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명에 'Product'가 들어가는 분들은 '사용자 이탈'에 관심이 많을 거예요. 때문에 이탈을 막기 위해서 사용자의 '인지부하'를 줄여야 한다는 것도 익히 알고 계실 텐데요. 오늘의 글은 인지부하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는 내용이에요. 인지부하가 왜 생기며, 인지부하를 줄이기 위해선 어떤 작업을 해야 하는지! 궁금증을 해소하고 싶은 분이 읽으면 좋을 아티클입니다. 📌 사람의 기억 능력은 한계가 있다. 그래서 처리해낼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으면 인지부하가 생긴다. 인지부하가 생기면 사용자는 좌절감을 맛보거나 제품 사용을 포기하기도 한다. 📌 따라서 디자이너는 인지부하를 줄여, 사용자가 별로 생각할 필요가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사용자가 제품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덜 고민한다면 목표를 성취할 확률은 훨씬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 인지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복잡한 작업을 잘게 나눠라. : 한 화면엔 하나의 내용만 입력하게 한다. 입력해야 할 내용이 많으면 사용자는 내용을 파악하고 가장 입력하기 쉬운 것을 가려내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2️⃣ 추천 선택지를 강조해서 사용자의 부담을 줄여라. : 필요한 선택지를 적시에 나눠서 제공하는 것이 좋다. 3️⃣ 온보딩을 점진적으로 진행해라. : 서비스를 이용하자마자 사용방법을 소개하는 슬라이드를 몇 장 보여준 후 앱에 뚝 떨어뜨리는 것은 인지부하의 끝으로 몰아넣는 것이다. 온보딩은 제품을 사용하는 첫 순간에 모든 온보딩이 끝나야 하는 뜻은 아니다. 4️⃣ 추상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단순화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

고민에 빠지는 순간 이탈하는 사용자의 심리

Brunch Story

고민에 빠지는 순간 이탈하는 사용자의 심리

2021년 12월 13일 오전 1:5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