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 생활과 가정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 ​ 우리가 결혼 생활을 하고 가정을 꾸려 나가는데 있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있습니다. ​ Ross 박사와 동료들은 가정의 특정 요소들이 파트너의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습니다. ​ 이 '특정 요소'에는 네 가지 범주가 있었는데요. 바로 결혼 생활 그 자체, 부모가 됨, 여성의 경제활동, 또 가족의 사회 경제적 지위였어요. ​ 그 특성에 따라 이 네 가지 요소는 결혼 생활과 파트너를 만족시킬 수도, 반대로 불행하게 할 수도 있었습니다. ​ ​ 박사와 동료들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개념 연구를 진행했어요. 연구에 따르면, ​ 1) 전반적으로 누군가와 결혼을 한다는 것은 파트너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이 어느 정도 보장되기 때문에 더 큰 행복감을 불러옵니다. ​ 이혼 후에 여성들은 경제적 자원의 부재로 더 고통받고 남성들은 감정적 지지의 부재로 더 큰 고통을 받는다고 해요. ​ 2) 두 번째로, 부모가 되는 것은 부모의 전반적인 웰빙을 감소시킵니다. ​ 아이들은 경제적으로 많은 돈을 쓰며, 사회적인 통념 때문에 여성들의 취직을 어렵게 하고, 부부관계를 어렵게 하기 때문이죠. ​ 그러나 ​풍족한 수입이 있고 엄마가 돈을 버는 상태이며, 양육에 있어 외부적인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고, 남편과 기타 친족들의 지지가 많아 감정적으로 풍요로움을 느낄 때 아이가 있는 것은 외려 가정에 화목함을 더 불러올 수 있습니다. ​ 3) 세 번째로, 결혼 내에서 여성이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가정의 금전적인 부담을 덜 수 있어 좋으나, 1990년대 진행된 연구의 결과로는 39%의 남편들은 부인이 가정에 머물기를 원했습니다. ​ 또한 부부가 동등하게 맞벌이를 하고 있음에도 80%의 가정은 가사노동과 육아의 분담을 공평하게 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히려 행복도가 줄어들거나 반대로 불행해졌어요. ​ ​ 따라서 혼인한 여성이 경제활동을 하는 것은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확연히 줄일 수 있을 정도로 확실한 소득이 있을 때, 또 부부가 모두 그녀의 일에 합의를 할 때, 또 가사노동의 분담이 완벽히 이루어졌을 때 행복함을 불러왔습니다. ​ ​ 이상적인 가정에서는 부부가 모두 안정적인 소득을 벌고 (당시에는 매우 드물어 이러한 경우가 500커플 중 한 쌍 꼴로 나타나긴 했지만) 가사노동과 경제부담에 50:50으로 기여하는 가정이었습니다. ​ 4) 마지막으로,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언급되었는데요. 사회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지위가 있다는 것은 소득 분위가 높고 사회적으로 도움을 어느 정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의미로, 부부관계를 더 좋게 하고 가족의 행복도를 올려주었습니다.

결혼 생활과 가정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가장 보통의 스타트업 CEO

결혼 생활과 가정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 네이버 블로그

2022년 1월 4일 오후 4:42

댓글 0

지금 가입하고 개발 트렌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개발 관심 분야 중 하나를 관심 분야로 선택하면 받아볼 수 있어요.

이메일로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