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GQ’를 만들 당시, 혹은 초창기에는 가로수길과 청담동에 바지의 밑위길이까지 잘 고안해서 옷을 입는 젊은 남자들이 있었다. 이제는 그들은 멸종됐다. 너무 이상한 일이지? 내가 기여한 것이 있다면, 외양에 대한 숙고를 하게한 점. 또 하나는 유파가 없는 텍스트를 독자들에게 읽게 하는 경험을 준 것,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GQ>의 문체, 텍스트의 함량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것들이 아니었을까. 나에게는 에디터들이 글을 잘 쓰는 게 너무 중요했다. 교정 볼 때는 쉼표의 자간까지 체크했다.” '드디어 팔리기 시작했다'에도 썼지만 나에게 GQ는 '멋 선생님'이었다. 고등학생 때 이 잡지의 창간호를 구입한 이후로 드리스 반 노튼과 톰 포드를 알게 됐다. 클래식 슈트를 멋스럽게 입는 법을 배웠다. 한국적인 미를, 유르겐 텔러와 테리 리처드슨의 사진을, 긴자의 오래된 가게를, 장우철이라는 희대의 에디터를 접했다. 이게 다 이충걸 편집장 덕분이었다. 그는 이 잡지의 창조주이자 지휘자였다. 그가 만든 이 '작품'은 당시 세계 18개국에서 발간되던 다른 ‘GQ’들을 초라하게 만들 정도였다. 그 덕분에 (나를 포함한) 많은 한국 남자들이 '멋'에 눈을 뜰 수 있었던 것이고. '멋 선생님'이 되어준 이 잡지에, 그리고 이충걸 편집장에게 아직까지도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트레바리 클럽장데이에서 만나면 이 마음을 전하려고 헀는데, 아직까지 기회가 없었다.

GQ한국판 초대 편집장 이충걸, 시력의 절반은 잃어도 '책 쓰는 베토벤'의 삶은 계속된다

Khan

GQ한국판 초대 편집장 이충걸, 시력의 절반은 잃어도 '책 쓰는 베토벤'의 삶은 계속된다

2020년 2월 9일 오후 10:59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