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다크 패턴

10년 전에 이력서를 받을 땐 GitHub과 블로그 주소를 적어둔 이력서를 좋아했습니다.
GitHub에서 직접 코드를 볼 수 있고 얼마나 코딩에 진심인지도 알 수 있으니까.
블로그도 좋은 레퍼런스였습니다.
어떤 기술에 관심이 있고 어느 정도 깊이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봤습니다.
GitHub에 잔디가 가득 심어져 있고 블로그에 열심인 지원자가 드물었습니다.
그런 이력서를 보면 보석을 발견한 기분으로 하나씩 들어가서 살펴봤습니다.

이런 것들이 요즘엔 다크 패턴이란 말을 현역에서 일하는 동생에게 들었습니다.

“에? 그게 무슨 소리야?”

매일 잔디 심기.
매일 블로그 글쓰기.
이런 지원자들이 부쩍 늘었다고.
부트캠프 같은 곳에서 이런 것들을 숙제로 시킨다고.
이런 지원자가 너무 많아져서 걸러 내는 게 일이라고.

제가 지금 구직을 한다면 작은 앱이라도 하나 만들어서 스토어에 출시까지 해볼 것 같습니다.
사용자가 생기면 말할 것도 없이 좋겠지만 사용자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억지로 잔디를 심는 대신 내 앱을 꾸준히 개선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 준다면..
다른 지원자들에게는 없는 특별함이 전달되지 않을까?
면접에서 대화할 때도 서로 편할 겁니다.

앱을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해서 운영 해본다는 것은 현역 개발자들도 온전히 해보지 못하는 경험.
앱의 일부만을 만들어서 기획자에게 빌드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과정을 경험해본 것만으로 이미 특별합니다.


https://jeho.page/essay/2024/03/19/resume-github-blog.html

이력서 다크 패턴

K리그 프로그래머

이력서 다크 패턴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19일 오전 4:44

 • 

저장 101조회 7,997

댓글 11

함께 읽은 게시물

코프링에서 액터모델 AI연습장

A

... 더 보기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itHub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




7월 둘째주 : AI에 정보 많이 넣으면 더 똑똑해질까? 오히려 바보됨

A

... 더 보기

2025년 7월 18일 (금) 뉴스 클리핑 & 동동의 테크 타운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2025년 7월 18일 (금) 뉴스 클리핑 & 동동의 테크 타운 : 오호츠크 리포트

조회 814


"배포했으면 스펙이지"

어떤 서비스가 버그를 가진채로 출시되었고, 사용자들이 그 버그를 전제로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 위로 너무 많은 새로운 기능들이 쌓여있다면 그건 버그가 아니라 스펙(기능)이라는, 언젠가부터 들었던 업계의 유명한 블랙 유머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