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 결혼식의 하객이 되어 주시겠어요? 1.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되며, 100명이 넘는 지인을 초대하지 못하는 상황이 됐어요. 2. 그래서 저는 과감하게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결혼식을 생중계로 진행하기로 결정했어요. 3. 플랫폼을 먼저 고민했어요. 로블록스, 제페토, 게더타운 중 무엇으로 할까 말이죠. 4. 결국, 게더타운으로 결정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5. 로그인이 필요없다. 2D라 내게 친숙하다. 빠르게 익히고 만들 수 있다. 이렇게 3가지 이유였어요. 6. 왜 빠르게 익혀야 했을까요? 바로 4일이라는 시간 밖에 제게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죠. 7. 당장 이번 주 토요일(8월 7일)에 있는데, 이번 주 월요일(8월 2일)부터 시간이 났기 때문이에요. 8. 그래서 급하게 전체 레이아웃을 세우고, 진행 방식도 구성했어요. 9. 물론, 기획의도는 '그냥 내가 하고 싶으니까 한다!' 이지만 말이에요. 10. 과연, 이 기획의 끝은 어떻게 될까요? 여러분 궁금하지 않으세요? 저도 궁금하거든요. 이게 어떤 식으로 망할지 말이에요🙄 11. 아래는 아주 간단한 기획 의도와 왜 할까에 대한 제 생각이에요. 물론, 한줄 요약을 하면 '그냥 내가 하고 싶으니까'이지만 말이에요🤣 ### 기획 의도🎈 'Why' 1.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되면서 지인을 초대하지 못하게 되었다. 2. 그래도 초대를 하고 싶었다. 3. 마침 접한 메타버스(게더타운)에 관심이 많았다. 4. '결혼식 중계'를 메타버스로 하면 어떨까 생각했다. 5. 하기로 결정했다. 6. 일주일 아니, 4일이라는 기간 동안 만들기로 결정했다. 'How' 1. 게더타운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결혼식장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2. 방명록을 남기고, 실시간 중계를 하며, 비대면 참석을 유도한다. 3. 전문인력을 이용하기에는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하객을 이용하기로 했다. 4. 하객4 (메인 영상1 + 서브 영상2 + 신부 대기실1)에게 카메라를 맡기기로 했다. 5. 사실 하객이 훠얼~씬 더 리스크가 크지만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What'` 1. 새로운 시도로 '메타버스 결혼식장'을 만든다. 2. 새로운 시도를 통해 결혼식을 축제처럼 꾸민다. 3. 어차피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거 날씨에 구애받지도 않으니 '야외 결혼식장' 만들기 4. 넣고 싶은 거, 꾸미고 싶은 거 다 꾸며본다. 5. 동물의 숲 결혼식은 있었지만, 게더타운 결혼식은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시도를 만든다. ### !important 📍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함께' 즐기는 일이다.

1️⃣ 우리 결혼식의 하객이 되어 주시겠어요?

Brunch Story

1️⃣ 우리 결혼식의 하객이 되어 주시겠어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4일 오후 1:01

댓글 20

함께 읽은 게시물

👰청첩장 점유율 60% 이상, 바른컴퍼니의 핵심 경쟁력은

... 더 보기

예비부부 3쌍 중 2쌍 택했다…55년 청첩장 파는 이 업체 비결 [비크닉] | 중앙일보

중앙일보

예비부부 3쌍 중 2쌍 택했다…55년 청첩장 파는 이 업체 비결 [비크닉] | 중앙일보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알람 소리에 반사적으로 일어나서 준비를 마치고 정신없이 이동하면 어느새 사무실 책상에 앉아 있게 됩니다. 동료들과 인사를 마치고 컴퓨터를 켜는 순간 업무는 시작되지요.

... 더 보기

직장 다니면서 제대로 ‘현타’ 맞는 순간 7

다음 - 피플앤잡

직장 다니면서 제대로 ‘현타’ 맞는 순간 7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