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 Culture] 틀리는 것에 대해서, TED -주요 내용- 사실, 우리는 우리가 틀렸다는 생각을 하지 않기 위해 별 일을 다 합니다. 우리는 삶을 살아 가면서 모든일에 내가 옳다는 틀에 잡혀 있습니다. 적어도 그런 강박이 있어 보입니다. 왜 일까요? 우리는 스스로 틀렸다고 생각을 하면 어떤 느낌이 들까요? 끔찍하다, 기분나쁘다, 창피하다 등 많은 생각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것은 정확히 말하면 "틀렸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의 느낌입니다. 우리가 잘못된 언행을 하는 것 그 자체는 아무런 느낌도 주지 않거나 오히려 옳은 것 같은 기분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대개의 경우, 우리는 우리가 틀렸다는 것을 너무 늦게 깨닫습니다. 어떤식으로든 내가 틀리지 않았음을, 옳았음을 증명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쏟습니다. 문화적인 요인도 우리가 틀린 것을 스스로 인정하기 힘들게 만드는 강력한 요인입니다. 우리는 자라면서 온갖 시험과 평가를 거치고, 그 과정에서 끊임없이 상대방과 비교하고 그 비교 속에서 우위를 점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게 됩니다. 성공하는 삶을 위해선, 절대로 실수를 하면 안된다는 것이 뇌리에 박히게 되는 것이죠. 그 과정에서 우리는 상대방과의 대화, 관계를 꼭 '승부'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그 과정에서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우리는 일련의 생각을 하게 됩니다. 1. 저 사람들은 몰라서 그럴거야. 정보를 주면 깨달을 거야. 하지만 이게 잘 먹히지 않을 경우 생각을 좀 더 합니다. 2. 저 사람들은 멍청해서 그런 거야. 퍼즐 조각을 가지고 있는데도 조립하지 못하고 있어. 그래도 잘 먹히지 않을 경우 한 술 더떠 이렇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3. 저 사람들은 악의를 가지고 있어. 사실을 알면서도 그 나쁜 목적을 위해 거짓말을 하는 거야. 데카르트가 그의 유명한 "나는 생각함으로 존재한다"라는 말을 하기 1200년전에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Fallor ergo sum" 이라고 기록했습니다 -- "나는 실수함으로 존재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우리의 실수 능력을 잘 이해했습니다. 이는 인간 세계의 창피한 단점이거나 우리가 고쳐야 하는것이 아니라 우리의 근본입니다. 우리는 신이 아니라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리고 모든 동물들과 달리 우리는 알아내는데에 집념을 가집니다. 이 집념이 우리의 모든 생산력과 창조력의 제공처이고 뿌리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시각에서 한가지 일을 예측하지만, 실상 늘 다른 일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지 부쉬는 이라크를 침략해서 다량의 살상 무기를 찾아내어 민중을 해방시키고 중동 지방에 민주주의를 심으리라고 생각 했지만 다른 일이 생겼습니다. 호스니 무바락은 자기가 평생동안 이집트의 독재자로 군림하고 자신이 너무 늙거나 병약할 때 자기 아들에게 권력을 위양하리라 생각했지만 다른 일이 생겼습니다. 아마 여러분들도 성인이 되어 고등학교때의 첫 사랑과 결혼해서 고향으로 돌아가 아이들을 많이 낳아 키울 것이라고 생각하신 분이 계실 텐데, 분명 다른 일이 생겼을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 삶입니다. 예측과 다른 일이 벌어지는 일상, 삶에서 우리는 늘 겸허해야 합니다. 💡Honest's thoughts 내가 틀렸다는 것, 나의 취약성을 인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세상은 복잡다단하고 우리가 알 수 있는 영역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기대하지 않은 전환, 그리고 반전을 기다리는 측면에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틀리는 것에 대해 때로는 '기다릴 수 있을' 정도의 호기심과 여유, 그리고 겸손함을 가질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Kathryn Schulz: On being wrong

TED

Kathryn Schulz: On being wrong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22일 오후 6:3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