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은 왜 일본에 투자하는가>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제자리 걸음을 하던 글로벌 기업들의 일본 내 직접 투자가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에 있어서는 큰 문제인 저출산 및 고령화가 도리어 직접 투자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해외 기업들은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 일본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서 최적의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1) 필립스 재팬은 2019년 5월 미야기현 센다이에 이노베이션 연구개발 거점인 Co-Creation Center를 설립했다. 센다이는 저출산, 고령화나 의료종사자의 부족, 의료비 상승 등 문제가 일본 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곳이기 때문에 사회변혁을 리드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기 때문 2) 미국발 스타트업인 스탠다드 코그니션(Standard Cognition)은 일본 소매시장의 인력부족 문제에 주목했다. 이 기업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천장에 설치된 카메라로 손님의 손에 있는 상품의 정보를 인증해 회계 계산대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결제시스템을 판매. 일손 부족이 심각한 일본에서는 최근 인력 부족을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솔루션을 시범적으로 활용해보는 것에 매우 적극적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일본 시장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에 더하여, 일본에서 사업을 전개하면 향후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를 겪을 다른 아시아 국가로 사업을 확장하기에도 용이하다.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

KOTRA 해외시장뉴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0월 17일 오전 5:3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 

    저장 1 • 조회 3,286


    역전의 명수

    

    ... 더 보기

    일단 박죠? DTO

    h

    ... 더 보기

    일단 박죠? DTO

    velog.io

    일단 박죠? DTO

    ChatGPT의 Deep Researh에 GitHub을 연결 할 수 있게 되었군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606


    Dependabot을 통한 안전한 의존성 관리

    ... 더 보기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