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 프로블럼(Filter problem)은 무엇인가
takyoh.com
매우 공감하는 글. 좀 더 첨언해보자면,
- 문제가 뭔지 정의하고 그에 대한 솔루션을 만들기보다, 머릿속 솔루션(이라기보단 개발 아이디어)을 꺼낸다음 문제를 역으로 정의해서 끼워 맞추려는 경우도 자주 발견할 수 있음
- 문제가 무엇인지 발견하고 정의하는 일이 어려울 때 가장 많이 선택하는 가설 패턴은, ‘OO의 부재로 GMV가 낮다‘ -> ’OO 하면 GMV가 상승할 것‘
- OO 를 런칭한 후 GMV가 상승하지 않으면 기획이 실패한 것이 되므로(가설 입증 여부는 이미 관심이 없는 상태), 성공해야만 함
- 실패했다면 실패한대로, 성공했다면 성공한대로 GMV 올려줄 것 같은 다음 솔루션을 머릿속에서 또 꺼낸 다음, GMV가 상승하는지 또 실험함
이쯤 되면, ‘문제’나 ’가설‘은 온데간데 없고 GMV 상승 아이디어 맞추기 게임이 되어버림. 모든 실험의 성공지표는 GMV로 통일되고, 가설입증을 위한 지표를 살펴야 한다는 의견은 무시당해버림 - GMV 가 오르면 되지, 다른 지표가 왜 중요한데! 라는 태도로 나타남.
비즈니스에서 GMV는 당연히 중요하지만, 그 GMV 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부재한 기업 또는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8월 24일 오후 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