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센터 : '한국 콘텐츠 산업'의 골든아워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한 한국 콘텐츠 산업의 미래는


[아티클 3문장 요약📑]


1️⃣ 드라마 '중증외상센터'가 연일 화제를 모으며, 국내는 물론 해외 인기도 심상치 않은데, 넷플릭스 오리지널 중 최초의 메디컬 시리즈라는 점도 특별하지만, 무엇보다 네이버 플랫폼의 체계적인 육성 과정을 거쳐 성공한 사례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2️⃣ '중증외상센터'의 원작은 네이버 시리즈에서 연재된 웹소설로, 처음부터 독점 연재로 진행된 기대작이었고, 이후 웹툰으로 만들어진 데 이어, 드라마 제작사 역시 네이버 웹툰의 자회사인 스튜디오N으로, 제작 부담이 적은 웹소설로 시작하여 검증된 스토리를 기반으로 웹툰과 영상으로 확장하는 전략으로 성공한 것입니다.


3️⃣ 현재 네이버는 물론 카카오 역시 이와 같은 전략으로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상황으로, 다만 이를 위해선 이번 '중증외상센터' 작품처럼 웹소설/웹툰 기반의 스토리의 매력을 연속된 흥행으로 증명하는 한편, 이를 다시 웹소설/웹툰 소비로 이어지도록 만들어 넷플릭스에게 종속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기묘한 관점➕

이제 '중증외상센터'처럼 전략적으로 키우는 작품들이 늘어날 겁니다. 그리고 더욱더 만들어 내며 좋은 창작자들이 나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야 하고요. 더 나아가 이러한 것이 일시적인 것에 그치지 않게 하려면 미국이나 일본처럼 전체 산업이 자생력을 갖춘 생태계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앞으로 한국 콘텐츠 산업이 정말 잘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해 봅니다.


🥤트렌드라이트 구독하기

https://bit.ly/3iSbx4e

중증외상센터 : '한국 콘텐츠'의 골든 아워

trendlite.stibee.com

중증외상센터 : '한국 콘텐츠'의 골든 아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월 30일 오후 10:5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토스가 과자 애호가를 위해 만든 기상천외한 바지.치토스의 반전 마케팅

    ... 더 보기

    ‘기업의 미래는 결국 사람에게 달려있다’는 사실에 모든 경영자가 공감한다. 그런데 정작 ‘사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쉽게 답하지 못한다.

    ... 더 보기

    저 친구 괜찮은데 왜 관둘까, 관심 없는 회사는 보나마나 | 중앙일보

    중앙일보

    저 친구 괜찮은데 왜 관둘까, 관심 없는 회사는 보나마나 | 중앙일보

    < 왜 빠른 실패가 더 큰 성공을 만드는 걸까? >

    1. 우리가 하는 많은 일이 처음입니다. 외부에서도 경험한 사람이 없는 일입니다.

    ... 더 보기

    마케터, 코딩이 필요한 이유 (feat.바이브코딩 후기)

    업무하면서 챗GPT랑 클로드 같은 AI 툴을 참 많이 쓰는 요즘입니다. 정말 어떻게 일했지? 싶을 정도로 이제는 없으면 안되는 필수템이 되었어요. 처음엔 신세계였는데, 링크드인이나 쓰레드를 보니 다들 AI로 다양한 작업을 하더라고요. 더 활용해보려다 결국 '코딩'이라는 벽에 부딪혔습니다. 솔직히 처음엔 제가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회사에서 권한도 받아야 할 것 같고요. 하지만 구글 시트 자동화나 A/B 테스트할 때마다 개발팀에 도움 요청하는 게 번거롭더라고요.

    ... 더 보기

    조회 37


    사업 및 비즈니스 관련해 참고하면 좋은 책 추천 50권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30 • 조회 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