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에 대해 아는 것과 모르는 것
Naver
<오미크론에 대해 아는 것과 모르는 것> 1/ 만약 실제로 오미크론이 전파는 더 잘 되지만 병독성은 낮아졌다면 기나긴 코로나19 유행에서 몇 안 되는 희소식이 될지도 모른다. 전파력이 더 높으니 오미크론이 델타 변이를 제치고 우세 종이 될 가능성이 높은데, 오미크론에 걸리면 병원에 입원하거나 중환자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의 비율은 더 낮아진다. 2/ 다만, 설사 병독성이 낮아져 오미크론 확진자 가운데 중증으로 가는 비율이 줄어든다 해도, 확진자 규모 자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면 그중 소수만이 중환자가 되더라도 절대적인 환자 수는 늘어나 도리어 의료체계를 마비시킬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3/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백신 효과가 얼마나 유지되는지도 큰 변수이다. WHO는 오미크론을 ‘우려 변이’로 지정하면서 “초기 분석 결과는 (앞선) 다른 돌연변이들보다 오미크론의 재감염 가능성이 더 큰 것 같다”라고 밝혔다. 4/ 과거 코로나19에 걸렸던 사람이 오미크론에 더 쉽게 감염될 수 있다는 건 백신 효능도 더 떨어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2021년 12월 6일 오후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