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유통 분야 자체가 진입장벽이 높은것 같으면서도 그렇지 못하다보니 경쟁이 끊이질 않는 분야. 각 업체들이 ‘어떻게’ 본인만의 경쟁력을 구축하여, ‘얼마나’ 높은 진입장벽을 쌓아올릴 수 있느냐가 이 전쟁을 끝낼 수 있는 키가 될 것 ————— 지난해 말 기준 네이버쇼핑이 17%, 쿠팡이 13%, 점유율 3%에 불과하던 쓱닷컴이 이베이코리아와 합쳐지면서 15%의 점유율로 2위가 됐다. 점유율이 비슷한 1~3위의 세 업체 중 절대 강자가 나타날 때까지 이커머스 업계는 치열하게 출혈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미국의 경우 아마존이 47%, 중국의 경우 알리바바가 56%로 이커머스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30%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업체가 나타날 때까지 지금처럼 적자를 불사하고 투자를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밑빠진 독에 물 붓는다, 이커머스 업계 출혈경쟁

n.news.naver.com

밑빠진 독에 물 붓는다, 이커머스 업계 출혈경쟁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27일 오전 1:41

조회 9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 • 조회 1,313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92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