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잡코리아에 아래 글을 올렸었는데 “ 우선 대학고 졸업 예정(현 2학년) 입니다! 1인개발 스프링 경험이 있습니다 Jwt랑 Redis로 토큰 기반 로그인 Rest API 관리자, 로그인 페이지등 간단한 프론트엔드 Nginx 활용 certbot, Let`s Encrypt로 https해서 리눅스 서버에 올려서 운영까지 모두 1인 개발입니다 몽고디비도 연동했습니다 Sql injection이랑 CSRF 공격등 보안도 좀 신경 썼습니다! 졸업 후 월급 연봉쪽이 궁금합니다!! 자바는 5년정도 했습니다. + 방학마다 개발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 답변은 요렇게 달렸어요 “ 생노베 비전공 국비 졸업생도 수료 후 3-6개월 더 하면 하는 수준을 나열해주셨어요. 연봉 3천 중소 블랙 si 노려볼만 하겠습니다. “ 정말 노베 졸업생도 이정도 한다니.. 좀 많이 놀라운데 스프링 내부 설계나 이런거 기술 안한것도 많지만.. 정말 주변 대학생이나 누구보다 나름 잘한다 생각했는데 이게 현실인건가요 ㅠㅠㅠ 제 깃허브는 별볼일 없긴 합니다 https://github.com/Teynx
답변 3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 보여주신 Github나 이력 상으로는 연봉 3천 중소 블랙 si 도 못넣으실것 같습니다. 5년전 프로젝트 하나 Readme.md만 업데이트되는 프로젝트 하나, 적여주신 내용에 대한 팀 프로젝트나 배포중인 백엔드 서버도 없으신 듯 합니다. 협업경험, 실제 트래블슈팅 이력도 알수없구요. 적어주신 내용은 제가 백엔드가 아닌 3년차 프론트엔드이지만 저도 다 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요즘 AI의 발달도 있지만 전공자분들 중에서도 부트캠프나 육성코스에서 6달 ~ 1년 치열하게 갈고 닦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신입 채용이 많이 줄었다는 말은 많이 보셧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신입을 쓰는거보다 1~3년이상 주니어 + AI로 신입 3~4명보다 많고 안정적인 Product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인턴 경험이나 실제 상용 프로덕트를 이미 경험하신게 아니라면 단순한 기술의 사용유무나 나열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팀 프로젝트로 유연한 백엔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걸 기반으로 실 서비스나 사용자가 1~2자리수라도 사용하게 해보는 경험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신입에게는 더 중요한 능력이 되었습니다. 문제는 작성자님의 글이나 내용이나 깃허브에서 이것에 대한 요소가 전혀 없습니다. 아직 대학교 2학년이라고 하셧으니 3학년 4학년에는 실제 유지되는 프로덕트나 백엔드 시스템을 만드는 걸 목표로 깃허브 관리를 꾸준히 유지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개발 블로그등을 통해 자신의 고민을 표현해보셔도 좋고 방학이나 기간동안 대학 동아리나 네부캠 우태캠 SAFFY 등 어느정도 이름이 알려진 부트캠프나 육성코스도 목표로 해보시길 바랍니다. 백엔드를 지향하신다면 꼭 알고리즘이나 코테도 꾸준히 준비하셔야 됩니다. https://velog.io/@prayme/%EB%8C%80%ED%95%99%EC%83%9D-IT-%EC%97%B0%ED%95%A9-%EB%8F%99%EC%95%84%EB%A6%AC-%EC%A0%95%EB%B3%B4-%EB%AA%A8%EC%9D%8C-feat.-RUFree-%EC%A3%BC%EB%8B%88%EC%96%B4 제가 이전 참고했던 글인데 대학 동아리나 캠프들중에서 괜찮은곳들이 많습니다. 이런곳에서 꼭 여러 프로젝트나 운영을 경험해보시길 바랍니다. 충격요법으로 첫줄에 적어드렸지만 깃허브나 적은 내용은 생노베 비전공 국비 졸업생도 수료 후 3-6개월 더 하면 하는 수준은 맞습니다. 아직은 2학년이시니 너무 자기를 높게 생각하시기 보다 앞으로의 성장계획과 목표를 잡고 노력하시면 높은 곳을 노려볼 수 있으실껍니다. 파이팅입니다.
익명
작성자
5월 27일
좋은글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요즘 제가 너무 자만했나봐요!! 스프링책 피고 얼마안되서 결과물이 나오다보니 좀 자만한 경향이 없지않아 있는거 같습니다 🥺 현재는 사내에서 프로젝트를 하고있다보니 코드도 공개가 어렵고, 해당 서비스 대상도 고객위주라 웹 사이트를 보여주기도 어려운 상황인거 같네요. 추가적으로 프론트 개발자와 협업하여 출시한 서비스이긴한데, 이 과정에서 문제해결 상황이나 협업 내용에 관한 기술도 부족했던거 같습니다. 제 개인 프로젝트를 여러개 만들고, 기술 블로그도 작성하면서 개발 과정을 좀 더 기록하면서 포트폴리오 관리에 더 노력해봐야겠습니다!! 정말 좋은 조언 주신거같아요. 감사합니다 🤗
백승훈
프론트 엔드 개발자 (FE) • 5월 27일
개발실력과 별개로 취업은 다른 공부의 연장선상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개가 어렵다면 공개를 전제로 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시는거도 좋을 것 같습니다. (완성된 서비스가 있으시다면 코드 단위 공개가 아니라고 서비스의 구동 스크린샷이나 간단한 포트폴리오 영상을 만들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파이팅입니다.
익명
작성자
5월 27일
네 제가 다운로드 센터나 로그인창, 고객 지원 서비스 스프링을 설계해서 실제 유저에게 서비스중인데 코드 공개가 어려우니 영상으로 제작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좀 늦은 타이밍이긴하지만 답변드립니다. 제가 그 생노베 비전공 국비 수료생 수료후 3~6개월 상태인 개발자입니다!!!!! 다른 분이 답글달아주신 의견과 거의 100퍼센트 동일합니다. 제 프로필에 정말 볼품없는 github와 블로그 링크가 있어요. 참고만 한번해보시길 바랍니다! 아직 보여드리기 애매한 프로젝트는 최근 블로그 포스팅에 있어요!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익명
작성자
6월 11일
아아 답변 감사합니다 제 기술 스택 자체로 큰 배네핏이 된다 생각했는데 아닌걸 많이 깨닫고 있어서 제작 과정이나 아이디어 등 단순 코딩보다는 가치에 대해서 기술 블로그를 써보려고 합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