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의 경쟁력 1. 내수시장의 높은 경쟁률 a. 비용 구조의 효율화 작은 시장에서 최대의 효율을 만들기 위해 한국 콘텐츠 기업들은 빠른 수직계열화로 몸집을 불려옴 b. 토너먼트 생태계 비좁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치열한 생존 경쟁 ex) KPOP 아이돌-홍대 인디씬 c. 기이한 대중성 메이저 영화나 드라마가 블록버스터를 지향하면서도 장르적 관습과 예술적 감수성을 동시에 욕망 2. 깐깐한 소비자 a. 인터넷과 커뮤니티의 발달 문화 콘텐츠에 있어서 특히 관여도가 매우 높은 소비자이자 잠재적 생산자 b. 콘텍스트의 해석과 정보 위주의 소비 단기간에 지식을 습득하고 점수로 성과를 측정하는 한국 교육의 결과 3. 글로벌 가성비 a. 제작비 경쟁력 -<오징어 게임>은 회당 제작비가 약 25억원 수준으로, 8부작의 총제작비는 약 200억원. <킹덤>의 회당 제작비도 15~20억원 수준. <왕좌의 게임>은 회당 제작비가 71억~83억 원, <기묘한 이야기>는 회당 71억~110억 원, <만달로리안>은 회당 179억 원 정도이고, 마블의 TV 시리즈는 회당 299억원으로 <오징어게임>은 이에 비하면 1/3 수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도 최소한 1000억 원 수준의 제작비를 가지고, 그 이하는 보통 저예산 영화로 분류. 반면 한국의 블록버스터는 할리우드에 비해 1/10 수준인 100억 원 규모로. <기생충>은 150억 원, <설국열차>의 제작비는 430억 원. - 아이돌 연습생부터 데뷔까지의 기간은 1~3년, 데뷔 후 3집 발매까지의 기간은 5년 정도를 생각할 때 투입되는 비용은 대략 10~20억 원 수준. 작곡비는 대략 곡 당 3~5천 만원, 뮤직비디오는 1~2억, 마케팅 비용도 1~2억 이상 투입. 미국의 경우, 히트곡의 작곡가와 프로듀서는 곡 당 1억 원. 래퍼들의 피처링도 버스(verse) 당 8천~5억 원 수준 b. 팬덤 밸류 - 저성장 시대에 팬덤은 불안정한 콘텐츠 비즈니스에 예측 가능한 안정성을 제공 4. 이런 경쟁력은 언제까지 지속될까? - 한국 콘텐츠의 가성비는 상당 부분 인건비의 절감으로 얻은 효과. 외부 상황에 따라 언제든 달라질 수 있는 변수. 반면 상수는 내부 역량.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핵심은 바로 인력, 사람. - 투자 비용을 단지 인건비의 상승 정도로 이해할지, 아니면 크리에이티브 역량에 대한 고정 비용으로 이해할 지에 따라 한국 콘텐츠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이라는 미션의 방향도 달라질 수 있음.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레드버스백맨

⚡한국 콘텐츠의 경쟁력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12일 오후 9:2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