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크 개발자 모집
open.kakao.com
TypeORM, TypeScript 및 JavaScript 용 ORM. MySQL, PostgreSQL, MariaDB, SQLite, MS SQL Server, Oracle, SAP Hana, WebSQL 데이터베이스를 지원. NodeJS, 브라우저, Ionic, Cordova 및 Electron 플랫폼에서 작동. 현재 존재하는 다른 JavaScript ORM과는 달리 Active Record 및 Data Mapper 패턴을 모두 지원
암호화폐 블록체인 사이드 프로젝트 ‘프론트 개발자'를 모십니다
저희팀은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하여 스타트업 창업까지 고려하고 있어요! 재미있게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할 개발자분을 구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오픈카톡을 통해 언제든 문의주세요
https://open.kakao.com/o/spmxPEqg
[ 베이크 팀 구성원 ]
- 기획자 3명
- UX/UI디자이너 1명
- 풀스택 개발자 1명, 프론트 개발자 2명
*(react native 개발자 구인중!)
✨ 서비스 소개
베이크는 국내 유일 한국어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 입니다
🙂 24년 5월 7일 MVP모델 출시를 완료했고, 어려운 암호화폐 서비스를 국내 유저들에게 쉽고 편리하게 제공하는 것이 저희의 목표예요🚩
😻개발자를 구해요😻
👀 이런분을 찾아요
- 암호화폐 생태계에 관심이 있고, 서비스의 초기부터 만들어나가고 싶은 개발자분!
- React, React native, typescript
- recoil, styled-components, next.js 경험자 (필수 X)
- AWS, nestjs, 백엔드 경험자 (필수 X)
- Solidity, web3.js, 블록체인 연동 경험자 (필수 X)
☑️ 상세 기술 스택
프론트 : React, React Native, Recoil, react-query, typescript, next, styled-components
백엔드 : nest.js typescript typeorm, postgres
인프라 : lambda, serverless, api gateway
👇 여기서 서비스를 확인하세요!
베이크 모바일 서비스 (모바일로 링크를 열어주세요!)
app.bake-now.com
베이크 웹사이트 가장 쉬운 암호화폐 예치, Bake
https://www.bake-now.com/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https://www.notion.so/bakenow/cb30b783b1594bc59c35db45a92cf0dd?pvs=4
관심있으시다면, 어떤 질문이든 아래 오픈카톡을 통해 연락주세요!
https://open.kakao.com/o/spmxPEqg
사이드 프로젝트 암호화폐 서비스 '베이크'에서 프론트 개발자분을 모십니다
안녕하세요 :) 사이드 프로젝트팀 베이크입니다 🙇♂️
국내 유일 한국어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 팀 베이크에서 ‘개발자’ 분을 구인하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오픈카톡을 통해 언제든 문의주세요!
오픈카톡 : https://open.kakao.com/o/spmxPEqg
✨ 팀 소개
✨베이크 멤버 소개✨ https://www.notion.so/bakenow/41ec1c3e1b334cbab2817746271a9bcb
평균연령 20대 중후반의 젊고 열정있는 팀이에요!
기획 및 마케팅 3명 (카카오 출신!)
UX디자이너 1명
풀스택 개발자 1명 (토스 출신!)
프론트 개발자 2명 (하이퍼커넥트 출신!)
*react 개발자 구인중!
✨ 서비스 소개
베이크는 국내 유일 한국어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 입니다 🙂
24년 5월 7일 MVP모델 출시를 완료했고, 어려운 암호화폐 서비스를 국내 유저들에게 쉽고 편리하게 제공하는 것이 저희의 목표예요🚩
자세한 서비스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 베이크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crypto_bakenow/
📥 베이크 모바일 서비스 (모바일로 링크를 열어주세요!) : https://app.bake-now.com/
📥 베이크 웹사이트 : https://www.bake-now.com/
😻개발자를 구해요😻
👀 이런분을 찾아요
암호화폐 생태계에 관심이 있고, 서비스의 초기부터 만들어나가고 싶은 개발자분!
React, React native, typescript
recoil, styled-components, next.js 경험자 (필수 X)
AWS, nestjs, 백엔드 경험자 (필수 X)
Solidity, web3.js, 블록체인 연동 경험자 (필수 X)
☑️ 상세 기술 스택
프론트 : React, React Native, Recoil, react-query, typescript, next, styled-components
백엔드 : nest.js typescript typeorm, postgres
인프라 : lambda, serverless, api gateway
이렇게 참여해요
매주 일요일 오후 10시에 온라인 회의를 진행해요. 야근이 있거나 참석이 어려운날은 말씀해주시면 회의록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매월 마지막주 토요일 13~19시까지 오프라인 모임을 진행해요
함께하는 사이드 프로젝트 팀원들이 있는 만큼, **참여를 위해 지각비와 불참비가 있어요!
해당 시간에 재미있게 서비스를 만들어갈 개발자분이 필요해요.** 향후 발전할 베이크에서 많은걸 알아가실 수 있어요 😊
관심있으시다면, 어떤 질문이든 아래 오픈카톡을 통해 연락주세요!
웹소설 제작 커뮤니티 '작가의 정원'에서 백엔드 개발자를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 저희는 ‘작가의 정원’이라는 웹소설 사이트를 제작하고 있는 팀입니다. 현재 서비스를 고도화해서 사용자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작가의 정원’ 서비스를 간략히 소개해 드리자면 한 가지 주제를 가지고 여러 유저들이 협업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서비스입니다. 누구나 쉽게 글을 쓰게 하고자 하는 것이 서비스의 목표입니다.
현재 팀원 소개
프로덕트 디자이너 1명
프론트엔드 개발자 1명
직장인들로 구성된 팀이고 프로젝트를 배포 후 개선해 나가면서 현업에서는 시도해 보기 어려웠던 경험과 배움을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참여하는 동안 성장했으면 좋겠어요!
모집 대상
백엔드 개발자 1명
웹소설 혹은 글에 대한 이해도가 있으신 분
nextJS를 사용하실 수 있는 분
Typescript 및 NestJS 및 TypeORM 로 서버 개발 경험이 있는 분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주실 분
Client-Server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있으신 분
추후 계획
장기적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분을 우선으로 뽑고 있습니다.
작가의 정원 소개페이지
https://peppered-mustang-875.notion.site/About-ver1-2-bcb42fe3db874233aeed5667d1c366d0?pvs=4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오픈 채팅 부탁드립니다.
https://open.kakao.com/o/sJODAXff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수강료0원] 원데이 NestJS 부트캠프: 서버 개발 실무 완전 정복
📅일시: 2024년 12월 6일(금) 13:00-19:00(6시간)
📍장소: 온라인(엘리스 LXP)
실시간 강의 및 실습이 가능한 엘리스 LXP플랫폼을 통해 진행됩니다.
📢신청 기간: 2024년 11월 25일(월) ~ 12월 5일(목)
선착순 모집이니 서둘러 신청하세요!
신청 폼: https://forms.office.com/r/3A4E30XMS4
🙋♂️추천 대상 - 개발 초심자 & 취준생 대상
-부트캠프 과정은 어떤 환경과 콘텐츠로 진행되는지 궁금한 분
-백엔드 개발을 처음 접하거나 NestJS를 체계적으로 배워보고 싶은 분
-서버 개발과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학습하고자 하는 취업 준비생 및 초급 개발자
-기존 서버 개발 경험이 있지만, NestJS와 함께 TypeORM, PostgreSQL 등 트렌디한 스킬을 익히고 싶은 개발자
🙎♂️강사: 곽유신 님
-현 레이메드 개발총괄이사
-전 휴이노 개발팀장
-전 에임메드 개발팀장
-전 옐로모바일 모바일 개발팀장
-전 스트라이커코리아 의료영상 엔지니어
20년 이상의 개발 및 팀 리딩 경험을 가진 곽유신 강사님이 실무 중심의 강의를 진행합니다!
📚커리큘럼
-NestJS CLI, Controllers 등 NestJS 구조, 흐름 파악
-docker-compose로 NestJS api 도커라이징
-TypeORM을 활용한 PostgreSQL DB 설정
-Swagger를 통한 API 문서화
-PostgreSQL과 TypeORM을 통한 관계 설정
-에러 핸들링(error handling), 데이터 유효성 검사(data validation)
-응답 직렬화(response serialization)
-Q&A
🗒 타임 테이블
13:00-13:10 오프닝
13:10-14:00 NestJS 기초 세션
14:00-18:30 실무 필수 역량 실습
18:30-18:45 Q&A
18:45-19:00 수료식 및 마무리
🎁혜택
-현직 개발자의 실시간 튜터링과 실습으로 6시간 만에 기초 떼기!
-엘리스 플랫폼과 콘텐츠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참여 후기 이벤트 - 원데이 부트캠프 참여 후 SNS/블로그 후기를 남겨주시면 5만원 상당의 선물을 드립니다 (개발 능률 무한 상승😉)
🚨 문의 사항
💜엘리스Lab 채널톡 - https://elicetrack.channel.io/support-bots/88233
💜참가 신청 취소 시 반드시 운영진에게 연락 주세요!
💜신청자 대상 참여 확정 문자는 12/05(목)에 발송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NestJs를 공부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Typeorm의 0.2버전에서는 @Entityrepository를 제공해서, respository 레이어에 DB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코드(예: create, findOne 등)를 작성해왔었는데, 이번에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해당 데코레이터를 비활성 시켰더라구요.. 그러다보니 Service 레이어에 임포트되는 라이브러리와 구현되는 로직이 더 길어지는 불편함이 있어 현재는 Custom Repository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문득 TypeORM 측에서는 뭔가 이유가 있어 비활성화를 한 것 같은데.. Nestjs를 사용하고 계시는 개발자분들도 비슷하게 Cutsom Repository를 많이 사용하고 계신지, 아니면 service레이어에서 모두 해결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레이어를 분리해서 사용했을 때는 예를 들어 "데이터를 조회하는 api을 구현하기 위해, repository레이어에서 findOne() 메서드만 실행시키고 그 값을 반환하는 A라는 함수를 정의하고 Service 레이어에서는 A함수를 불러와 바로 실행했을 때 결과는 동일하게 나왔던 경우"에는 굳이 새로운 메서드를 만들 필요가 있는가? 에 대해 의문을 가졌던 적은 있었는데, 소규모가 아닌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별 차이가 없는건가요..?
과거 mysql을 사용할 때 하나의 스키마 아래에 여러 테이블을 만들어 작업한 적이 있습니다. 스키마 아래로 너무 많은 테이블들이 생성되어 테이블간 연관성이나 관계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과거처럼 하나의 스키마(my_db)가 아니라 연관성이 높은 테이블들을 스키마별로 모아서 연결하고 싶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user관련 테이블들은 Users스키마에, product과 연관된 테이블들은 Products스키마에, 중간테이블이 필요하면 Users_Products스키마에 테이블을 저장했습니다. 이 구조라면 하나의 mysql 인스턴스에 3개의 스키마가 생성된 것입니다. 문제는 nestjs에서 typeorm 설정을 하는 과정에서 database를 입력하는 부분에서 발생했습니다. TypeOrmModule.forRoot에서 database이름을 하나밖에 입력할 수 없었습니다.(mysql은 database와 schema를 동의어로 취급한다고 들었습니다.) 3개의 스키마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런 방법을 쓰는 이유를 작성자는 서비스용 database, 정보분석용 database를 나눠서 사용하기 위함이라고 말합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662388/typeorm-%EB%8B%A4%EC%A4%91-%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C%97%B0%EA%B2%B0 mysql로 하나의 서비스를 위해 스키마를 여러개로 나누어서 하나의 앱에 적용하는 것이 불필요한 방법일까요?
스키마가 워낙 여러가지 의미가 있다 보니 mysql에서 schema = database 라는 사실을 모르는 분이 이 글을 보시면 약간 혼란이 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그냥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부르겠습니다. 인스턴스 > 데이터베이스 > 테이블 연관성이 높은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 별로 나눈다는 말 자체는 틀리지 않으나, 언급하신 기준은 너무나 작은 단위입니다. 그런 단위로 데이터베이스를 나누지는 않습니다. 더구나 1개의 백엔드 시스템에서 사용한다고하면 MSA를 위한 것도 아닐테구요. 테이블의 연관성과 관계를 쉽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ERD를 잘 그리고 유지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user라는 테이블이 있고, userLikes라는 테이블이 있는데 user를 가져올때 userLikes의 개수를 같이 포함시켜주고 싶어요. users를 조회하는 query에 addSelect에서 user 값을 사용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는지 잘모르겠어요. userLikesRepository.findOne에 어떻게 넣어줘야하나요? 각 엔티티는 다음과 같습니다. user: { id: number, firstName: string; lastName: string} userLikes: {id: number, originUserId: number, targetUserId: number} users를 조회 했을때 원하는 값 user: { id: number, firstName: string, lastName: string, likes: number }
안녕하세요 두 개의 모델이 onetomany로 매핑된 것처럼 보이는 데, 그러면 join을 사용하셔서 카운트 사용하시면 될 거 같아요.
처음에 코딩 접할때 HTML/CSS/Javascript 로 접하다보니 Javascript가 익숙해지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둘다 개y발 가능하다는 점에 이점을 느껴서 계속 Javascript를 공부하고있습니다. 전에 일하던 회사를 그만두고 개발자 커리어를 시작하고싶어 준비중입니다. 제 생각엔 백엔드 개발자가 취업에 좀 더 유리할것 같아서 백엔드로 취업을 해보자 합니다. (프론트엔드도 백엔드 언어만큼 열심히 하고있습니다) 아무래도 Java쪽이 좀더 공고가 많다보니 Java를 준비 해야할지, 공부하던 Javascript(Typescript)와 NodeJs를 좀더 깊게 공부를 하는게 괜찮을지 고민입니다 Node는 NestJs, TypeORM 이용해서 서버개발 공부중입니다 Java는 베이스가 아예 없습니다
답변하기 어려운 질문이네요. 작성자님의 상황 상 백엔드 개발자로서 취업이 우선이라고 한다면 자신 있으신 언어를 이용한 준비가 유리하실 수는 있습니다. 다만 백엔드개발은 언어와 프레임워크가 전부는 아니라서요. 추후에 좀 더 좋은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캐시, 메시지브로커, NoSQL, 보안, CI/CD, 개발방법론 등 다양한 기술과 스킬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스킬들을 바탕으로 대용량 트래픽 처리 능력을 기르고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아키텍처 설계 능력을 향상 시켜야 하겠지요. 그렇다면 이러한 능력들을 향상 시키고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관련된 경험이 꼭 필요로 할 텐데 제 생각에는 이러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조금이라도 더 얻을 수 있는 곳은 자바, 스프링을 이용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노드가 안 좋다고 말씀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 백엔드 개발자로서 커리어를 시작하시는 분께 조금이라도 성장에 도움되는 경험과 업무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가능성은 아직 자바 쪽이 약간 더 높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저의 생각이니 참고만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express를 pm2로 동작시키고 있는데 서버가 터지면 재시작이 안돼요.. 혹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express typescript typeorm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버가 터진다라는 표현이 혹시 어떤 뜻인가요?? 혹시 exception 에러가 찍히는걸 말씀하시는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express에서 에러 잡은뒤 종료를 해주고 있나요?? express에서 에러를 잡더라도 명시적으로 서버를 종료하지 않으면 서버는 계속 돌아가고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참고해보시면 좋을것 같아요!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3644079/pm2-does-not-restart-worker-when-express-error-occur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typeorm으로 db를 연결하려고 하는데, EC2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해두어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DB 툴에서는 SSH 터널링으로 접근 가능한데 typeorm에서도 SSH 터널링이 가능한가요? 혹은 다른 방법이 있다면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터미널에서 터널링 열어주신 다음에 db 접속 하시면 됩니다 ssh -N -L 3306:DB_HOST:3306 ec2-user@EC2_HOST -i PEM_KEY 잘 실행되면 아무 출력도 없이 멈춘거처럼 보이는데 그대로 놔두시고, 다른 터미널에서 api 서버 실행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