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배우면서 새로운 기술이나 문서를 읽는데 어느 정도 단계가 있는 것 같아 세부적으로 적어보다가 정리된 글입니다. 1. 해당 개발 문서가 이해가 되진 않지만, 따라해보고 하나하나 배우는 과정 2. 개괄적인 이해가 가능하고, 대표적인 기능에 대해 남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수준 3. 메인 기능에 대해서는 세부적 원리와 모듈 구성 이해를 하는 수준 4. 개발 문서가 다뤄주지 않은 세부적인 기능이나 작은 노하우들에 대해 조금씩 알아 가는 단계 5. 써드파티와 비교적 자유롭게 연동하고, 필요할 때 모듈을 일부 수정해서 사용하는 단계 6. 개발 문서가 다루지 않는 소스 코드의 영역과 숨겨진 철학에 대해 이해하고 실행하는 단계 7. 컨트리뷰터와 자유롭게 대화하고, 리팩토링에 대해 고민하거나 제품에 대한 태생적 한계로 인해 새로운 라이브러리의 탄생을 고민하는 단계 8. 원본소스를 이어받아 개발하는 단계 일반적으로 2번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은데 3 ~ 4번은 주니어 , 4~6은 시니어, 7~8은 CTO 급이 아닐까, 하는 짧은 소견이였습니다.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25일 오전 11:2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3D Chart를 소개합니다 (feat. WWDC 2025)

    ... 더 보기

    Bring Swift Charts to the third dimension (feat. WWDC 2025)

    iOYES

    Bring Swift Charts to the third dimension (feat. WWDC 2025)


    확장성 있는 시스템 설계하기

    ... 더 보기

    확장성 있는 시스템 설계하기 강의 | JYK 매니지먼트 - 인프런

    인프런

    확장성 있는 시스템 설계하기 강의 | JYK 매니지먼트 - 인프런

     • 

    저장 64 • 조회 3,864


    스프링 핵심 기능으로 통합된 Spring Retry

    S

    ... 더 보기

    스프링 핵심 기능으로 통합된 Spring Retry

    www.linkedin.com

    스프링 핵심 기능으로 통합된 Spring Retry

     • 

    저장 1 • 조회 339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