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기능의 일부를 바이브 코딩으로 만들려다가 실패했는데요. 그 중에 하나로 타임존 문제가 있었습니다.‬


‪타임존 문제는 꽤나 보편적인(?) 문제라 잘 할 줄 알았는데 의외로(?) 헛점이 많더라고요. 초반엔 AI들이 아예 타임존 문제를 고려하지도 않았고요.‬


‪그래서 타임존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과, 이에따른 몇가지 고려사항을 상세하게 주고 또 결과를 꼼꼼히 검토해야했는데요. 시니어 개발자가 주니어 개발자보다 유리한 부분이 이런 엣지 케이스에 대한 경험적인 부분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반면에 이런 사소한(?) 요소들 때문에 개발이 오래 걸리는데, 보통 당장은 필요 없는 것일 가능성이 높으니, 주니어가 이런 것 고려하지 않고 빠르고 단순하게 만드는게 더 큰 장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이런건 나중에 정말 많은 사람들이 쓰기 시작할 때 개선하는게 더 의도에 맞게 만들 수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저는 AI 개발 시대에 시니어만 유리하다는 말이 맞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내년이 되면 주니어에 비해 경쟁력이 없어질까 불안할 정도에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7월 16일 오전 6:4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