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 공지 · DaleStudy/leetcode-study · Discussion #1599
lnkd.in
요즘 AI로 코드 자동화가 대세인데
UI 퍼블리싱 작업도 실제 현업에서 많이 AI로 대체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React나 Vue처럼 컴포넌트 형태로 UI를 만들 때
Figma → 코드 내보내기 기능으로 초안은 만들지만, 결국 손 많이 가더라고요
(구조 쪼개고 상태관리하고 공통요소 묶고... 저만 손이 많이가나요? ㅠㅠ)
그리고 AI한테 시키려면 요구사항을 정리하는 데 시간도 많이 들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까지 대화도 많이 하면서 시간도 많이 쓰는데
“이걸로 진짜 다들 뚝딱뚝딱 실무 프로젝트 만드는 건가?” 싶고 얼마나 개발시간들을 단축하셨을까 궁금도 하고...
주변에 의견 여쭤볼 개발자 분들이 없어서 문의남겨요!
실제로 회사에서 이런 AI 툴이나 서비스들을 도입해서 퍼블리싱 업무가 줄어드신분 있을까요?
도입한 툴이 있다면 어떤 것들을 쓰고 있으신가요?
인터랙션이나 반응형 같은 세부 구현도 잘 적용 되나요?
어떤 내용이라도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참고로 저는 front-end 개발자 입니다 ㅎㅎ)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7월 9일 오후 10:24
직장 생활을 하다보면
크고 작은 문제(Problem)들이
앞으로의 코테는 설명을 주고 코드를 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주고 설명을 하라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내 경우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요구사항을 주고 개발을 요청. 결과물이 요구사항대로 개발이 잘 되었다면, 다음 단계로 제출한 코드를 리뷰하며 설명을 요청한다.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