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의 '개인화' 히스토리를 타임라인으로 대략 정리한 미디엄 글입니다. 1998년부터 지금까지요. 지금의 추천 시스템이 완벽하다고는 생각지 않지만 십수년에 걸쳐서 기술을 개선하고, 개발하고 실험을 거듭하는 것을 보니 꾸준함과 성실함의 힘을 다시금 느낍니다. 콘텐츠와 기술의 합을 통해 retention이라는 목적을 달성하는 모습도 인상깊어요. 1998년, 1999년 DVD 발송 서비스 시작, DVD 개수(라이브러리) 크게 확장 --> 구독모델 2000년 Cinematch라는 알고리즘 개발해 추천 시스템 도입. 크라우드 평점 매칭 알고리즘. 예를 들어 A와 B가 브루클린 나인나인과 굿플레이스를 좋아하는데 A가 소울을 좋아하면 알고리즘은 B도 좋아할 거로 예상하고 추천. 2001년 별점 시스템 도입 2002년 다양한 알고리즘을 개발 및 출시. 1) 특정 매장에서 어떤 DVD를 빌릴 수 있을지 확인하는 알고리즘, 2) 영화 데이터(시놉, 감독, 배우, 언어 등) 통합 알고리즘, 3) 검색 알고리즘 2006년 넷플릭스 개인화 전략 발표. 전략, 지표, 전술 발표. 데이터 종류와 알고리즘, 평가 점수 개선안. 1) 영화, TV 평가 점수, 장르, 인구분포 데이터 2) 회원이 리스트에 추가한 DVD 종류 3) 여러 데이터를 합쳐서 특정 회원과 타이틀을 매치하는 UI 개편 4) 회원들이 평가 점수를 더 많이 매기도록 유도 이후 인구 데이터 적극 수집. 나이, 젠더 등. 그러나 이 요인들이 취향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확인 2007년 스트리밍 서비스 출시, 자체 알고리즘 경진대회 개최. 2등과 3등한 팀의 알고리즘을 결합해서 써보니 더 나은 취향 예측 가능. 2010년 경진대회에서 수상한 알고리즘으로 여러 가능성을 고민하며 실험을 거듭. 목표는 retention이라는 것을 늘 염두에 두고. 2011년 Movie genome project. 2000년의 cinematch 알고리즘을 개선해 카테고리 구분 가능케 됨. 그리고 '개인화가 retention을 향상시킨다'는 명제를 증명! 2013년 하오카 시리즈 론칭. 이후 오렌지이즈더뉴블랙, 기묘한 이야기, 보잭호스먼, 최근 브리저튼까지. 콘텐츠를, 그중에서도 히트작을 많이 생산해내는 것은 개인화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음. 뒤이어 Emmy award에서 '개인화 추천 엔진' 부문 수상. 2015년~2021년 해외 진출 가속화 2016년 사람마다 섬네일을 달리하는 UI 실험 실시. 2017년 별점에서 따봉으로. 그리고 '나와 이 콘텐츠가 얼마나 잘 맞는지 퍼센트 매칭' 시작 2021년 TV로 연결해서 볼 때 자동으로 무엇을 볼지 추천해주고 플레이하는 실험 시작 (일부 지역에서 하는 거로 보임)

A Brief History of Netflix Personalization

Medium

A Brief History of Netflix Personalization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7월 9일 오전 7:5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481


    DDD와 AI

    ... 더 보기

    93억 버는 직장인

    9

    ... 더 보기

    < 우리 유전자에 각인된 가장 오래된 공포 >

    1. 우리 몸은 신체적 위험처럼 '거절'에 반응한다. 과거에 거절이 곧 우리 인간 종을 신체적 위험에 처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