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엑셀런스'의 저자 도리스 메르틴(Doris Martin)이 말하는 VUCA 세계에서 생존하는 비법 “모두가 탁월해야 하는 시대” - 우리는 코로나와 디지털화가 주는 압박을 온몸으로 겪었습니다. 지금은 이른바 VUCA 세계입니다. VUCA는 변동성(Volatility), 불확실성(Uncertainty), 복잡성(Complexity), 모호성(Ambiguity)의 첫 글자를 딴 신조어예요. - VUCA 세계에서는 기후변화 같은 메가 트렌드도 보통 사람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변화를 요구받죠. 요는 익숙한 생활 양식은 한계에 부딪혔고 우리가 알던 지식과 가치의 유효기간이 끝났다는 겁니다. 표준화된 솔루션이 사라졌기 때문에, 과거에 소수에게 필요했던 탁월함이 이제는 모든 사람에게 필요해진 거죠. 수영장에서 물장구만 치던 감각으로 거대한 파도를 넘을 수는 없으니까요. - 탁월함은 출중한 능력이 아닙니다. 타이거우즈가 말했어요. 자신이 언제나 완벽한 스윙을 하는 완벽한 골퍼가 될 수 없음을 안다고. 최선을 끌어내고자 할 뿐이고, 그게 직업적 탁월함이라고요. 탁월함은 능력보다 습관에 가깝습니다. 이를테면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불완전해도 과감하게 시도해보고, 모른다고 인정하고, 타인의 요구에 반응해서 방향을 수정하는 등 모든 형태의 포용 능력입니다. 우리가 지닌 최고의 보물이죠. - 이젠 일도 사생활도 100% 계획할 수가 없어요. 과거의 솔루션이 통하지 않기에, 훨씬 더 자주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대응해야 합니다. 그동안 민첩성을 약삭빠름이나 기회주의로 혼동해왔지만, 이제는 ‘유연한 대처’만이 살길이죠. 새 마음으로 계속 앞을 확인하면서 운전하는 법을 배워야죠. - 민첩한 사람 역시 안정 추구 계획형처럼 나침반을 가지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예로 보면, 목적지는 감동을 주는 콘서트가 되겠지요. 클래식 연주자는 리허설을 거친 꼼꼼한 프로그램을 가진 반면, 재즈뮤지션은 주로 대략적인 방향을 따릅니다. 큰 그림을 보면서 순간순간 분위기를 파악해서 청중과 속도를 맞추죠. 무엇보다 너무 치밀하게 계획하지 않아야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어요. 그렇게 합을 맞추려면, 사실 언제든 불러낼 수 있도록 전문성이 높아야 합니다. - 전문성의 바탕은 성실성입니다. 성실성이야말로 전문성의 기본 연료이자 내적 시스템입니다. 성실을 시스템화한 것이 좋은 습관이죠. 우리가 반복하는 행동이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우리의 일상을 잘라보면, 삶에서 이루는 것 혹은 이루지 못한 것은 많은 소소한 습관들의 영수증입니다. 안타깝게도 좋은 습관은 쉽게 몸에 붙지 않아요. 몸에 배게 하겠다는 스포츠 정신으로 장착해야죠. - 결과물의 탁월함을 결정하는 건 고객입니다. 고객의 소망이 세밀하게 반영되었는가가 탁월함의 잣대입니다. 내가 최고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노력을 쏟으려는 그 사람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것만이 탁월합니다. 아무리 고매한 건축가라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집을 설계해야 하고, 의사는 병원이 아닌 환자를 위한 최상의 치료법을 찾아내야 해요. - 여기서 완벽함과 탁월함은 구분해야 합니다. 완벽주의는 개인의 이상에 초점을 맞추죠. 반면 탁월함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더 중요한 기준은 고객입니다. 고객에게 최적화 되어있느냐. 자신의 관점을 고객에게 투사하지 않고,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해서 솔루션을 찾아요.

[김지수의 인터스텔라]"탁월함은 완벽함 아냐... 공감, 성실 등 정서 저력이 핵심"

Naver

[김지수의 인터스텔라]"탁월함은 완벽함 아냐... 공감, 성실 등 정서 저력이 핵심"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4월 25일 오후 11:29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