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아름다운 것들에서 영감을 얻는다. 각국 전통의상과 텍스타일을 많이 연구하는 이유다. 인류 문명은 시작부터 다양한 여러 문화가 서로 영향을 끼쳤고, 이런 뒤섞임에 푹 빠졌다. 서로 ‘구분 짓기’보다 우리 자신을 하나의 글로벌 시민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대비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나라인 것 같다. 전통과 모던함(판소리에서 K팝까지), 도회적인 것과 아름다운 자연. 대조적인 것엔 늘 아름다움이 있다.” 2년 전 런던멘즈 패션위크에서 한국의 전통모자 '갓'을 등장시켰던 영국의 디자이너 에드워드 크러칠리가 21SS 컬렉션에서는 일본의 밤문화를 모티브로 한 의상을 선보였다. 서로 다른 문화를 뒤섞는 크러칠리의 디자인 방식, 그리고 '대조적인 아름다움이 있는 나라' 한국에 대한 견해가 인상적.

“저 강렬한 실루엣, 오 마이 갓”

naver.me

“저 강렬한 실루엣, 오 마이 갓”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6일 오전 4: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 당신의 커리어를 바꿀 단 두 가지 능력 >

    1. 레버리지와 도구는 과정과 결과 사이의 단절을 만들어냅니다.

    ... 더 보기

    < 답답한 팀원 때문에 잠 못 드는 리더에게 >

    1

    ... 더 보기

    퍼스널 브랜딩의 불편한 진실

    회사에서 개인의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