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밀턴프리드먼이 아직도 살아있었다면 자신의 생각을 조금은 수정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주요 기업들이 기업의 시회적 책임을 넣는 이유는 그것이 그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뛰어난 인재가 회사에서 꼭 일을 해야하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업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는 시대다. 정부의 역할을 어느정도 가지고 오지 않으면 기업의 성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폼, 자동화가 발전할 수록 어차피 인간은 시간밖에 없을 것인데, 기업은 기본적으로 소비자의 소비로 유지되는 집단이다. 그렇다면 그런 극단으로 치닫게하는게 기업에게 좋다고 할 수 있을까?

美 주요 기업들 “주주이익 넘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 명시

뉴스핌

美 주요 기업들 “주주이익 넘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 명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8월 21일 오전 3:2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 더 보기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bit.ly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MCP 이제 정말 써보고 싶지요?

    ... 더 보기

    [MCP] 업무에 유용한 MCP 7종 설치 방법 알아보기 - 골든래빗

    bit.ly

    [MCP] 업무에 유용한 MCP 7종 설치 방법 알아보기 - 골든래빗

     • 

    저장 4 • 조회 171



    데이터 이력서 템플릿 + 작성 가이드를 사용해보세요.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569


    [컴퓨터월드] 2024년 국내 주요 IT시장 전망

    ... 더 보기

    [커버스토리] 2024년 국내 주요 IT시장 전망

    컴퓨터월드

    [커버스토리] 2024년 국내 주요 IT시장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