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Claude code 에서 codex 로 넘어가야할지
고민하는 분들 꽤 많으신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래서 직접 비교 해봤습니다.
S.E.O(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시켜봤어요.
Claude code 와 codex 에게 동일한 프롬프트로요.
(S.E.O 제대로 하려면 파일 전체를 읽어서
필요한 상수 값을 잘 넣어주어야 하고,
게다가 server component 와 client component
구분해야 해서 설계 규칙을 잘 지키는지도
볼 수 있어서요)
결과는 Claude code 는 구현 자체에 초점을 맞춰서
잘 해주는 편 같았어요. 다만
구현할 때, 뭔가 추측해서 값을 채워넣는 편이었어요.
(codex 는 정확히 아는 값만 넣었구요)
설계 규칙을 좀 더 잘 지키는 것은 codex 였어요
워낙 간단한 작업이라 더 많은 테스트가 필요하겠지만
그래도 client component 를 유지하면서
새롭게 server component 를 선언하는 방식으로
설계 의도를 잘 지켜서 codex 가 작업해주었어요.
Claude code 는 server component 로 바꾸는
효율성?을 선택했습니다.
(작업에 초점을 맞춰서 그런것 같아요)
더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댓글에 영상을 확인해주세요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9월 13일 오전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