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 주주서한 - 의사결정 2005 1 "옳은 답과 그른 답, 더 나은 답과 그렇지 못한 답"이 있는 상황에서 "수학"은 어떤 것이 옳은 답이고 더 나은 답인지를 알려줍니다. 이것이 아마존이 가장 선호하는 종류의 의사결정 입니다. 2 모든 중요한 결정이 수학 기반의 방식으로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과거의 자료가 극히 적거나 없는 경우 또 사전 실험이 불가능하거나 비현실적이거나 혹은 결정 자체와 다름이 없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판단"입니다. 3 예를들어 아마존은 고객들에게 상품 가격을 현저히 더 낮추는 것을 목표로 의사결정을 해왔습니다. [...] 효율성의 개선과 규모의 경제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그 효과를 낮은 가격이라는 형태로 고객에게 꾸준히 돌려주는 일이 장기적으로 훨씬 많은 잉여현금흐름과 가치가 훨씬 높은 아마존이라는 결과에 이르는 선순환을 가져온다고 우리는 "판단"합니다. 4 이외에도 아마존 내 외부 판매자들을 끌어들인 것과 무료 배송 및 아마존 프라임도 동일한 판단 예시입니다. [...] "수학 기반의 결정"은 광범위한 합의를 이끌어 냅니다. 그에 반해 "판단 기반의 결정"은 반대에 부딪히거나 논란을 일으키곤 하며, 실제로 실행되어 효과가 입증되기 전까지는 반대와 논란을 피할 수 없습니다. 5 아마존은 시장 주도자로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충분한 분야에선 소심한 투자가 아닌 대담한 투자를 결정할 것입니다. [...] 정량적 분석적 문화와 대담한 결정을 내리는 문화를 결합시키는 아마존의 의지를 믿어주세요

2021년 10월 3일 오전 5:0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