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콘텐츠 이용률 높이자" 네이버웹툰 숏폼 도입
다음 - 서울경제
16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은 웹툰을 숏폼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서비스명은 컷츠 등을 검토하고 있다.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창작자들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 포맷을 준비 중”이라며 “이용자들에게는 새로운 재미, 창작자들에게는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웹툰은 숏폼과 웹툰·웹소설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으로 보인다. 인기 IP를 기반으로 숏폼을 제작해서 흥행 가능성을 높이고, 원작이 ‘역주행’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주목을 받은 숏폼 애니메이션을 웹툰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네이버웹툰은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숏폼 콘텐츠를 선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콘텐츠 분야의 대세로 자리 잡은 숏폼에서 사업 기회를 포착하겠다는 것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리서치퓨처에 따르면 숏폼 플랫폼 시장 규모는 2023년 267억 달러(약 39조 원)에서 2032년 2895억 달러(약 422조 원)로 연 평균 약 30.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숏폼 서비스로 기업 가치 상승이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네이버웹툰의 지난해 3분기 월간 활성화 이용자(MAU)는 1억 669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하며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의 올해 주가는 공모가(21달러)에 절반 수준인 12~14달러를 횡보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본을 제외한 지역에서 웹툰의 성장세가 정체되고 있다"면서 "좋은 IP를 발굴하는 노력과 함께 숏폼 콘텐츠 제작 등 웹툰 소비를 이끌어내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50116173547863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월 17일 오전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