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에디터로서 첫 강연에 도전했다. 50여 명의 파리크라상 마케터분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인터뷰했던 F&B 브랜드의 '브랜딩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사실 처음 섭외 메일을 받았을 때만 해도 고민했다. 다양한 F&B 브랜드를 인터뷰하긴 했지만, 직접 운영해 본 경험도 없고 브랜딩 전문가도 아닌 내가 괜히 현직자분들의 시간을 뺏는 건 아닌가라는 생각이었다.
계속 고민하다가 안하면 후회할 것 같아서 결국 도전했다. 3주 동안 부지런히 발표 자료를 만들었다. 한 편의 아티클을 제작하듯 'F&B 브랜드의 단골을 만드는 브랜딩'이란 메시지를 정하고, 관련 내용들을 큐레이션했다.
첫 도전인 만큼 개인적으로 아쉬움도 있지만 소중한 경험이었다. 함께 해주신 동료 에디터분과 호응해 주신 마케터분들에게 감사할 따름이다. 몰랐던 브랜드의 전략을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강연 후기를 볼 땐 더더욱 감사했다. 강연 자료에서 소개되는 걸 허락해 주신 코끼리베이글, 서울집시, 백곰막걸리, 맥파이앤타이거, 치즈플로의 대표님들께도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_
💡강연을 마친 후, 이번 도전의 계기가 된 시리즈 기획안을 오랜만에 다시 봤다.
'로컬 F&B 브랜드의 다큐멘터리' 같은 아티클. 당시 내가 기획안에 작성한 표현이다. 특정 상권에서 시작해 브랜드가 된 F&B 매장에게는 뚜렷한 성장 과정이 있고, 그 몇 년 간의 시행착오를 한 편의 긴 아티클로 풀어내겠다는 것이 내 기획의도였다.
7000~8000자 정도의 긴 분량을 추구한 이유는 평소 독자로서 느꼈던 아쉬움 때문이다. 핫한 F&B 매장을 소개하는 콘텐츠가 많았지만, 주로 간단히만 성공 전략을 다루는 식이었다. 물론 콘텐츠 형식과 채널 톤앤매너 등을 고려한 결과이겠으나 F&B 브랜드 덕후인 나로서는 알고 싶은 내용이 많았다. 예컨대 "화덕에 베이글을 굽는 퍼포먼스로 입소문났다"라고 하면 왜 화덕을 선택했는지? 화덕 레시피를 섭렵하기가 쉽지 않은데 어떻게 해결했는지? 등이 궁금했다.(TMI가 되지 않도록 적당한 깊이감으로 쓰는 것이 쉽진 않지만..꾸준히 해보려고 한다.)
_
🧑💻인터뷰를 매개로 누군가의 지식을 온전히 공유받을 수 있다는 점이 '에디터'라는 직업의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혜택을 누리는 만큼, 전달받은 지식을 독자분들에게도 잘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 보니 일정 수준의 부담감은 에디터에게 필요한 부분이다. 앞으로도 이 부담감을 가지고 계속 비즈니스 아티클을 제작할 계획이다. 그 과정에서 이번 강연처럼 또다시 소중한 경험에 도전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도 있다.
일단 최근에 인터뷰한 성수동 카페의 이야기부터 얼른 마감해야 겠다..하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6월 16일 오전 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