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무서운 이유 ㄷㄷ> 1. 아마존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원스톱 쇼핑이 가능한 사이트를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2. (특히) 사용자 습관 형성에 강한 자신감을 내비친 아마존은 자사의 사이트에, 직접 경쟁 관계에 있는 사이트의 상품 광고를 게재하기 시작했다. 3. (이 때문에) 아마존에 들어왔던 고객들 종종 자신들이 구입하려고 했던 상품이 (아마존의 경쟁 상대인) 다른 사이트에 더 저렴한 가격으로 올라온 것을 발견하고는 그곳에서 구입하기 위해 아마존을 나간다. 4.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 전략은 실패의 지름길처럼 들릴 수도 있다. 그러나 아마존에게는 이것은 아주 예리한 사업 전략으로 작용한다. 5. 아마존은 경쟁 업체의 광고 게재를 통해 (또 다른) 수익을 얻을 뿐 아니라, 다른 업체들의 마케팅 비용을 이용해 고객들의 머릿속에 하나의 습관을 형성했다. (다른 사이트를 돌아다닐 필요 없이 물건을 사고 싶으면 아마존에 들어가면 된다고. 경쟁 사이트들이 광고를 할 정도로 아마존의 지배력이 압도적이고, 아마존만 써도 가장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고) 6. (이로써) 아마존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목표인 (쇼핑을 할 때) 사람들이 겪는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고객들은 자신이 원하는 품목을 찾기 위해 이곳저곳 다닐 필요가 없이 한 곳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고 싶어 하는데, 아마존이 바로 그런 공간이 된 것이다. 7. 이렇게 아마존은 (자사의 사이트에서 구매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고객의 충성을 확보하고, 그 과정에서 사람들의 머릿속에 (경쟁자가 광고를 할 정도로) 믿을 수 있는 사이트라는 강한 인식을 심어줄 수 있게 됐다. 8. 2003년에 실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이런 전략은 이미 효과가 입증됐다. 이 연구는 경쟁 업체의 가격 정보를 제공했을 때 온라인 소매업체에 대한 고객들의 선호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9. (이처럼) 사용자가 가격을 비교한 후, (후회하지 않고) 구매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아마존은 고객들에게 자신들의 유용함을 강하게 인지시켰다. 10. (그로 인해 이제는) 오프라인 상점에 가서도 가격 확인을 위해 아마존 모바일 앱을 수시로 사용하는 사람들까지 많아졌다. - 니르 이얄&라이언 후버, <훅> 중
2020년 11월 25일 오전 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