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디자이너가 부정적인 피드백을 경청해야 할까?> "게임"을 "서비스"로 바꿔도 크게 무리가 없을 법한 내용입니다. 부정적인 피드백이 받으면 피드백을 반영하는 것이 옳을까요? 아니면 무시해도 되는 것일까요? 유저 피드백을 대하는 다음 네 가지 원칙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1. Don't listen to a vocal minority : 열성적인 소수의 의견은 듣지 말라 2. Identify problems not solutions : 해결책이 아니라 문제를 인식하라 3. Don't let changes ruin your game : 변화가 게임을 망치지 않도록 주의하라 4. create a conversation with your players : 유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라 부정적인 피드백은 서비스의 문제점을 인식시켜 준다는 점에서 매우 고맙고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피드백이 곧 해결의 방향성이 되어서는 안되며, 반드시 제품팀의 관점에서 재해석 되어 개선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습니다." 즉 누구를 만족시켜야 할지 선택해야 하며, 그것은 제품을 만드는 사람들의 철학과 맞닿아 있어야 할 것입니다.

Should Game Designers Listen to Negative Feedback?

youtu.be

Should Game Designers Listen to Negative Feedback?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10일 오전 10: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인생을 바꾸는 ‘큰 돌멩이’의 법칙 >

    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887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3,283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

    이직하고 싶을 때 보세요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서버엔지니어의 시대적 고민

    ... 더 보기

    장안의 화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제작 기간은 4.5년, 구상 단계부터하면 9년. 제작비는 약 1천억원($70M+) 수준.


    역시 뭐든 금방 쉽게 되는 건 없다. 생각보다 엄청난 자금이 들어갔다는 것이 놀라우면서도 부러운 부분. 역시 글로벌이 답이다.

    조회 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