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뉴스레터로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

2023년 2월 13일,
링크드인에 있는 뉴스레터 기능을 처음 사용하여 첫 뉴스레터를 발행한 후,
약 1년 6개월이 지났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뉴스레터를 잘 구독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타인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성격이 아니기도 하고,
그리고 나에게 꼭 필요하거나 유용한 정보가 아닌 이상,
잘 열어보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제가 뉴스레터를 직접 만들고 운영해보면서
그러한 생각들이 많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뉴스레터는 메세지(Message)도 중요하지만,
메신저(Messenger)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매체라고 생각합니다.

메신저(Messenger)는 자신만의 생각과 가치관을 글에 녹여내어,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가 타인에게 줄 수 있는 가치는 무엇인지,
그리고 함께 나눌 수 있는 가치는 무엇인지를
자연스럽게 확인하는 하나의 소통 창구입니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처럼
타인에게 자신을 드러내기가 부끄럽거나,
또는 아직은 어색한 저와 같은 사람에게
뉴스레터는 조금씩 '나'라는 사람의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어요.

앞으로도 조금씩 조금씩
여러분들과 함께 소통하며 성장하는
datarichard가 되고 싶습니다.

모든 속마음를 다 꺼낼수는 없겠지만,
때로는 글쓰는 것이 부담이 되기도 하겠지만,
그리고 더 많은 책임감이 생기겠지만,

그래도 여러분들과 연결될 수 있어서 참 좋습니다.
앞으로도 data와 AI를 재미있고 가치있게 배울수 있도록
노력하는 datarichard가 되겠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데이터리차드 #뉴스레터 #소통의창구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28일 오전 1:2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는 방법

    S

    ... 더 보기

    탈락 분석

    

    ... 더 보기

     • 

    저장 4 • 조회 853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9 • 조회 1,862


    데이터의 가치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산업은행은 2020년 한국신용데이터에 50억 원 지원을 시작으로 기업의 데이터를 담보로 한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관련 보도자료에 따르면 출시 후 1년 동안 쏘카, 직방 등 양질의 데이터를 가진 기업들을 대상으로 누적금액 약 1,000억 원의 대출을 실행했다고 한다. 특정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일은 그 자산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데이터의 가치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전통적으로 자산의 가치는 '수익', '시장', '원가' 세 가지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고, 데이터 또한 기업의 무형자산 중 하나로서 세 관점에서 그 가치를 평가해 볼 수 있다. 첫째로 수익 관점에서의 데이터의 가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미래의 순수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그 총합을 합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은행이 통신 데이터를 신용평가에 활용하여 부도나 연체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면, 그만큼의 금액에서 데이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차감한 후 기간별 할인계수를 적용하여 그 합을 구할 수 있다. 둘째로 시장 관점에서는 평가 대상의 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가 과거에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