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거울이 니 거울인가? 디지털 트윈이 온다 ] 일독을 강추합니다!!! 올해를 휩쓴 키워드 메타버스. ‘모바일’ 다음은 메타버스라지만, 엔터테인먼트와 게임, 콘텐츠 외엔 메타버스로 뭘 할 수 있을지 막연하다. IT업계에선 메타버스보다 ‘디지털 트윈’이 비즈니스 지형을 먼저 바꿀 것이라고 본다. 🧾 목차 >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이 먼저 > 알고보면 오래된 미래 > 디지털 트윈, 글로벌 주도자들 > 미러월드+피지컬월드+연결고리=아크버스 > ‘또 다른 나’, 미래를 만든다 1.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이 먼저 >> 트윈? 쌍둥이? : 디지털 트윈은 현실과 쌍둥이 격인 가상세계다. 디지털 공간에 물리 세계를 완벽하게 복제하고 현실의 데이터나 제작 프로세스 등 운영 요소까지 반영한다. 그렇다보니 각종 시뮬레이션(실험)으로 가보지 않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일종의 가상 실험실이자, 현실을 비추는 거울(Mirror) 세계. 현재 제페토에 있는 CU편의점이 현실의 모사라면, 디지털 트윈의 CU편의점에선 판매량이나 재고 현황, 방문객 수 등 오프라인 데이터도 실시간 반영된다. 물리 세계의 정보를 가상 공간에서도 실시간 업데이트 해야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랑 뭐가 달라?: 큰 틀에선 메타버스의 일부다. 미국 비영리 미래기술연구단체 ASF는 메타버스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라이프로깅(Life-logging), 가상세계(Virtual Worlds), 거울세계(Mirror Worlds). 증강현실은 포켓몬Go가 대표적, 라이프로깅은 나이키 러닝처럼 현실의 정보를 SNS 등에 공유하는 것. 가상세계는 마인크래프트나 제페토처럼 제약없는 상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디지털 트윈은 이중 거울세계에 해당. >>근데 어떤 기술로?= 기본적으론 ①GIS(지리정보시스템)과 3D 모델링 기술이 쓰이고 ②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술이 ③예측 최적화에 시뮬레이션, AR, VR 등이 쓰인다. 실시간 반영과 소통을 위해 클라우드와 5G 도 핵심 기술. 2. 알고보면 오래된 미래 ① 자율주행차 위한 ‘컨닝페이퍼’ ② AI 위한 연습장 ③ 공장·빌딩·도시 짓기 전 예습 3. 디지털 트윈, 글로벌 주도자들 - “IoT가 출발점” : GE, 지멘스 - 데이터 모델링엔 : IBM, 클라우드엔: MS - 3D 솔루션형: 엔비디아 4. 미러월드+피지컬월드+연결고리=아크버스 ① 세상을 ‘Ctrl C, Ctrl V’ ② 연결고리, AI·클라우드·5G 5. 또 다른 나’, 미래를 만든다 - 메타버스의 진화 - 평행 우주의 시작 - 어느 분야가 유망할까 - 숙제는 없나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고 플리즈~ :-)

[팩플] 이 거울이 니 거울인가? 디지털 트윈이 온다

Stibee

[팩플] 이 거울이 니 거울인가? 디지털 트윈이 온다

2021년 12월 7일 오전 12:3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