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착륙 여행,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여행 형태 될까? 코로나19로 항송산업은 전례없는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12월경부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했는데요, 바로 착륙 없이 후쿠오카, 제주도, 울릉도&독도 등을 비행하며 항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착륙 여행"입니다. 에어부산을 시작으로 아시아나, 진에어, 제주항공, 티웨이 항공 등 다양한 항공사들이 무착륙 여행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롯데 면세점이 아시아나와 제휴하여 면세와 호텔 서비스 이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하늘 위의 호텔', '창 밖으로 펼쳐지는 봄 여행'을 생각하면 저도 정말 가보고 싶고, 코로나 시국의 답답한 마음을 조금이나마 달랠 수 있는 좋은 여행 상품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로 탑승률도 90%정도(1월 자료)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90%가 기존 좌석수 기준이 아닌 거리두기 좌석수 기준으로 90%여서 실제 승객수는 여전히 적은 편이라는 의견도 있고, 운항 초기에만 ‘반짝 효과’로 탑승률이 높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또한 항공사 간의 가격 경쟁으로 가격이 많이 내려가 있는 상황인데요, 항공사 고위 관계자는 "소비자가 무착륙 국제 관광 비행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면세점인데, 항공권 가격이 비쌀 경우 효용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항공기를 띄워야할 이유들이 많습니다. 항공기를 주기장에 세워둘 때 나가는 주기료와 공항시설사용료 등 고정 비용이 상당한 데다 각 항공사 소속 조종사들의 비행 자격 유지를 위해서라도 항공기를 띄우는 게 낫다는 판단이 있습니다. 또한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관광 비행의 목적은 수익 창출보다는 홍보 마케팅, 그리고 승무원 자격 유지에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코멘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적인 신사업 모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신사업 모델이 항공산업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무엇보다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어 자유롭게 비행기도 타고 해외여행도 다니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https://flyasiana.com/C/KR/KO/event/detail/CM202102020001326371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2/23/2021022302287.html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2/01/2021020102011.html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83671.html https://www.korea.kr/special/policyFocusView.do?newsId=148884588&pkgId=49500742

무착륙 관광비행 다변화...'트래블 버블' 선제 추진

Korea

무착륙 관광비행 다변화...'트래블 버블' 선제 추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3월 19일 오전 2:29

댓글 9

함께 읽은 게시물

《어중간한 실패가 남기는 후회》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567


🏦하루 10명도 안 오는 은행 점포, 어찌해야 하나요?

... 더 보기

“하루 10명밖에 안 오는데”...발길 끊긴 은행점포, 폐쇄도 못하는 까닭은 - 매일경제

매일경제

“하루 10명밖에 안 오는데”...발길 끊긴 은행점포, 폐쇄도 못하는 까닭은 - 매일경제

조회 162


온리팬스는 영국 당국에 제출한 자료에서 2023년 11월 말 기준 66억달러 매출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2020년 3억7500만달러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로이터는 이 같은 빠른 성장세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고 설명했다.

... 더 보기

‘음지의 트위터’ 음란영상 플랫폼 ‘온리팬스’, 11조원에 매각 협상…IPO도 고려 [투자360] -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음지의 트위터’ 음란영상 플랫폼 ‘온리팬스’, 11조원에 매각 협상…IPO도 고려 [투자360] - 헤럴드경제

조회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