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질문 2
해시태그 없이 키워드만 일치하는 질문은 개수에 포함되지 않아요.

7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iOS NEpacketTunnelProvider https 패킷 감지

안녕하세요! iOS NEPacketTunnelProvider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려움이 있어 여쭈어봅니다. 터널링을 이용해 vpn 프록시 서버를 로컬로 두고, 해당 터널에 지나가는 네트워크 패킷을 캡쳐해보고 있습니다. https 요청의 경우 암호화가 되어 있다보니 full path(ex. https://google.com/login) 경로를 알아낼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SNI를 추출하여 도메인(ex. https://google.com) 정도만 출력해보고 싶은데 관련 경험이 있거나 Network Extension을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도와주신다면 커피 기프티콘으로라도 보답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swift

#network-extension

#nepackettunnelprovider

#vpn

답변 0

댓글 0

조회 24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Network traffic monitoring tool

제목과 같이 관련해서 프로젝트를할려고하는데 방향성을 못잡겠습니다.. 파이썬이랑 centos로 연계해서 하는데 모르겠습니다 ㅠㅠ 참고 할만한것도 못찾겠습니다..

개발자

#linux

#python3

#network-traffic

답변 0

댓글 0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2

일 년 전 · 장성호 님의 답변 업데이트

docker container 내부의 spring boot 서버에서 client 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안녕하세요 지금 만들고 있는 서비스가 설치형 어플리케이션에,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야해서 처음부터 docker 환경으로 spring boot 서버 환경을 세팅하고 시작했습니다. 순조롭게 진행하다가 한 부분에서 막히게 되었는데요, spring boot 서버 내에서 현재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ip를 기존에 등록한 아이피와 비교하여 다른 아이피일 경우 요청을 거부하는 보안 로직을 구현해야하는 부분입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ip를 알아내는 부분인데요 원래 하던것과 같이 HttpServletRequest 객체에서 getRemoteAddr() 메소드를 호출하여 아이피를 출력해보니 클라이언트의 아이피가 아닌 다른 아이피가 잡히는겁니다. 정황상 host 에서 컨테이너로 포트포워딩을 하다보니 본래 클라이언트의 아이피가 아니라 Docker 네트워크의 아이피가 나온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포워딩 헤더가 있을까 하여 헤더를 까봤지만 헤더에 있지도 않더라구요.. GPT에게 자문을 구해보니 두가지를 추천해주더군요. 1. container의 network를 host로 설정하라 이건 알아보니 리눅스에서만 작동하는거랍니다 제 어플리케이션은 리눅스에 설치될수도 있고 윈도우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말이죠.. 2. Nginx 같은 프록시 서버를 둬라 호스트에 프록시를 둬서 본래의 아이피를 헤더에 추가하든 어떻게든 해서 본래의 아이피를 스프링에 전달해주라는 말로 이해했습니다. 플랫폼 독립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Docker를 채용했는데 호스트에 추가적인 서버를 설치하라뇨… 이것도 좀 아닌 것 같습니다.. 막막합니다… 괜히 Docker 들여왔나 싶기도 하고, 보안 인증때문에 이 기능을 지원 안할수도 없고.. 도와주십쇼..!

개발자

#docker

#spring-boot

답변 1

댓글 5

조회 1,281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Next.js RSC Network response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Next.js App rout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검색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패칭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자식 Client 컴포넌트에서 url의 searchParams(router.replace)를 변경하면, 2. 부모 Server Component는 변경된 Search Params를 바탕으로 라우트 핸들러에서 서버에 요청을 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Server Component로 받아옵니다 . (부모 RSC는 캐싱을 하지 않게 구현되어있습니다.) 3. 받아온 데이터를 가공 후 자식 Client 컴포넌트에 내려주면, 4. props를 받은 자식 Client 컴포넌트에서 보여주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다만 브라우저 devtool의 Network 탭을 확인하는데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RSC에서 요청을 하면 _rsc 페이로드로 데이터를 받아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분명 _rsc로 요청이 가고 정상적으로 네트워크탭의 preview에 RSC 페이로드가 찍히는가하면 정상적으로 요청이가고 페이지를 확인했을 땐 정상적으로 패칭과 렌더링까지 완료되었는데, 네트워크에서 preview에는 "no data found for resource with given identifier"로 나옵니다. 결론은 패칭과 렌더링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네트워크탭의 preview와 response가 나올 때도 있고 안 나올 때도 있어서, 명확한 기준이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올립니다.

개발자

#next.js

#network

#devtool

답변 0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305

일 년 전 · 상억 님의 새로운 댓글

중소 Si에 신입으로 들어왔는데, 바로 이직준비를 병행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제 상황에 대한 판단이 너무 어려워 연휴동안 계속 고민을 했습니다. 조언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전공생에 포폴, 코테랑 cs면접 준비도 많이해서 어느정도 자신이 있었지만(백준 골드1 cs깃허브 3개 공부), 요즘 시장을 보고 빨리 경력을 쌓는게 맞다고 판단하여 초봉 3000초에 중소 si에 취직하였습니다. 그래도 나름의 기준으로 파견 절대 없이 spring boot3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하고, 코드 리뷰도 활발한 곳으로 왔습니다. 하지만 백엔드만 한 저에게 풀스택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고, 모르는 게 많은 입사 동기들을 보니 제가 너무 급하게 들어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코테랑 spring 외 기초 cs 면접(OS, network 등)을 보지 않았기에 당연한 건가라는 생각이 들었고, 지금까지 관련 공부를 열심히 한 거에 현타가 왔습니다. 이에 지금부터 회사를 계속 다니면서 퇴근 시간 및 주말에 코테 공부와 공채 이력서를 넣으면서 신입을 노리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1년 정도 회사를 다니면서 사이드 프로젝트 등을 하며 이직 or 중고 신입을 노리는 게 맞을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개발자

#신입

#중고신입

#이직

#취준

답변 2

댓글 2

추천해요 2

조회 2,418

일 년 전 · 강병진 님의 새로운 댓글

리액트쿼리(useQuery) 질문이 있습니다.

개인 프로젝트에서 useQuery를 커스텀 훅으로 사용중입니다. (v5 사용중이며, staleTime과 gcTime은 기본값 사용중. staleTime 0, gcTime은 5분) 테스트를 위해 컴포넌트에서 자체 state를 변경했습니다. 리랜더링이 되기에 훅 안에 있는 useQuery도 다시 실행되는 걸 기대했습니다. 그런데 network탭을 보니 서버 요청이 안되더라구요..!(최초 요청 하나만 표시) 데이터가 stale한 상태에서 state변경시 useQuery는 데이터를 다시 fetch해와야하는 것 아닌가요~? 왜 이런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리액트쿼리

#reactquery

#state

#staletime

답변 1

댓글 4

조회 543

일 년 전 · 조찬우 님의 답변 업데이트

iOS 개발 시, 사용자 개인정보 조회 및 전송 범위에 대한 질문(DevceID/MACAdress/IP)

안녕하세요. iOS 개발하면서 어려움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Q. iOS 디바이스에서 활동기록을 서버로 전송하고 싶은데, DeviceID 혹은 MAC 주소를 조회해서 서버에 전송하는 행위가 법적이나 애플 약관상 이슈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검색해보면, Apple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링크: https://developer.apple.com/app-store/user-privacy-and-data-use/ "Can I fingerprint or use signals from the device to try to identify the device or a user? No. Per the Apple Developer Program License Agreement, you may not derive data from a device for the purpose of uniquely identifying it. Examples of user or device data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roperties of a user’s web browser and its configuration, the user’s device and its configuration, the user’s location, or the user’s network connection. Apps that are found to be engaging in this practice, or that reference SDK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d Networks, Attribution services, and Analytics) that are, may be rejected from the App Store." 제가 인지하기론, 디바이스를 특정짓는 정보는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불법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암묵지로만 알고 있다보니, 정확한 근거를 찾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ios

#privacy

#security

#programming

#아이폰

답변 2

댓글 2

조회 189

2년 전 · 오원종(Owen) 님의 답변 업데이트

백엔드 신입으로서 팀에 도움이 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안녕하세요 저는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한지는 6개월도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번에 회사에 새로운 백엔드 개발자 분들이 오셨고, 실력도 되게 좋은신분들 입니다. 새로운 분들이 오시면서, 제가 너무 못한다는 걸 느끼고 있어 퇴사하고 다시 공부해야할까도 생각해봤지만, 그래도 회사에서 일을 하며 얻는 것이 더 많을 거 같아 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백엔드 개발자로서 팀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어 뭘 공부해보면 좋을까 생각해봤습니다. 1. 코드리뷰를 통해서 배운 것 잊지 않기  2. Db os network 보안 자료구조 다시 공부하기  3.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깊이 공부  4. 사용하고 있는 도구를 왜 사용하고 더 잘 사용하는 방법을 공부  5. 협업 능력 기르기. 프로덕트에서 원하는 요구 사항을 긴밀히 이해하고 정확히 구현하여 나중에 딴말나오지 않게 하기   이 외에도 더 공부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 그리고 다른 분들은 신입때 어떤 방식으로 팀에 도움이 되었는 지 공유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나도-잘하는-개발자가-되고싶다

답변 1

댓글 1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59

2년 전 · 이상선 님의 새로운 댓글

Firebase Error

Firebase authenication을 사용해서 로그인 및 회원가입을 구현했습니다. 그런데 로그인시 첫 번째 로그인은 무조건 에러가 발생하고 두 번째 로그인 때는 로그인이 완료 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콘솔창을 보면 (auth/network-request-failed)라고 뜹니다 백엔드는 node js로 구현했으며, 공식 문서를 그대로 이용해Promise를 사용해 비동기처리도 시켰습니다 대체 어떤게 문제인가요 ㅠㅠ

개발자

#firebase

답변 1

댓글 1

조회 105

2년 전 · 닉네임을 등록해주세요 님의 질문

VM에 VPN(Wireguard)을 통한 접속 방법

안녕하세요. 제발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것 : 외부에서 노트북으로, 저희 집 데스크톱에 VM으로 띄워 놓은 서버에 VPN을 통해서 접속 (네트워크 지식이 부족하여, 어느 부분이 빠졌는지, 뭘 고려해야하는지, 뭘 알아야하는지... 등 조언과 훈수 부탁드립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시면 가장 좋고요ㅠ) 현재 저의 상태입니다. 1. LG 유플러스 인터넷 사용, 집에 있는 데스크톱에 랜선을 꽂아서 인터넷 사용중 (IP : 192.168.219.102) 2. VMware - Bridged 방식으로 VM 서버(Ubuntu 22.04) 하나를 띄워 놓음 (IP : 192.168.219.201) 3. 위의 VM 서버에 Wireguard VPN을 설치 (VPN 서버 + 개인용 웹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4. https://jjeongil.tistory.com/2062 블로그를 보며 VPN 서버 구축을 함 5. Wireguard 설정 ㅇ 서버측 wireguard 설정(VM) [Interface] Address = 192.168.219.1/24 SaveConfig = true PostUp = iptables -A FORWARD -i %i -j ACCEPT;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ns33 -j MASQUERADE PostDown = iptables -D FORWARD -i %i -j ACCEPT; iptables -t nat -D POSTROUTING -o ens33 -j MASQUERADE ListenPort = 51820 PrivateKey = xxxxxxxxxx= [Peer] PublicKey = xxxxxxxxxx= AllowedIPs = 192.168.219.202/32 ------------------------------------------------------------- ㅇ 클라이언트쪽 wireguard 설정(노트북) [Interface] PrivateKey = xxxxxxxxxx= Address = 192.168.219.202/24 [Peer] PublicKey = xxxxxxxxxx= AllowedIPs = 0.0.0.0/0 Endpoint = 192.168.219.201:51820 ============================================================= [ 로그 ] 2023-09-22 16:18:28.666678: [TUN] [srm-pjt-vm-server] Starting WireGuard/0.5.3 (Windows 10.0.22621; amd64) 2023-09-22 16:18:28.667384: [TUN] [srm-pjt-vm-server] Watching network interfaces 2023-09-22 16:18:28.669947: [TUN] [srm-pjt-vm-server] Resolving DNS names 2023-09-22 16:18:28.669947: [TUN] [srm-pjt-vm-server] Creating network adapter 2023-09-22 16:18:28.750000: [TUN] [srm-pjt-vm-server] Using existing driver 0.10 2023-09-22 16:18:28.762403: [TUN] [srm-pjt-vm-server] Creating adapter 2023-09-22 16:18:28.967072: [TUN] [srm-pjt-vm-server] Using WireGuardNT/0.10 2023-09-22 16:18:28.967588: [TUN] [srm-pjt-vm-server] Enabling firewall rules 2023-09-22 16:18:28.938662: [TUN] [srm-pjt-vm-server] Interface created 2023-09-22 16:18:28.972410: [TUN] [srm-pjt-vm-server] Dropping privileges 2023-09-22 16:18:28.972410: [TUN] [srm-pjt-vm-server] Setting interface configuration 2023-09-22 16:18:28.972932: [TUN] [srm-pjt-vm-server] Peer 1 created 2023-09-22 16:18:28.974501: [TUN] [srm-pjt-vm-server] Monitoring MTU of default v4 routes 2023-09-22 16:18:28.974501: [TUN] [srm-pjt-vm-server] Interface up 2023-09-22 16:18:28.977259: [TUN] [srm-pjt-vm-server] Setting device v4 addresses 2023-09-22 16:18:28.995686: [TUN] [srm-pjt-vm-server] Monitoring MTU of default v6 routes 2023-09-22 16:18:29.023405: [TUN] [srm-pjt-vm-server] Setting device v6 addresses 2023-09-22 16:18:29.072431: [TUN] [srm-pjt-vm-server] Startup complete 2023-09-22 16:18:29.070847: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34.106156: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34.106156: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39.10765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44.11529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49.267198: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49.267198: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54.340284: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8:54.34028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8:59.355253: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9:04.414034: [TUN] [srm-pjt-vm-server] Handshake for peer 1 (192.168.219.201:51820) did not complete after 5 seconds, retrying (try 2) 2023-09-22 16:19:04.414034: [TUN] [srm-pjt-vm-server] Sending handshake initiation to peer 1 (192.168.219.201:51820) 2023-09-22 16:19:07.916126: [TUN] [srm-pjt-vm-server] Shutting down 2023-09-22 16:19:07.922350: [MGR] [srm-pjt-vm-server] Tunnel service tracker finished

개발자

#network

#ubuntu

#vpn

#wireguard

#vm

답변 0

댓글 0

조회 423

일 년 전 · 김대현 님의 답변 업데이트

단위테스트의 정의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외부 의존성을 제외한 테스트, 로직만 테스트 하는 것을 단위테스트라고 하며 Network가 연결되어있지 않더라도 테스트가 통과되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cloud db를 사용하는데 단위테스트라고 혼용해서 말하시더라구요...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나 싶어 질문드립니다.

개발자

#unittest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328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딥러닝이라는 학문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서울 모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하고 있는 4학년생입니다. 아직 모르는 점이 많고, 딥러닝 공부를 하게 된지 별로 오래 되지 않은 점 때문에 질문이 다소 모호할 수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워낙 딥러닝 관련 프로젝트와 논문이 쏟아져내리고 있고, (2023 네이버 deview 참석에서 가장 느꼈습니다.) 개발자로서의 진로를 확실히 정하지못했고, 딥러닝의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해보인다는 점에 매력을 느껴 딥러닝으로 유명한 코세라 강의를 수강하고 있고, 학교에서는 학석사 연계 수업을 듣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까지 흥미를 느끼며 재밌게 하고 있는데 몇가지 위화감이 드는 지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1. 아직 딥러닝 관련 알고리즘을 대부분 안다고 할 수 없지만 neural network를 구성하는데 쓰이는 알고리즘과 관련 코드를 보며 느끼는 점은, 생각보다 쓰이는 수학이 그리 어렵지 않다는 것입니다. 기초적인 미적분 지식이 있으면 누구나 딥러닝 모델링을 할 수 있을정도로 난이도가 높지않아보이는데, 왜 보통 학부생이 아니라 석사생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지입니다. 2. 딥러닝은 어찌보면 만능인 것 같지만 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는듯 합니다. 데이터 셋이 커지다보면 일반 컴퓨터에서는 어림도 없을 것 같습니다. 이런 cost를 감수하면서까지 여기저기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는게 맞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대부분의 CS프로젝트에 AI가 붙고, AI 경진대회, AI 산학연계 프로젝트들이 가득 차 있는데 공부할수록 이것들이 뜬구름 잡는 소리로 들립니다. 논문도 몇 개 읽어봤는데, 이런 식에서 이런 식으로 방법을 바꿔서 시도해보니 정확도가 0.01프로 증가했더라~식의 논문이 많은데 굉장히 피상적으로 보였습니다.. 왜냐하면 정확한 인과관계가 증명되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유의미한 정확도 상승인지 의문이 들었기때문입니다. 기존에 학교에서 배운 CS 공부와는 다른 결의 공부라는 느낌도 받았습니다. 저의 이러한 생각들은 아직 딥러닝 공부를 깊게 안해봐서 느끼는 것인지, 원래 이 학문이 그런 것인지, 아니면 제가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는건지 궁금하여 질문글을 올려봅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

#딥러닝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5

조회 438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java 개발 독학 방향성

두 달 정도 독학으로 java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강의를 통해서 java 기본 문법을 다 봤는데요 이 다음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지 막막합니다. 커리큘럼 상으로는 java network 관련 인데 이부분은 너무 어려운 것 같아서 문법 이외의 공부를 선행하고 돌아오려고 합니다. 유투브에 검색해보니 java 문법 다음에는 jsp나 servlet을 공부하는 것 같더구요 근데 또 스프링을 바로 배워도 괜찮다는 얘기도 있어서 어떻게 방향을 잡아야 할지 궁금합니다. 선배 개발자님들 좋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java

답변 1

댓글 1

조회 394

2년 전 · 손정현 님의 답변 업데이트

nextjs에서 Error: Client network socket disconnected before secure TLS connection was established 오류

nextjs 질문 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getServerSideProps, getStaticProps를 사용하여 렌더링을 할 경우 페이지 첫 진입 자체는 문제 없는데 새로 고침을 하면 Error: Client network socket disconnected before secure TLS connection was established 위와 같은 오류가 계속 나는데 해결 방법 아시는 분 계신가요?

개발자

#nextjs

답변 1

댓글 0

조회 480

2년 전 · 손정현 님의 답변 업데이트

Nginx 에서 던지는 413에러 처리하는법

안녕하세요! 처음 질문 남겨봅니다 Nginx 에서 용량이 너무 크면 413에러를 던지는것 까진 좋은데, 이후에 사용자에게 해당 에러는 용량이 너무 커서 발생했다는걸 알려주려고 합니다. 그런데 catch error를 해보면 status가 따로 없이 그냥 network error 아니면 CORS가 뜨더라구요. 혹시 이런경우에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수 있을까요?

개발자

#react

#javascript

답변 1

댓글 1

조회 162

3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Putty 네트워크 에러

현재 putty에서 runserver를 통해 서버를 실행시키고 있습니다. 이때 시간이 조금 지난 후 그 사이트에 들어가면 서버가 끊겼다는 페이지가 나와 putty를 확인하면 Network error: Software caused connection about이라는 창이 뜹니다. 이에 대해서 connection -> secons.between keepalives의 값을 5로 변경 후 다시 시도했지만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에 대한 해경 방안이 있을까요?

개발자

답변 1

댓글 3

추천해요 1

보충이 필요해요 1

조회 200

3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react-native-file-access 알 수 없는 빌드 에러

안녕하세요~ 이번에 react-native-file-acccess라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했는데 react native iOS는 빌드가 잘되는데 안드로이드만 빌드가 안되고있어요 ㅠㅠㅠ 에러 문구는 이렇게 나옵니다 /Users/xxxx/xxxxxxxxxxxx/xxxxxx/app/node_modules/react-native-file-access/android/src/main/java/com/alpha0010/fs/NetworkHandler.kt: (49, 33): Using 'body(): ResponseBody?' is an error. moved to val 리액트 네이티브 버전은 0.64.3입니다 혹시 해결 방법 아시는분 있나요? 몇 시간째 아무것도 못하고 있어요 ㅠㅠ

개발자

#프론트엔드

답변 1

댓글 1

조회 215

3년 전 · 손정현 님의 새로운 답변

리눅스에 메일서버 와 자바소스 연동

고객이 요청사항을 적어서 저장버튼을 누르면 pm의 이메일에 요청이왔다는 내용의 메일이 가게끔 하는 기능을 구현해봤는데 개발서버에서는 회사메일, gmail, naver 등 다 잘 가는걸 확인했습니다 운영서버에 소스를 적용시킨 후 해보면 메일이 어디로도 가지않습니다... putty로 catalina 로그를 보면 Data 354 뭐시기뭐시기 quit 을 바로 띄웁니다 sendmail 잘떠있고 postfix, dovecot 잘 떠있는데 network를 재시작하면 오류가 뜹니다 그래서 NetworkManager도 disable 해보고 재시작 했는데도 network는 계속 fail뜹니다... 혹시 어떤 것을 확인해봐야할까요? 제가 접근을 잘 하고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백엔드

#비전공자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71

일 년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해외 취업

미국 주립대에 컴퓨터공학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올해 가을에 3학년이되고 2024년 5월 졸업 예정입니다. 작년 여름에 3개월정도 한국 중소기업에서 인턴을 했었고, 현재는 학교 IT부서에 Network관련 일을 학업과 병행해서 하고있습니다. 또 작년 11월부터 학교 교수님과 Constrained Optimization관련해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다양한 분야를 많이 접해보고 뭐가 나에게 맞는지 알아보고있는 과정중에 있습니다. 저 자신이 프로그래밍과 수학을 좋아한다는것정도 알고있고 코딩테스트는 Google에서 주최하는 Code Jam에서 매번 2라운드 정도까지 가능한 수준입니다. 주로 Python을 사용하지만 C++, Java, JavaScript, Haskell정도 가능합니다. 점점 졸업이 가까워져 오면서 취업도 준비해야될것같은 마음인데 어떻게 뭐를 해야될지 구체적으로 잘 모르겠어서 먼저 취업하신 선배님들께 어쭤봅니다. 참고로 졸업후에Software Engineer쪽으로 미국내 취업을 생각중인데 다른쪽으로도 열려있습니다.

개발자

#미국취업

#유학생

답변 2

댓글 0

추천해요 4

조회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