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 공지 · DaleStudy/leetcode-study · Discussion #1599
lnkd.in
험한 산속에 5명이 고립되어 있습니다. 생존하려면 어둡고 위험한 다리를 건너 구조대에게 가야 합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제약 조건이 있습니다.
1. 다리는 최대 두 사람까지만 동시에 건널 수 있습니다.
2. 반드시 등불이 있어야만 다리를 건널 수 있습니다. 등불은 단 하나뿐입니다.
3. 각 조난자가 다리를 건너는 속도는 다릅니다:
• A: 3분
• B: 5분
• C: 7분
• D, E: 각각 10분
가장 빨리 모두가 다리를 건너 구조대에게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일까요? 맞습니다. 이 질문은 최적화에 관한 질문입니다. 엔지니어 면접 질문으로 종종 묻던 것 중에 하나입니다.
모든 사람이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다리를 건너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를 가진 A와 B가 주도적으로 움직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가장 빠른 사람(A)이 반복적으로 왕복하며 등불을 옮겨야 하는 부담을 지게 됩니다. 결국, 가장 빠른 사람의 헌신과 희생이 모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게 됩니다.
이 질문 속 진짜 숨은 의도는 단순히 최적화의 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내 업무 최적화에 대해 많은 생각을 이끌어내는 데 있습니다.
조직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전체 업무의 효율성은 가장 느린 구성원에게 맞춰지며, 가장 뛰어난 인재가 전체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더 많은 역할과 책임을 짊어지게 됩니다. 뛰어난 인재가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그들의 기여를 인정하고 적절히 보상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경영의 신으로 불리우던 GE의 잭 웰치(Jack Welch)가 하위 성과 10% 그룹은 과감한 정리 해고, 상위 리더 그룹에는 파격적인 보상을 했는지 이해가 되는 지점이기도 합니다(물론 이후 잭 웰치는 주주가치 최우선에 대한 자신의 과거 생각을 일부 철회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리더 그룹에 속하기 위해서는 단지 능력을 갖추는 것 뿐 아니라 구성원의 성장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하고 헌신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
참고로 이 문제의 답은 총 38분입니다. 문제를 풀어보며 조직 관리에 대해서도 한번 고민해봐도 좋을 것 같네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7월 19일 오전 3:15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