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업체를 판단할 때 연체율만 보고 판단하면 곤란하다. 연체가 된 대출은 원금 손실을 입을 확률이 높지만, 대출 상환을 포기하고 추심업체에 대출채권을 매각하면 연체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고객의 투자금을 회수받기 위해 대출 상환을 기다리는 업체의 연체율은 높아지는 구조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과거에 매각한 대출채권까지 연체로 포함해서 표시한 연체율이 필요하지만, 그런 지표는 제공하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연체율이 낮은 업체가 더 위험한 업체일수도 있는 혼동을 투자자에게 줄 수 밖에 없다.
"연체율이 높다고 무조건 부실 업체가 아니고, 연체율이 낮다고 무조건 우량 업체도 아니라는 점을 소비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현재 P2P금융 연체율은 각 업체의 미상환된 대출 잔액 중 30일 이상 연체 중인 대출의 잔여원금 비중이다. 연체가 늘어도 대출 잔액이 더 많이 늘어나면 연체율이 내려가는 착시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P2P 업체가 원금 손실을 각오하고 연체 채권을 조기 매각해도 연체율을 낮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