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전을 연구하는 의미에서 스즈미야 하루이의 우울을 보고 있다.
이 작품은 베르세르크와 마찬가지로 악신이 마물이 범람하는
다크 판타지 세계를 연다는 동일한 플롯을 가지고 있더라.
다만 두 작품은 장르에 따른 차이점이 있는데
스즈미야 하루이의 우울에서는 신적 존재가 절망의 상황에서
주인공에 키스를 받고 판타지야를 여는거를 단념 한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이 작품은 베르세르크와 달리 학원물이기 때문인가 싶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달달한 해피엔딩은 좋아하진 않는다.
락스 한사발 들이켜야 할꺼 같긴 한데
머 물론 베르세르크도 사랑의 힘으로 세계를 구한다는 서사이긴 하다.
여튼 츤데레 쿨데레 얀데레 모에계 실눈캐 현인캐 라는 클래식한 캐릭터 구성은
그대로 가져가되 토탈워 내전 버전으로 적절하게 바꾸면 될꺼 같긴 하다.
그나저나 주인공은 늘 평범하다고 하는데
생각이 깊고 현명하고 사례깊은 행동을 하고
템플릿을 썼다곤 하지만 고딩 풀스텍 개발자에
CLI 환경을 선호하고 보드게임까지 잘하는데 평범하다니.
입만열면 잘난척인 나랑은 좀 이질적인 존재인듯 싶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9월 21일 오후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