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머스에서 커뮤니티로, B2C에서 C2C로⟫

기업들이 새롭게 내놓은 서비스, 새로 인수한 기업, 경쟁사끼리의 제휴 등을 살펴보면 1가지 흐름이 있습니다. 모두 커머스에서 커뮤니티로 나아가려는 의지가 담겨있습니다. 왜 커뮤니티를 지향할까요? 커머스만 있으면 커뮤니티가 될 수 없지만, 커뮤니티는 커머스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용자가 가장 자주 접속하고, 오래 접속하는 서비스. 즉, 커뮤니티가 되면 커머스, 콘텐츠는 자동으로 따라옵니다. 1️⃣ 2021년 기준 국내 중고거래 규모는 약 24조 원입니다. 대표적인 서비스가 당근마켓인데요. 당근마켓은 커뮤니티(동네) 기반 커머스이자 동네생활 플랫폼입니다.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 중고거래 플랫폼은 모두 커뮤니티 성격이 강합니다. 여기에서만 살 수 있다, 여기에서만 팔 수 있다와 같이 중고거래 플랫폼에는 개성이 더해졌습니다. 2️⃣ 기업 인수를 보더라도 커뮤니티로 나아가려는 의지가 보입니다. 네이버는 2조 3천억 원을 들여 미국 패션 중고거래 포시마크(POSHMARK)를 인수했습니다. 포시마크는 사용자 80%가 MZ세대로 비교적 젊은 플랫폼으로 인스타그램(소셜)과 당근마켓(커뮤니티)을 합쳐놓은 것과 비슷합니다. 네이버는 인수를 위해 1년 동안 저점을 기다렸다고 발표했는데, 왓패드 지분 100%를 인수했을 때의 금액은 7천 억 원보다 적었기 때문에 시장의 반응은 냉랭했습니다. 3️⃣ 모두 네이버가 인수 역사상 가장 큰 금액을 들여 '왜 중고거래 플랫폼'을 '왜 지금', '왜 이 가격에' 인수하는지 의문을 보였습니다. 네이버는 한국(크림)은 물론 일본(빈티지시티), 유럽(왈라팝), 미국(포시마크)에서 모두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로 나아가려는 의지가 강합니다. 개인 간 거래 플랫폼이야 말로 커뮤니티로 기능할 수 있는 유일한 커머스 플랫폼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4️⃣ 중고거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옷', '신발'입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➊ 환경보호 - 유니클로, 자라 등 패스트패션이 환경을 해친다는 생각에 중고옷을 선택합니다 ➋ 저렴함 - 중고옷은 감가상각이 크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스타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➌ 독특함 - 중고거래 시장에서만 살 수 있는, 지금은 판매하지 않는 개성 있는 옷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➍ 재미 - 중고거래 경험 자체가 흥미롭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의 이야기, 경험 자체를 구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5️⃣ 미국에서는 '못난이 과일'을 파는 'Misfits Market'이 경쟁사 'Imperfect Foods'을 인수하면서 Top 2 기업이 하나로 합쳐질 예정입니다. 두 기업 모두 음식물 쓰레기를 줄인다는 가치를 내세우며 못난이 음식, 잉여 농산물을 40% 정도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데요. 팬데믹 기간에 크게 성장했지만 앤데믹 이후 오프라인으로 수요가 옮겨가면서 어려움을 겪는 중에 힘을 합치기로 결정한 겁니다. 아마존 자회사인 훌푸즈, 월마트도 못난이 과일, 채소 등을 취급하면서 경쟁이 더 심해진 상황입니다. 한국에서도 '어글리어스', '프레시어글리' 등 친환경 못난이 채소박스를 정기배송하는 서비스가 있는데요. 가만히 살펴보면 커뮤니티를 지향하는 커머스 성격이 강합니다. 나중에는 농가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나아가려는 것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전망해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1월 11일 오전 2:19

 • 

저장 20조회 2,796

댓글 0