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심오한 공부일수록 쾌감을 느낄 수 있을 때까지 고된 훈련 기간이 필요하다", "쉽지 않은 공부는 늘 결기를 요구한다"는 두 문장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황영조 선수는, 경기 중에 포기하고 싶은 생각보다는 출발 직전에 포기하고 싶다는 생각이 훨씬 강하게 든다고 말한 적이 있다"는 문장도 잘 잊혀지지 않을 것 같네요. 김영민 교수의 칼럼은 공부에 대해, 선생과 학생의 자세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이걸 그대로 일에, 선배나 보스 혹은 조직원으로서의 자세에 대입해보면 어떨까요? 결국, 누군가 어떤 시기에 해야 하는 일이라는 건 그런 것 같습니다. 오늘 당신의 궤도는 어디쯤인가요? 저는 오늘도 사무실 책상에 앉아서 한 문장 한 문장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10여 년 간 해온 일. 앞으로도 내내 해야 하는 일이죠. 세상에 무슨 일이 벌어지든 그저 해내야 하는 일인 것입니다. 그 명료한 사실로부터, 다소 막막하지만 어쩔 도리 없는 안락마저 느껴지는 오후입니다.

공부도 맥주처럼 쾌락있다...그걸 느끼려면 필요한 이것

중앙일보

공부도 맥주처럼 쾌락있다...그걸 느끼려면 필요한 이것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3일 오전 7:59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