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스포티파이, 애플, 아마존, 튠드글로벌 등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사실 동일한 목적을 가지지 않는다. 각각 자사의 브랜드의 이익을 위해 스트리밍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 기사에서 한 문단] “Brands have very different objectives to a streaming service,” Raso said. “Music is certainly one of the best engagement agents that exist, but a brand wants to build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ir customers. Having your own execution allows you to manage overall content (both music and non-music), data capture, targeting, and direct rewards,” Raso said. “Simply put, streaming services are impacted by what a user does now (subscribe), whereas brands are impacted by what a user does next (Core Business ROI).” [여기서 드는 생각] 1. 현재의 고객들은 브랜드와의 관계, 거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 특별한 관계성에 음악이 포함된다. 내 취향에 맞는 음악, 내가 쓰기에 편리한 서비스 등의 가치가 고객을 브랜드에 묶어둔다. 2. 그걸 통해 기업들이 얻는 것은 데이터다. 고객 행동 데이터는 기업 브랜드와의 애착/밀착의 정도를 보여줄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업은 고객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갈 수 있다. 3.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애플은 하드웨어를 판매하는 회사였다. 여기서 음악은 부수적인 것, 즉 서비스였다. 이제 애플은 콘텐츠 기업으로 바뀌는 중이다. 하지만 콘텐츠 기업이 된다고 해서 프로덕션이 되는 건 아니다. 여기서 콘텐츠는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미끼, 즉 서비스다. 기업의 방향성이 달라져도 음악(혹은 콘텐츠)는 여전히 서비스다. 음악에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다. 2020년 이후에는 모든 콘텐츠가 나름의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질 것이다. 4. 다매체, 글로벌 플랫폼, 독점형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기업의 확장성은 곧 생존의 문제다. 이 시점에서 콘텐츠는 계속 중요해질 것이다. 콘텐츠로 모은 구독자들에게서 니치 마켓을 개발할 단서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5. 그래도 나의 입장에서 보자면, 결국 콘텐츠다. 내가 플랫폼 사업 당사자가 아닌 바에야 이 전쟁통에서 내가 활용할 수 있는 무기는 콘텐츠 혹은 서비스일 것이다. 콘텐츠가 전부다.

Tuned Global Is Building Customized Streaming Platforms for Brands

Digital Music News

Tuned Global Is Building Customized Streaming Platforms for Brands

2020년 2월 18일 오후 10:54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

개발자를 위한 부트캠프 필독 아티클 모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