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프론트엔드 배포가 의미하는 게 뭔가요?

2024년 01월 08일조회 746

안녕하세요. 저는 프론트엔드 취준생이고 포폴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도메인을 구입해서 팀원이 AWS로 배포하였는데, 여기서 백엔드 팀원분이 프론트엔드를 따로 배포할 거냐고 하셔서 얼떨결에 해보겠다고 하고 Vercel로 배포한 상태입니다. 저는 배포라는 게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하나의 사이트만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서버와 프론트 모두 따로 배포하는 건가요? 이유는 뭔가요? 현재는 작업을 localhost에서 하고 있는데 이제 작업 시 배포한 사이트를 활용 하거나 포폴을 첨부할 때 이력서에 기재하기 위해 하는 걸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3

이상선님의 프로필 사진

설명 드리죠 챗 주세요

권혁진님의 프로필 사진

백엔드와 프론트를 따로 배포한다는게 환경에 따라 정해지겠죠 풀스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신다면 (라라벨이나 express 장고같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되기 때문에 한 서버나 한 환경에서 배포를 하시면 되고 리액트 스벨트 뷰 같은 프론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하시면 질문자님처럼 vercel 같은 환경에 따로 배포를 하게 될수도 있고 아니면 같은 서버 내에서 포트만 다르게 해서 배포를 해도 되구요 질문자님께서 제대로 알고 계신거 같아요 제가 아는 선에선..

박범수님의 프로필 사진

우선 권혁진 님의 답변처럼 서버와 프론트가 별개의 프로세스라면 따로 실행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이런 구조가 훨씬 많습니다. 그럼 가상머신 하나에다가 프론트엔드도 켜고 백엔드도 켜고 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 한 쪽의 문제가 다른 쪽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 이상이 생겨서 cpu나 메모리를 많이 사용한다면 프론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래서 나누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개발이나 엔지니어링을 공부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포폴을 작성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유용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개인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에서 켜놓은 서비스를 몇 명이나 이용할 수 있을까요? 24시간 켜놓기도 어렵습니다. 그래서 인프라를 따로 구성하는게 좋습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키워드로 질문 모아보기

실무, 커리어 고민이 있다면

새로운 질문 올리기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