꾸는 취업준비생입니다. (SQL을 처음 배우게 되었을 때 문법이 재밌어서 데이터베이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데이터엔지니어를 꿈꾸게 되었습니다. 저는 아무리 생각해도, 사이언티스트와 분석쪽은 안맞는 것 같은데 혹시 다른 데이터관련 직무가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현재 저는, 국비로 데이터분석 및 엔지니어 과정을 수료하였으나 엔지니어링 분야는 거의 배우지 못하고 아주 기본적인 sql과 파이썬 문법을 배웠고, 분석가 파트만 조금 더 접해본 상태입니다. 그래서 데이터 엔지니어링에 관해서는 처음부터 공부를 해야하는 상태입니다. 데이터엔지니어링의 시작도 감을 잡지 못했고, 데이터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찾아보았을 때 그림에 나오는 기술들이 어떤 것인지도 아직 모르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컴퓨터관련 이론도 잘 모릅니다. 자격증은 취업할 때는 막상 크게 도움이 안된다는 얘기들을 듣긴 했는데, 전혀 감을 못 잡고 있으니 관련 자격증들이라도 계속 공부하다보면 감이 잡히겠지, 도움이 되겠지라는 생각이었지만 막상 또 채용공고들을 찾아보면 기술이 더 중요한 것 같아서 고민이 됩니다. 제가 공부하려고 생각했던 자격증들은 SQLD와 정보처리기사, 더 따게 된다면 데이터 아키텍처정도 입니다. 자격증부터 하나씩 공부해가고 인강과 책을 통해 기술을 배우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처음부터 인강과 책으로 관련 기술들을 배우는 게 맞을까요? 그리고 한가지 더 여쭤보자면, 데이터엔지니어는 신입을 잘 뽑지 않는다고 하던데(실제로도 신입 채용공고가 잘 없구요...) 개발자로 경력을 쌓고 데이터엔지니어로 넘어가는 길이 제일 나은 걸까요..? 장황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약> 1. 엔지니어,분석가,사이언티스트 외에 데이터관련 직무가 있다면 추천해주세요. 2. 자격증부터 하나씩 공부해가고 인강과 책을 통해 기술을 배우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처음부터 인강과 책으로 관련 기술들을 배우는 게 맞을까요? 3. 개발자로 경력을 쌓고 데이터엔지니어로 넘어가는 길이 제일 나은 걸까요..?
개발자
#데이터엔지니어
#취업준비
#자격증
#기술공부
#데이터관련직무
답변 1
댓글 0
조회 352
일 년 전 · 민상연 님의 질문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클라우드 엔지니어, Solution Architect로의 커리어를 꿈꾸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안녕하세요 클라우드 엔지니어, Solution Architect로의 커리어를 꿈꾸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어릴적부터 컴퓨터에 관심을 가져 지금까지 넓고 얕게 여러 기술들을 배워왔습니다. 대학생이 되고 난 이후 기초 CS지식 이외에 대학교에서 실무에서 쓰이는 기술들을 기대하였지만 학과 수석까지의 과정에서 암기 위주, 시험을 위한 공부에 지쳐있는 상태입니다. 다행이도 여러 개인 프로젝트와 예창페를 위한 스타트업 프로젝트들을 많이 진행해왔고 현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 스택은 node.js, mongoDB로 백엔드를 담당하고 Flutter, React 등 풀스택 개발을 진행하던 찰나 군 전역 이후 이전부터 관심있었던 인프라, 클라우드 분야의 KDT(부트캠프)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도커, 쿠버네티스, Jenkins, AWS 등 DevOps, CI/CD 전반에 관하여 공부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백엔드 분야보다는 클라우드 엔지니어로 살아가고 싶기에 여러 고민을 하다 저보다 더 많은 경험을 가지고 계시는 개발자분들께 조심스럽게 여쭈어보고자 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1. 엔지니어로의 삶에서 학력이 얼마나 중요할까요? 현재 서울 중상위권 대학에 재학중입니다. 군 입대 이전에는 대학원이 필수라고 생각했지만 점점 더 많은 경험을 할수록 학교에서의 지식은 기초를 쌓아나가는 것일 뿐 실무와는 조금 거리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저 또한 R&D 직군보다는 실무 직군이 적성, 흥미 모두 일치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길게 보았을 때 대학원이 엔지니어의 삶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까요? (진급, 기초지식의 측면) 2. 해외 대학원이 얼마나 큰 메리트를 가질 수 있을까요? 1번과 같은 맥락으로 군 입대 이전 대학원이 필수라고 생각했을때 해외 대학원 또한 피할 수 없는 선택지라고 생각했습니다. 해외 대학원이라는 태그가 채용 시장, 그리고 앞으로의 커리어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3. 만약 1,2번 선택지 이외에 빠르게 현업으로 나갈 수 있다면 해당 선택지가 더 유리할까요? 많은 멘토분들, 그리고 일반적인 얘기로는 석사의 경력은 해당 기회비용만큼의 가치를 얻기 어렵다고 들어왔습니다. 실제 현업에서도 실무 경력이 더 많은 신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 그리고 실무 기술이 커리어를 롱런할 수 있게 만드는 키인지 궁금합니다. 4. 신입 클라우드 개발자, 엔지니어로서 가질 수 있는 역량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자는 하나의 기술 스택에 대해 깊게 알고있는 사람보다 넓은 지식을 가진 사람을 선호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역량을 쌓는 것이 (어떠한 기술 스택을 쌓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을까요? 5. JAVA..필수일까요? node.js에 대해 여기 커뮤니티의 취업준비생 분들보다는 깊게 알고있지 않지만 그래도 일반 대학생들보다는 더 익숙하다고 생각합니다. 주요 기술 스택에 node.js 백엔드이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서 앞으로의 백엔드 파트 개발을 할 때 더 깊게 들어가야 할지, JAVA로 모두 바꿔서 진행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6. 이러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현재 개발중인 두개의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참여중입니다. 두 프로젝트 모두 MSA를 지향하고 있으며 백엔드는 node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번 KDT과정이 끝나면 두 개의 프로젝트에서 전체적으로 개발과정에 있던 난잡한 코드를 리팩토링하고 Test 로직을 추가하여 다듬은 이후 두 프로젝트 모두 내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퍼블리싱을 위해 제가 풀스택에 대한 인프라를 도커라이즈하고, 쿠버네티스에 띄워보고 Jenkins로 자동화하는 등 전체적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SW의 구조에 맞게 출시할 계획입니다. 출시 이후에는 유지보수를 진행하며 모든 과정을 오픈소스와 velog에 남겨둘 계획입니다. 이런 프로젝트가 클라우드 개발자 취업준비생에게 있어서 좋은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을까요? 7. 신입 클라우드 개발자의 취업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넓고 다양한 역량이 필요한 클라우드 엔지니어의 직업적 특성상 다른 분야보다도 더 신입보다는 경력직 개발자를 선호할 것 같습니다. 지금이라도 진로를 다시 고민해봐야할지, 혹은 가능성이 있을지, 어떠한 다른 것들을 준비해야 하는지 추상적이지만 여쭤보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개발자
#aws
#kubernetes
#ci/cd
#cloud
#devops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2
조회 1,137
일 년 전 · Won 님의 새로운 댓글
연봉(면접 후 협의)
이제 막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모집공고를 보면 연봉을 면접 후 협의라고 하는데 보통 신입때는 얼마 정도를 받게 되며, 제가 먼저 제시를 하는 것인지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개발자
#연봉
#취준생
#협의
답변 1
댓글 2
조회 422
일 년 전 · 𝙍𝙞𝙘𝙝𝙖𝙧𝙙 님의 새로운 댓글
데이터 엔지니어 프로젝트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졸업 예정자로 막학기 재학중에 있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저는 당장 몇개월 전까진만해도 진로 분야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였다가 데이터 관련 수업을 들으면서 데이터에 관심이 생겨 현재 데이터 엔지니어로 취업 희망에 있습니다. 데이터 엔지니어 강의를 구매해 수강하고 있지만 이력서 제출시 필요한 포트폴리오를 위해 프로젝트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구글링을 하여 몇가지를 찾아보았는데 데이터 인제니어링 프로젝트인지 확실치 않아 고민이 되고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또한 데이터 엔지니어링을 공부하면서 공부할수록 조금 막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백엔드로 전환해야할까 하는 생각도 조금 듭니다.… 따끔한 조언과 충고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data
#database
#data-type
#data-model
답변 1
댓글 2
추천해요 1
조회 531
일 년 전 · 카도 님의 질문 업데이트
리액트 경험이 없는 프론트앤드 신입 취업준비생의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 리액트 경험이 없는 신입 프론트앤드 개발자 취업준비생입니다 국비 백엔드 수업을 들었고(국비는 프론트 과정이 생각보다 정말 없더라구요) 애초에 프론트앤드쪽으로 진로를 정했지만 여건상 자바,스프링프레임워크,제이쿼리,자스 등을 이용한 파이널 프로젝트를 1개 진행했습니다. 요즘 공고를 보니 리액트는 거의 필수 요건으로 들어가더라구요..아직 리액트를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상황이라 인강을 결제해서 리액트에 대해 경험해 보고...아마 강의를 듣고나면 클론코딩 정도로 경험을 해 볼 수 있을거같아요 그걸 조금 변환해서 포폴에 추가를 하고 접해본 경험이 있음을 어필해서 지원을 하는 방향이 더 좋을지 아님 가지고 있는 포폴이나 이력서등으로 계속 지원을 하면서 자바스크립트에 대해 더 공부를 해나가는것이 나을지 고민이 되네요... 게다가 올해 딱 30이라 마음만 급해지는데 또 강의를 듣자니 시간이 어느정도 소요될거같기도하고 여러가지로 고민이 되는 시간이네요...취업 준비생에게 조언 부탁드릴께요..!
개발자
#react
#frontend
답변 1
댓글 1
조회 777
2년 전 · 박예선 님의 새로운 댓글
react, typescript에서 테스트코드를 작성하고 싶은데 뭘 쓰면 좋을까요? 선배님들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취업준비생입니다. 취업준비와 병행하며 포트폴리오용 웹사이트 제작하고 싶어서 팀에 합류했는데요! 프론트는 react와 typescript를 사용하는 게 확정이 됐고, 저 포함 프론트 팀원 3명 다 테스트코드 작성 경험이 없어서 이번에 도입해보려고 합니다. Q. 구글링을 해보니 가장 많이 나오는게 jest인 것 같은데 어떤 걸로 하는걸 추천하시나요?
개발자
#react
#typescript
#jest
#test
답변 2
댓글 2
추천해요 4
조회 560
3년 전 · Brian 님의 답변 업데이트
해외에서 무료봉사로 경력을 쌓는 방법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개발자 취업준비생입니다 ㅎㅎ 혼자서 1년독학 후 6개월간 캐나다에서 코옵과정을 듣고 취업이 잘 안되서 무료로 일하면서 경력을 쌓고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개발자
#프론트엔드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39
일 년 전 · 이명우 님의 질문 업데이트
제 진로방향 알맞게 설정한 걸까요?
안녕하세요, 퍼블리와 레몬베이스의 APM 직군에 지원하기 위해 준비중인 취업준비생입니다. 먼저 제 질문의 요지는 "제 가치관, 성향, 미래 계획을 고려하여 설정한 APM이라는 초기 목표가 적절한가?"에요. 제가 앞서 언급했듯 특정 기업의 APM을 준비하고자 하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입니다. 첫번째, (지금으로서는) 최종 커리어 목표인 UX Writer가 되기 위해서입니다. UX Writer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여러 능력 중 메시지 관리, 텍스트에 대한 숙련도는 충분하지만 프로덕트에 대한 총체적(디자인, 개발, 기획 등) 이해와 스타트업 정신은 많이 부족한 상태입니다(아직 경력이 없습니다). PM으로 향후 7-10년간 커리어를 쌓고 UX Writer가 되는 것이 제가 생각한 그림이에요. 두번째, 제 가치관과 성향입니다. 저는 제가 필요성과 혁신성에 공감하지 못하는 제품/서비스를 위해서 일할 수가 없는 성격입니다. 그 정도가 조금 심해 입사지원하고자 하는 회사를 찾는 게 고역이더라고요. 고르고 고르다보니 APM을 뽑는 비전이 공감되는 회사가 두 군데로 추려졌습니다. 마지막 이유는 제 역량입니다. 대학을 졸업하기까지 특정 포지션을 꾸준히 취업준비하기보단 제 마음이 동하는 활동을 위주로 해왔습니다. 그렇다보니 포트폴리오를 정리해보면 하나의 포지션으로 수렴된다기보다 이것저것 해본 어중간한 이미지가 강하더라고요. 그 프로젝트들의 공통점은 "제가 하고 싶었던 것"이고요. 제가 분석한 제 역량은 grade별로 high- 커뮤니케이션 능력, 텍스트 관리 능력, R&R을 분배하고 due date에 맞게 프로젝트를 진행시키는 매니징 능력 mid- breakthrough를 찾는 능력, agile한 프로세스와 스타트업 정신에 대한 이해도 low- 디자인, 개발에 대한 이해도가 현직자와 소통이 가능한 정도이며, 초급 수준의 구문을 다루는 SQL 능력과 데이터모델링에 대한 얕은 이해도 입니다. 이런 제 포트폴리오&역량과 가장 fit한 포지션이 당장으로선 PM밖에 없는 것 같아요. 다시 질문으로 돌아와, 저는 진로설계를 알맞게 한 것일까요? 사람마다 진로를 설정할 때 고려하는 우선순위가 다양한만큼, 본인의 관점대로 편하게 의견 부탁드려요. 제가 고려한 우선순위는 가치관>최종목표 순입니다. 역량은 제가 기르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PM/PO/기획자
답변 4
댓글 4
추천해요 8
조회 876
3년 전 · 시간여행자 님의 새로운 답변
쇼핑몰 운영 경험이 서비스 기획 직무로 연결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커리어 관련 고민이 많은 취업준비생입니다 :) 제가 6개월 정도 개인 쇼핑몰을 운영하면서 키워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매출 증진을 일으킨 경험이 있습니다 서비스 기획 직무 역시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해당 경험이 서비스 기획 직무와 연결될 수 있는지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MD 직무와 서비스기획 직무 중 어떤 것이 경험과 관련된 직무일까요? 연결된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PM/PO/기획자
답변 3
댓글 1
추천해요 4
조회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