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 의견과 아이디어가 너무 많아서 문제라면? 📝 Type & Highlight [Highlighted🖍] ✅ 우선순위가 필요한 이유 스타트업에서는 수평적 관계가 중요시되는 만큼 수많은 의견과 아이디어가 주저 없이 내던져집니다. 많은 의견과 아이디어를 모두 반영하면 좋겠지만 제한적인 자원을 잘 운용해야 하는 스타트업에서는 핵심적이고 중요한 어젠다들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활용하면 좋을 우선순위를 매기는 4가지 방식 1. 모스코우: M, S, C, W의 약자 Must have: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요소. 이 요소가 없다면 무용지물 Should have: 필수적인건 아니지만 큰 가치를 제공하는 요소 Could have: 여유가 있다면 하기 좋은 요소 Won’t have: 이번에 하지 않아도 괜찮은 요소 2. 카노: 어떤 걸 ‘잘’ 구현하면, 고객은 ‘더’ 만족할까?. Must-be: 이 요소가 없다면 고객이 매우 불만족할 경우 Performance: 충족정도에 비례해 고객 만족도가 변화하는 요소 Attractive: 없어도 큰 상관은 없지만 있으면 고객이 만족할 요소 Indifferent: 고객 만족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요소 3. ICE: 목표 달성 임팩트를 알려주는 지표 Impact: 회사 목표, KPI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Confidence: 성공할 확신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 Ease: 이걸 하는 데 얼마나 올래걸릴지 4. OKR: 목표 달성 여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방법 Key Result의 현재 수치와 목표 수치를 비교해 우선순위를 평가. [Typed⌨️] 다양한 의견을 귀기울여 듣다 보면, 각자의 판단 기준이 다를 뿐 모두의 판단이 타당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결국 핵심이 되는 것은 '동일한 판단 기준'일 것 같습니다. 비효율적인 논쟁을 줄이기 위해서는 목표와 얼라인 될 수 있는, 핵심 판단 기준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의견과 아이디어가 너무 많아서 문제라면? | 요즘IT

요즘IT

의견과 아이디어가 너무 많아서 문제라면? | 요즘I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2일 오후 1:3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