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이 많을 땐, 어떤 것을 먼저 처리해야할까요?

일이 많을 땐, 어떤 것을 먼저 처리해야할까요? 일이 많다보면 여러가지 일들로 인해서 머리는 복잡해지고, 어떤 문제를 먼저 처리해야하는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니어는 어떤 문제를 먼저 처리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제가 2년 전, 트위터에서 이야기 했던 내용입니다. 중요도와 긴급도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정해보세요. 흔히 이야기하는 아이젠하워 매트릭스를 쓰는거죠. 하지만 그런 이야기에 "중요도"와 "긴급도"를 나누는 기준은 적혀있는 경우가 드물더라구요. 그럼, 중요도와 긴급도는 어떻게 나눌까요? 대부분의 회사는 이윤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득이 될지 손해가 될지를 기준으로 의사결정을 합니다. 사실 이 수준에서 의사결정은 C레벨이나 팀장 선에서 거의 끝나있는 경우가 많고, 주니어에게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목표가 주어집니다. 그런 목표를 기반으로 중요도와 긴급도를 나누면 됩니다. 그럼 연차가 쌓이면 어떨까요? 더 상위의 목표를 볼 수 있도록 시야를 늘려야 합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필요한건, 팀장의 관점( https://lnkd.in/gvM_js7s ) 입니다. 또 새로운 주니어 분들이, 비슷한 고민을 하지 않을까 생각되어 올려봅니다 :)

팀장이 되기 위한 가장 빠른 방법은 개발 역량이 아닙니다. 😱 흔히 개발자의 성장 방식을 주로 두 가지로 나눕니다. 엔지니어링 역량을 높여 전문가가 되는 것과, 팀장으로써의 역량을 높여 팀을 이끄는 것이죠. 엔지니어링 역량이야 시니어들을 보면서, 엔지니어링에 대한 컨퍼런스 등을 참고하면서, 늘상 해오던대로 개발에 대한 역량을 높이고, 더 큰 문제를… | Softy Choco

kr.linkedin.com

팀장이 되기 위한 가장 빠른 방법은 개발 역량이 아닙니다. 😱 흔히 개발자의 성장 방식을 주로 두 가지로 나눕니다. 엔지니어링 역량을 높여 전문가가 되는 것과, 팀장으로써의 역량을 높여 팀을 이끄는 것이죠. 엔지니어링 역량이야 시니어들을 보면서, 엔지니어링에 대한 컨퍼런스 등을 참고하면서, 늘상 해오던대로 개발에 대한 역량을 높이고, 더 큰 문제를… | Softy Choco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8월 24일 오후 1:28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