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가전 트렌드를 보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보인다✨ 코로나 이후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생활가전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오픈서베이에서 조사한 「생활가전 트렌드」를 보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연령별 인식 차이에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브랜드 중요도 감소 가전 제품 구입 시 브랜드 중요도가 감소하는 경향. 특히 20대 층에서 브랜드 중요도가 낮은 편이고, 유명한 브랜드가 아니더라도 기본 성능은 갖추었을 것으로 예상하고 만족 후기가 많으면 구입. 특히 1인 가구일수록 더욱 그런 경향 ✅ 인테리어 요소로소의 가전제품 가전 구입 시 심플한 디자인을 기본적으로 갖추되,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디자인’을 고려하는 비중 증가. 또한 브랜드보다는 사이즈 등 공간 효율성 측면에 대한 중요도 증가 ✅ 연령대마다 다른 디자인에 대한 시각 디자인은 ‘심플한 디자인’ 니즈가 가장 높으나, 전년 대비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디자인’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함. 연령이 낮을수록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선호하는 반면, 30대는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디자인’, 50대는 ‘요즘 유행하는 디자인’ 혹은 ‘자연친화적인 디자인’을 선호 ✅ 인기제품의 변화 전년 대비 무선청소기, 제습기, 써큘레이터, 전기레인지, 와플메이커, 체지방계 보유율이 증가. 유행하는 가전 제품 중 의류건조기, 의류관리기, 식기세척기, 음식물쓰레기처리기, 안마의자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인기가 예상되는 제품 ✅ 세대마다 차이나는 보유율 대비 유용성 인식율 전반적으로 유용한 제품은 현 보유율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이나, 의류건조기는 보유율 대비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특히 높음. 20대는 선풍기, 전기레인지가, 30대는 에어컨, 제습기, 의류건조기가, 40대는 무선청소기, 50대는 정수기, 비데가 유용하다는 인식이 타 연령대비 높음 ✅ 온라인으로 정보 수집 및 구입 가전 제품 구입 시, 정보 수집 채널로 온라인 채널의 활용도 증가와 더불어 구입도 온라인몰이 증가. 특히 온라인을 통한 사용 후기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침. 50대에서는 주변 지인을 통한 정보 수집이 좀 더 높은 편.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가전 구입 의향은 19%로 낮은 편임 ✅ 렌탈에 대한 니즈 증가 렌탈 이용률은 전년 대비 9%p 증가 (’20년: 55.6% → ’21년: 64.6%). 특히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되는 정수기 / 비데 / 공기청정기의 렌탈 이용이 증가. 반면 렌탈 서비스에 대해 ‘긴 의무 사용 기간’과 ‘구매 대비 비싼 가격’이 주된 우려 요소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opensurvey.co.kr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2021년 6월 28일 오후 10:30

댓글 0

지금 가입하고 개발 트렌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개발 관심 분야 중 하나를 관심 분야로 선택하면 받아볼 수 있어요.

이메일로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