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요약] 제목 그대로, 2022년을 기점으로 한국의 경제 인구가 줄어든다는 소식. 그러나 인구 증가 둔화에도 불구하고 고학력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 기술 개발과 경제 성장에 따른 인력수요 증가 등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경제활동 참가율은 높아질 전망이다. [이 뉴스를 고른 이유] 이 대목 때문에. _ 앞으로 10년간 15세 이상 인구는 191만 명 증가하지만, 15~64세 인구는 260만 명 감소할 것으로 봤다. _ 청년층의 증가, 하지만 세대별로 이전 세대와는 적은 규모가 될 것이므로, 이 밀레니얼+제트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고 일상의 니즈를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 여기에는 단지 숫자로 표현되지 않는 감수성, 혹은 감각이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 때문. [그래서...?] 내년이 2020년. 경제 인구가 줄어드는 시점은 생각보다 빨리 온다. 2027년, 2030년의 세계를 상상하기 힘들다는 게 문제라면 문제. 그야말로 예측 불가능한 세계로 진입하는 기분이다.

경제활동인구(15~64세), 2022년부터 감소세

미디어피아

경제활동인구(15~64세), 2022년부터 감소세

2019년 12월 17일 오전 8:17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

개발자를 위한 백엔드 로드맵 필독 아티클 모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