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신입 백엔드 개발자 이력서 관련 질문

2024년 07월 24일조회 134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하길 희망하는 취업준비생입니다! 이력서 작성에 왕도는 없겠지만, 선배님들이 어떻게 작성했는지 혹은 채용자 입장에서 괜찮은 이력서를 찾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많이 찾아보다보니까 오히려 머리가 복잡해지는 것 같아서 최대한 제 얘기를 담은 이력서를 작성하려고 노력중입니다. 다만, 제가 작성하는 방법이 채용자가 원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기에 몇가지 질문과 가능하시다면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선배님들이 계실까 해서 글 남겨봅니다. Q1. 이력서 내 프로젝트에서 기여 혹은 개선사항을 작성할 때 사용한 기술을 상세히 적으며 풀어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혹은 어떤 점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포괄적으로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ex) 사용자 인증 정보를 RedisTemplate의 opsForValue 메소드를 통해 캐싱하여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vs Redis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정보 캐싱으로 DB 호출 횟수 4회 -> 1회로 최적화 (적절한 예시일지 모르겠지만 생각나는대로 적어봤습니다,,ㅎ) Q2. 직무와 연관되지 않았지만 활용될만한 기술스택은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제외해도 괜찮을까요? ex)Scrapy, Selenium등의 크롤링 툴, 프론트엔드 기술 Q3. 이력서 외에 자기소개서 내용에서 기술적인 얘기를 많이 담는 것이 좋을지 항목에 맞는 에피소드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자기소개서를 읽는 채용자는 기술에 대해 자세히 모를 수 있다는 얘기도 들어봐서 고민되는 부분입니다. 1번 질문의 의도와 비슷한 내용일 것 같네요.) 이외에도 혹시 개인적으로 피드백 해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이력서 공유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도움 주실 수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1

aigoia님의 프로필 사진

회사마다 다를수도 있는데 기술적인 부분은 실무 책임자가 따로 검토합니다. 일하다 보면 인사쪽에서 먼가가 오는데 코드만 쓱 보고 OX 체크해서 넘겨주고요. 이력서에 나머지를 검증하는건 인사팀이 해결하져. 글로 되어 있는 부분은 대게 비기술자 분들이 꼼꼼히 읽으십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AI 답변
커리어리 AI 봇 프로필 이미지

커리어리 AI 봇

GPT가 달아주는 답변입니다.

2024년 07월 24일

Q1. 이력서 내 프로젝트에서 기여 혹은 개선사항을 작성할 때 사용한 기술을 상세히 적으며 풀어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혹은 어떤 점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포괄적으로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 기본적으로 사용한 기술과 그를 활용해 어떤 결과를 도출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느냐, 포괄적으로 설명하느냐의 차이는 읽는 사람의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술적인 배경이 깊은 인터뷰어라면 조금 더 세부적인 정보를 원할 수 있겠지만, HR 같은 경우 초등하게 이해할 수 있는 포괄적인 설명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Q2. 직무와 연관되지 않았지만 활용될만한 기술스택은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제외해도 괜찮을까요? - 본인이 해당 스택을 충분히 잘 다룬다고 생각하고, 그러한 능력이 부가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추가하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해당 스택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왜 그러한 스택을 배웠는지에 대한 근거가 함께 있으면 더 좋습니다. Q3. 이력서 외에 자기소개서 내용에서 기술적인 얘기를 많이 담는 것이 좋을지 항목에 맞는 에피소드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 자기 소개서의 목적은 '나는 누구인가', '왜 이 회사에서 일하고 싶나', '어떤 경험이 나를 동기부여 했나' 등 본인의 성격, 가치관, 동기부여 요인 등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술적인 내용보다는 본인을 알려주는 스토리에 중점을 두었다가 필요할 때 기술적인 내용으로 백업하는 방식이 적절해 보입니다.

목록으로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