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효율이란 투입된 시간과 노력 대비 얻어낸 결과의 크기를 말한다. 그래서 일에는 늘 효율이라는 잣대가 필요하다.
2. 최소한의 노력과 시간으로 최대의 결과를 얻어내는 것. 일의 세계에서는 그것이 미덕이다. 일에는 목표가 있고, 그 과정과 결과는 어느 정도 측정이 가능하니까.
3. 하지만 우리의 삶은 어떨까. 내가 원하는 삶을 위해 얼만큼의 노력과 시간이 필요할까. 그런 기준과 공식이 과연 존재할까.
4. 우리는 종종 일하는 방식 그대로 삶을 대하려 한다. 최소한의 시간으로 행복해지려 하고, 가장 빠른 길로 성공하려 한다. 하지만 삶은 최적화해야 할 프로젝트가 아니다.
5. 사랑하는 사람과 보내는 저녁, 목적 없이 떠난 여행, 아무 이유 없는 대화, 무심코 바라본 노을. 이런 것들에 효율이라는 잣대를 들이댈 수 있을까.
6. 오히려 삶의 가장 빛나는 순간들은 대부분 비효율적인 시간 속에서 태어난다. 당장의 결과와 상관없이, 그저 좋아서 하는 일들.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묵묵히 이어가는 과정들.
7. 세상의 모든 변화도 결국 이런 비효율에서 나왔다. 무식할 만큼 우직하게, 끝까지 버틴 시간들. 눈앞의 결과만 따졌다면 시작조차 못 했을 일들이, 결국 세상을 바꾸었다.
8. 그 비효율적인 순간들이 쌓여,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단단한 결과를 만들어낸다.
9. 일은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삶은 결코 효율적일 수 없다. 효율을 따지는 순간, 우리는 삶의 가장 중요한 것들을 놓치게 될지도 모른다.
10. 인생의 정답은 가장 빠른 길에 있지 않다. 비효율적인 길 위에서 헤매고 넘어지며, 마침내 다시 일어서는 그 모든 과정 속에 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8월 25일 오후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