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는 조심해서 받아들여야합니다 저는 이런 설문조사구성 진짜!!!싫어해요 🥲 제발 확증편향을 만드는 보기구성과 모호한 기준의 질문 멈춰-! 어떤방식으로 뽑았는지도 모르는 적은 샘플수 100명으로 %만 붙이면 기정사실이 되는게 아닙니다 📌뉴스레터 [스타트업] 제작팀인 쫌아는기자들은 시즌1의 삼초큐(3초안에 대답하는 룰)은 스타트업 9개 브랜드의 평판을 조사했습니다. 📌숫자와 지표는 우리게에 강한 확신을 주지만 엄격한 잣대가 필요합니다 정말-! 통계를 전문가들은 대단해요 (그분들이 보면 억장이 무너질 일 ) 📌생각하는 문제점 01 Ex> '연봉을 많이 줄것같은 창업자는?' 많음의 기준은 어디,,, 그리고 보기는 토스의 이승건/마켓컬리의 김슬아 두개가 끝,, 02 각 문항별로 다른 응답자 수 샘플이 적더라도 회사원만 물어봤다던가 20대만 물어봤다던가 처럼 모수또한 줄여서 기입을 해줘야 오해가 줄어들것 같아요 03 EX> '야놀자는 모텔 대실 플랫폼 이미지가" 이게 질문 보기는 '지워지지 않는다' / '언제적 이야기..이젠 숙박 여행플랫폼!' 이다. 자연스러운 문장쪽을 택할 가능성이 높죠 심지어 3초 응답이면 더욱더요 04 이외에도 유저들이 정말,,,정말 단순 재미로 결과를 받아 들일 수 만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다면 콘텐츠 톤을 보다 가볍게 아님말고로 하는게 나을 것 같고 정말 자료가되고 싶다면,,이건 아닌듯 📌물론 맞는 결과가 있을 수 있어요 (큰 샘플로 해봤을때) 그러나 설문조사와 통계는 그런 확률과 리스크를 최대한 피할려고 하는거 아닐까요.

[스타트업] 당근마켓 4.1점 1위...야놀자는 최하위...브랜드 평가

Stibee

[스타트업] 당근마켓 4.1점 1위...야놀자는 최하위...브랜드 평가

2021년 6월 18일 오전 7:4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