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MS, 엔비디아, 애플의 메타버스 전략 비교 분석 <요약> 메타: 전부 다 먹겠다 MS: 업무는 다 먹겠다 애플: 한방에 뒤집겠다 엔비디아: 누가 먹든 다 먹겠다 ∞ 메타 - 27억명의 가입자를 바탕으로 거대한 소통과 어울림의 공간 구축 - 호라이즌, 호라이즌 워크, 호라이즌 홈, 호라이즌 월드는 시공간의 제약 없는 연결과 소통을 가능케 함. - 디바이스에 투자 (오큘러스 퀘스트2와 같은 VR 기기, 근육감지팔찌) -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플랫폼 구축에도 노력 (비트세이버, 슈퍼내츄럴의 제작사를 매입해 콘텐츠를 내재화함) 🍏 애플 - 애플 AR 글래스, 애플 링 출시 예정 Ⓜ️ 마이크로소프트 - 업무의 메타버스화에 집중 -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등 주력 상품인 업무 툴을 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전 - 새로운 디지털 협업 구조를 마련하여 원격 근무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함. - Teams + Mesh: 아바타 기반의 현장감 넘치는 회의,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말투와 단어를 고려해 메타버스 세상 속의 아바타의 표정이나 손짓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을 구사 - Loop: 일정, 이미지, 표, 고객 데이터를 올려 두고 실시간으로 공유, 수정 가능함. 엑셀, 파워포인트 등에 붙여 넣을 수 있고 팀즈와 연결 가능 - 다이나믹스 365 커넥티드 스페이스: 실제 상점을 디지털 공간으로 옮긴 뒤 상점 내부 구조와 고객들의 동선을 디지털에 구현해서 시각화하여 고객 데이터 분석에 활용. - MS 홀로렌즈: b2b에 집중, 쉐브론, 록히드마틴, 필립스 등이 채택 - 마인크래프트의 제작사 모장스튜디오를 보유한 만큼 추후 일반 소비자 영역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높음 🍃 엔비디아 - 주력 상품인 그래픽 기술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연구, gpgpu(데이터 센터의 필수품이라고 함) 개발 - 메타버스의 인프라를 장악하겠다는 목표. - 엔비디아 옴니버스: 그래픽 작업이 필요한 엔지니어, 개발자, 디자이너, 예술가를 위한 3d 협업 플랫폼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3d 사물들을 엔비디아의 플랫폼으로 만들겠다며, 메타버스 생태계를 장악하기 위해 무료로 배포함. - 옴니버스 엔터프라이즈: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업 협업 플랫폼, 설계부터 생산까지 가상으로 시뮬레이션 (BMW 가상 공장) - 엔비디아 모듈러스: 물리적 현상을 학습하고 3D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인공지능 - 토이 미: 대화형 아바타 - 맥신: 토이미를 만드는 아바타 플랫폼, - 리바: 30분만 음성을 들려주면 해당 음성을 그대로 성대모사하고 실시간 번역하는 AI - 토키오: 다중 대화 AI - 메가트론: 5300억개의 샘플을 학습한 언어 신경만 인공지능 모델 (GPT-03의 세 배가 넘는 샘플) - 인공지능 비서, 가상 아바타(식당의 키오스크를 대체하는 npc로 활용)로 적용 가능

메타, MS, 엔비디아, 애플의 메타버스 전략 비교분석

www.youtube.com

메타, MS, 엔비디아, 애플의 메타버스 전략 비교분석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25일 오후 1: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