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로(New-tro)는 새로운 레트로를 뜻하는 말로, 과거를 회상하고 재연하는 복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옛 것을 소재로 삼되, 현재의 삶에 잘 융화되도록 새롭게 해석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 현상에 대한 해석을 이 기사를 통해 접할 수 있다. 뉴트로 현상의 중심에도 '밀레니얼 세대'가 있다. 레트로는 저성장 시대, 그리고 극도로 디지털화된 시대를 살아가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결핍을 채워주는 새로운 문화이기 때문에, 복고처럼 한번 스치듯 지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이 기사의 핵심적인 내용.

‘뉴트로’로 다시 태어난 복고 열풍

newspic

‘뉴트로’로 다시 태어난 복고 열풍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9월 7일 오후 2: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인생을 바꾸는 ‘큰 돌멩이’의 법칙 >

    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957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507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93억 버는 직장인

    9

    ... 더 보기

    지능형 아키텍처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