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능력, AX 시대 일잘러 되기

어제 우리은행 2025년 상반기 승진자 신임과정 리더십 연수 과정에서 '업무능력, AX 시대 일잘러 되기'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했다. 브런치북 대상을 받으며 '일의 기본기' 책을 낸 이후 리더십이나 커뮤니케이션, 일잘러를 주제로 강연이나 교육을 종종 해왔는데, 이번에는 완전히 새로 준비했다. 그 사이 AI가 세상을 급격하게 바꿔오면서 각 개인이 가야할 커리어패스와 일잘러의 조건 역시 바뀌어왔고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또한 진화중이었기 때문이다. 사실상 완전히 새로운 강연을 새로 런칭했다.

제목 : 업무능력, AX 시대 일잘러 되기

I. 오프닝
1. 연차별로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나 정말 잘하고 있는 걸까?
2. AX 시대, 일잘러 리더가 되기 위한
1) AX 시대, 우리 산업과 회사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까?
2) 우리 고객은 어떤 금융서비스를 원하고 있을까?
3) 새로운 변화에 맞춰 우리는 어떤 역량을 갖춰야만 할까?

II. AX 시대의 도래 : 사회와 경제, 산업의 대변혁
1. AX 시대? AX 시대!
2. AX 시대를 맞이한 기업의 사업화 방향
1) 기존 제품과 서비스의 대체 또는 고도화 추구
2) 특정 영역에 타겟팅된 전문화 추구
3) 즉각적인 목표 만족과 생산성 증대 추구
4) AX 시대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니다!
- AX 시대에서 고객은 어떤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는가?
- 산업과 시장, 기업과 고객의 변화, 우리가 변화해야만 하는 이유

III. 커리어 방향성과 직무 전문성 : 직장인에서 경영자로
1. Generalist의 성장 그래프
2. 경영자에게 필요한 역량
3. 직장인과 경영자, 둘 사이 연결고리

VI. 일잘러 리더가 되기 위한 준비 : 사고 방식의 전환
1. 나의 성장과 조직의 성장
1) 회사생활에서 당신은 어떻게 커리어를 만들어가는가?
2) 회사에서 성장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2. 그러면 AX 시대에서 어떻게 자기주도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을까?

V. AX 시대, 일 잘하는 리더의 핵심 역량 : 성장하는 커리어패스
1. Project Manager? No! Project Leader!
2. AX 시대, 일 잘하는 리더의 특성
1) 맥락 파악과 문제 정의
2) 문제해결력에서 인사이트까지
3)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이번주 1차수에 이어 다음주 2차수도 동일한 내용으로 강연이 예정되어 있다. 1차수 분위기와 반응이 좋았는데 2차수도 잘 끝내서 최대한 많은 신임 과장님들이 공감했으면 한다.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8월 9일 오후 2:2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